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吳澄)의 사띠(sati): 2) 조화로움(和銘)

in Avle 종교 철학 인문학last year (edited)


‘조화롭되 흐트러지지(휩쓸리지) 않음(和而不流)’은 중용(中庸)의 가르침입니다. 안자(顔子)의 자연스러워진 공경함(愷悌)과 공자의 온화롭고 공손함(溫恭)입니다. 공자와 안자는 한참 전에 떠나가셔 아득하니 누가 그 정신을 이었습니까? 탁월한 선배님들이 계시니 주렴계(元公), 정명도(淳公) 선생님입니다. 원기(元氣)가 모여서 무르익은 덕성이 종처럼 울리니 상서로운 해와 구름, 맑게 개인 날 달빛 아래 풍경같습니다. 잡초를 뽑을 필요 없죠. 그 뜻과 생각이 가득찼습니다. 천지가 만물을 낳는데 그 기상(氣象)이 녹아있죠. 만물을 고요하게 바라보면 그 경계가 하늘의 뜻과 통합니다. 사계절이 조화롭게 순환하여 그 즐거움에 사람이 함께 더불지요. 뾰족하게 모난 것은 사라지고 봄 같이 온화한 마음은 옥구처럼 윤택하고 짖게 익은 술처럼 달지요. 맑은 눈의 얼굴, 넉넉한 뒷모습, 언어와 행실이 너그러워 대인관계와 일처리에 도량이 넓고 푸근하지요. 온화하고 순수한 기운을 넉넉하게 기른 공덕입니다. 감히 이 말씀을 새겨 이 몸에 모셔야죠.
 
和而不流 訓在中庸 顔之愷悌 孔之溫恭 孔顔往矣 孰繼遐蹤 卓彼先覺 元公淳公 元氣之會 淳德之鍾 瑞日祥雲 霽月光風 庭草不除 意思冲冲 天地生物 氣象融融 萬物靜觀 境與天通 四時佳興 樂與人同 泯若圭角 春然心胸 如玉之潤 如酒之醲 睟面盎背 辭色雍容 待人接物 德量含洪 和粹之氣 涵養之功 敢以此語 佩于厥躬.

모든 사람에게 따뜻한 봄날같이 온화함을 느끼게 해주는 게 만만하게 보이는 것은 아니다. 이세상에 과연 그런 사람이 있었을까? 그런 사람은 없었다. 성인들 조차 실현하지 못했다. 다만 조화롭되 흐트러지지(휩쓸리지) 않으려고(和而不流) 마음에 새겨 연습할 뿐이고 마음에 시작하다보면 언젠가 몸에 결이 새겨질 것이다. 이걸 그사람의 분위기라고 부르겠지,

훈훈한 봄날 같은 사람
뜨거운 열정의 여름 같은 사람
단칼에 베어 버리는 가을 같은 사람
단단하게 굳어있는 겨울같은 사람

언제나가 아니라 매사에 눈치 빠르게 변화 될 수 있어야 조화롭다.


고경중마방(古鏡重磨方)


영조 임금이 사도세자에게 쓴 서문 | 문인 임희지의 서문 | 반명1(盤銘) | 석사단명(席四端銘) | 거울에 새김(鑑銘) | 반명2 (盤銘) | 영명(楹銘) | 지팡이에 새김(杖銘) | 동상에 새김(金人銘) | 최원의 좌우명(座右銘) | 위화란의 좌우명(座右銘) | 백거이의 좌우명(座右銘) | 이지의 좌우명(座右銘) | 초라한 집에 새김(陋室銘) | 물컵에다가 새겨둠(槃水銘) | 이불에다가 새겨둔 글(布衾銘) | 옛 지성인의 띠풀의 예찬(茅齋銘) | 범중엄의 좌우명(座右銘) | 한유(韓愈)의 다섯가지 경계글(五箴): 머리말 | 한유(韓愈)의 다섯가지 경계글(五箴): 1) 노는 것 | 한유(韓愈)의 다섯가지 경계글(五箴): 2) 말 | 한유(韓愈)의 다섯가지 경계글(五箴): 3) 행위 | 한유(韓愈)의 다섯가지 경계글(五箴): 4) 좋고 싫어함 | 한유(韓愈)의 다섯가지 경계글(五箴): 5) 명예 | 진덕수(眞德秀)의 닥나무 찬양(楮衾銘) | 정이천(程頤)이 조심한 4가지 하지말 것(四勿箴) : 1) 보는 것(視箴) | 정이천(程頤)이 조심한 4가지 하지말 것(四勿箴) : 2) 듣는 것(聽箴) | 정이천(程頤)이 조심한 4가지 하지말 것(四勿箴) : 3) 말(言箴) | 정이천(程頤)이 조심한 4가지 하지말 것(四勿箴) : 4) 움직임(動箴) | 장횡거(張載)의 서명(西銘) | 장횡거(張載)의 동명(東銘) | 여대림(呂大臨)의 극기명(克己銘) | 장사숙(張思叔)의 좌우명(座右銘) | 범준(范浚)의 마음에 침놓기(心箴)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 1) 나태해지는 마음에 대한 처방(求放心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2) 덕성을 보존하기(尊德性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3) 도에 대한 사랑(志道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4) 덕에 근거함(據德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5) 어짊에 의지함(依仁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6) 예술적으로 놀기란(游藝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7) 덕을 숭상하는 마음가짐(崇德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8) 성과를 넓히려면(廣業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9) 어짊에 머무르려면(居仁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0) 의로움에서부터(由義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1) 옛 지성을 배우며(學古齋銘) | 진덕수(眞德秀)의 마음챙김: 1) 몽(蒙)괘(蒙齋銘) | 진덕수(眞德秀)의 마음챙김: 2) 공경함과 의로움(敬義齋銘) | 장식(張栻)의 마음챙김: 1) 공경(敬齋銘) | 장식(張栻)의 마음챙김: 2) 한맛 지키기(主一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2) 글쓰기 사마타(書字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3) 거문고 사마타(紫陽琴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4) 행동거지(窓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5) 그 모습 그대로(寫照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6) 언제나 공손하게(敬齋箴)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7) 숨 고르는 경지 (調息箴)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8) 역(易)을 배움에 조언함(警學贊)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9) 복괘(復卦)의 아름다움(復卦贊) | 장식(張栻)의 마음챙김: 3) 복괘 의미 예찬(復卦義贊) | 장식(張栻)의 마음챙김: 4) 몰입에 대한 조언(主一箴) | 진덕수(眞德秀)가 인도하는 마음 경전(心經贊) | 진덕수(眞德秀)가 말하는 계율(하지말라 勿)의 함의 (勿齋箴) | 진덕수(眞德秀)의 ‘정성(誠)’에 대한 묵상 (思誠齋銘) | 진덕수(眞德秀)의 밤을 경계함 (夜氣箴) | 오징(吳澄)의 사띠(sati): 1) 공경함에 대한 마음챙김(敬箴)

Posted through the AVLE Dapp (https://avle.io)

Sort: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1917.78
ETH 3393.54
USDT 1.00
SBD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