진덕수의 겉모습에 관한 마음가짐(絅齋銘)

in #avle-pool3 months ago (edited)

고경중마방.gif

衣錦絅衣 裳錦絅裳 有美于中 而弗自章 云胡昔人 若是其晦 爲己之功 無與乎外 懍焉戒惕 于隱于微 我欲亡愧 匪蘄人知 充實光輝 其積莫揜 而我之心 惟一韜斂 細人有善 汲汲暴揚 敝縕中閟 文錦外張 孰知聖門 回愚參魯 撲兮若無 至美森具 中庸之末 凡八引詩 聲臭泯然 繇此其基 淵乎至哉 聖門之妙 入德之門 曰惟至要 猗歟王子 日處此齋 益深益微 古人與偕.
 
값비싼 옷에 싸구려 겉옷을 걸치니 본래 우아하지만 스스로 드러내 보이지 않습니다. 옛 지성인은 이렇게 소박하여 스스로의 공덕을 밖으로 나타내지 않고 깊이 감추고 경계하였지요. 자기 스스로가 부끄럽지 않기를 바랄뿐 남이 그것을 알아주길 바라지 않았습니다. 그 고귀한 기품을 착실하게 닦어 쌓여감을 애써 감추고 스스로 만족하여 마음 속에 품었습니다. 아무리 낮은 지위의 사람이라도 선이 있으면 드러내고 칭찬합니다. 소박한 겉모습으로 귀족의 품격을 가려 밖으로 드러나는 것을 막습니다. 누가 성인의 부류일까요? 안회는 어리석어 보였고 증삼은 미련스럽게 보여서 보잘 것 없으나 고귀한 품성이었습니다. 중용(中庸)의 끝부분에서 시경(詩經)을 인용했는데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지만 마음 속 깊고 지극한 성인의 길이고 덕성에 이르는 문이었습니다. 이르길, 지극하게 필요한 것이니 왕씨 가문의 후손들은 매일 이 경계에 머물러 더욱 깊고 더욱 세밀해서 옛 사람의 덕에 동참해야 합니다.

자기 만족은 남이 나를 알아 봐 주는 데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내가 지향하는 바에 얼마만큼 충실 하였는지에 있다. 그것이 나를 위한 닦음, 위기지학(爲己之學)이지 남을 위한 닦음, (爲人之學)이 아니다. 겉모습을 아예 무시해서도 안되지만 겉모습에 목숨을 걸어서는 안된다. 그러나 사회가 겉모습(명예와 권력)을 사랑하니 거기에 대세를 거스르기 어렵다.


고경중마방(古鏡重磨方)


영조 임금이 사도세자에게 쓴 서문 | 문인 임희지의 서문 | 반명1(盤銘) | 석사단명(席四端銘) | 거울에 새김(鑑銘) | 반명2 (盤銘) | 영명(楹銘) | 지팡이에 새김(杖銘) | 동상에 새김(金人銘) | 최원의 좌우명(座右銘) | 위화란의 좌우명(座右銘) | 백거이의 좌우명(座右銘) | 이지의 좌우명(座右銘) | 초라한 집에 새김(陋室銘) | 물컵에다가 새겨둠(槃水銘) | 이불에다가 새겨둔 글(布衾銘) | 옛 지성인의 띠풀의 예찬(茅齋銘) | 범중엄의 좌우명(座右銘) | 한유(韓愈)의 다섯가지 경계글(五箴): 머리말 | 한유(韓愈)의 다섯가지 경계글(五箴): 1) 노는 것 | 한유(韓愈)의 다섯가지 경계글(五箴): 2) 말 | 한유(韓愈)의 다섯가지 경계글(五箴): 3) 행위 | 한유(韓愈)의 다섯가지 경계글(五箴): 4) 좋고 싫어함 | 한유(韓愈)의 다섯가지 경계글(五箴): 5) 명예 | 진덕수(眞德秀)의 닥나무 찬양(楮衾銘) | 정이천(程頤)이 조심한 4가지 하지말 것(四勿箴) : 1) 보는 것(視箴) | 정이천(程頤)이 조심한 4가지 하지말 것(四勿箴) : 2) 듣는 것(聽箴) | 정이천(程頤)이 조심한 4가지 하지말 것(四勿箴) : 3) 말(言箴) | 정이천(程頤)이 조심한 4가지 하지말 것(四勿箴) : 4) 움직임(動箴) | 장횡거(張載)의 서명(西銘) | 장횡거(張載)의 동명(東銘) | 여대림(呂大臨)의 극기명(克己銘) | 장사숙(張思叔)의 좌우명(座右銘) | 범준(范浚)의 마음에 침놓기(心箴)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 1) 나태해지는 마음에 대한 처방(求放心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2) 덕성을 보존하기(尊德性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3) 도에 대한 사랑(志道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4) 덕에 근거함(據德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5) 어짊에 의지함(依仁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6) 예술적으로 놀기란(游藝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7) 덕을 숭상하는 마음가짐(崇德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8) 성과를 넓히려면(廣業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9) 어짊에 머무르려면(居仁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0) 의로움에서부터(由義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1) 옛 지성을 배우며(學古齋銘) | 진덕수(眞德秀)의 마음챙김: 1) 몽(蒙)괘(蒙齋銘) | 진덕수(眞德秀)의 마음챙김: 2) 공경함과 의로움(敬義齋銘) | 장식(張栻)의 마음챙김: 1) 공경(敬齋銘) | 장식(張栻)의 마음챙김: 2) 한맛 지키기(主一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2) 글쓰기 사마타(書字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3) 거문고 사마타(紫陽琴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4) 행동거지(窓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5) 그 모습 그대로(寫照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6) 언제나 공손하게(敬齋箴)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7) 숨 고르는 경지 (調息箴)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8) 역(易)을 배움에 조언함(警學贊)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9) 복괘(復卦)의 아름다움(復卦贊) | 장식(張栻)의 마음챙김: 3) 복괘 의미 예찬(復卦義贊) | 장식(張栻)의 마음챙김: 4) 몰입에 대한 조언(主一箴) | 진덕수(眞德秀)가 인도하는 마음 경전(心經贊) | 진덕수(眞德秀)가 말하는 계율(하지말라 勿)의 함의 (勿齋箴) | 진덕수(眞德秀)의 ‘정성(誠)’에 대한 묵상 (思誠齋銘) | 진덕수(眞德秀)의 밤을 경계함 (夜氣箴) | 오징(吳澄)의 사띠(sati): 1) 공경함에 대한 마음챙김(敬箴) | 오징(吳澄)의 사띠(sati): 2) 조화로움(和銘) | 오징(吳澄)의 사띠(sati): 3) 새로워짐을 다짐함(自新銘) | 오징(吳澄)의 사띠(sati): 4) 그저 닦을 것을 다짐함(自修銘) | 오징(吳澄)의 사띠(sati): 5) 욕구를 덜어내자 마음챙김(消人欲銘) | 오징(吳澄)의 사띠(sati): 6) 하늘의 도리를 키우는 마음챙김(長天理銘) | 오징(吳澄)의 사띠(sati): 7) 스스로를 다스리는 마음챙김(克己銘) | 오징(吳澄)의 한 맛의 이치(理一箴) 1, 2, 3 | 진백(陳柏)의 잠에서 깨고 들어갈 때 마음챙김(夙興夜寐箴 ) | 진덕수의 겉모습에 관한 마음가짐(絅齋銘)

Sort: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Coin Marketplace

STEEM 0.18
TRX 0.16
JST 0.030
BTC 62630.85
ETH 2463.74
USDT 1.00
SBD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