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吳澄)의 사띠(sati): 6) 하늘의 도리를 키우는 마음챙김(長天理銘)

in #avle-pool24 days ago (edited)

천리의 지극함은 오직 어짊(仁)과 의로움(義)일 따름입니다. 어짊은 다만 효(孝)에 있고 의로움은 공경함(悌)에 있을뿐입니다. 부모에게 진실로 효를 다해야 자식이 되는 거고 형제간에 진실한 마음을 다할 때 형제가 될 수 있지요. 진실된 자식이자 형제가 되면 다른 일들도 벗어나지 않는 겁니다. 이것도 제대로 실천하지 못한다면 다른 일들이야 무엇하겠습니까? 인륜에 가장 정성스러웠던 요임금과 순임금도 모두 이 길(道), 효와 공경함(孝悌)에 지극했을 뿐입니다. 이 두 가지를 아는 것이 지혜로움(智)이고 이 두 가지를 때 맞추어 실천하는 것을 예(禮)라 하며 이 두 가지를 미덥게 실천하는 것을 신(信)이라 합니다. 이 두 가지를 보통 일처럼 실천해 가면 즐거움이 생겨납니다.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오상(五常)의 실천이 모두 이 두가지에서 벗어나지 않지요. 신묘한 이치와 우주의 변화도 모두 여기서 비롯되지요. 이를 의심하고 행하지 않으면 불학의 허무주의에 떨어지는데 그럴 듯해 보이고 실재 다른 법도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부모를 모시고 형제간에 공경하는 일을 어째서 어렵게 여길까요? 사람들이 못해서가 아니라 다만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아! 어짊과 의로움은 오직 나에게서 비롯될 뿐입니다. 여기에 힘쓰고 함부로 포기해서는 안됩니다.
 
天理之至 惟仁與義 仁只在孝 義只在弟 苟孝於親 是能爲子 苟弟於兄 是能爲弟 能爲子弟 他不外是 此之不能 何況他事 盡乎人倫 堯舜爲至 然其爲道 孝弟而已 知斯二者 卽所謂智 節斯二者 卽所謂禮 實有二者 卽信之謂 安行二者 樂則生矣 五常百行 不離斯二 窮神知化 亦由此始 如或不然 流入佛氏 名爲周徧 實外倫理 事親從兄 豈不勘易 人非不能 特不爲耳 嗚呼仁義 爲之由己 尙勉之哉 毋自暴棄.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 즉 세상을 이롭게 하는데 먼저 몸가짐부터 닦아야 한다는 유가의 가르침은 진부하기까지 하다. 상식이라서 더 어려운 것이다. 나와 타자의 관계가 시작되는 첫걸음이 가족이니 사회의 미덕이라고 부르는 어짊(仁)과 의로움(義)의 연습은 부모와 형제와의 관계에서 시작된다. 효(孝)와 공경함(悌)이 자연스럽게 몸에 배면 가정을 넘어서 사회 속에서 그 미덕이 어짊과 의로움의 옷으로 갈아입게 된다.


고경중마방(古鏡重磨方)


영조 임금이 사도세자에게 쓴 서문 | 문인 임희지의 서문 | 반명1(盤銘) | 석사단명(席四端銘) | 거울에 새김(鑑銘) | 반명2 (盤銘) | 영명(楹銘) | 지팡이에 새김(杖銘) | 동상에 새김(金人銘) | 최원의 좌우명(座右銘) | 위화란의 좌우명(座右銘) | 백거이의 좌우명(座右銘) | 이지의 좌우명(座右銘) | 초라한 집에 새김(陋室銘) | 물컵에다가 새겨둠(槃水銘) | 이불에다가 새겨둔 글(布衾銘) | 옛 지성인의 띠풀의 예찬(茅齋銘) | 범중엄의 좌우명(座右銘) | 한유(韓愈)의 다섯가지 경계글(五箴): 머리말 | 한유(韓愈)의 다섯가지 경계글(五箴): 1) 노는 것 | 한유(韓愈)의 다섯가지 경계글(五箴): 2) 말 | 한유(韓愈)의 다섯가지 경계글(五箴): 3) 행위 | 한유(韓愈)의 다섯가지 경계글(五箴): 4) 좋고 싫어함 | 한유(韓愈)의 다섯가지 경계글(五箴): 5) 명예 | 진덕수(眞德秀)의 닥나무 찬양(楮衾銘) | 정이천(程頤)이 조심한 4가지 하지말 것(四勿箴) : 1) 보는 것(視箴) | 정이천(程頤)이 조심한 4가지 하지말 것(四勿箴) : 2) 듣는 것(聽箴) | 정이천(程頤)이 조심한 4가지 하지말 것(四勿箴) : 3) 말(言箴) | 정이천(程頤)이 조심한 4가지 하지말 것(四勿箴) : 4) 움직임(動箴) | 장횡거(張載)의 서명(西銘) | 장횡거(張載)의 동명(東銘) | 여대림(呂大臨)의 극기명(克己銘) | 장사숙(張思叔)의 좌우명(座右銘) | 범준(范浚)의 마음에 침놓기(心箴)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 1) 나태해지는 마음에 대한 처방(求放心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2) 덕성을 보존하기(尊德性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3) 도에 대한 사랑(志道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4) 덕에 근거함(據德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5) 어짊에 의지함(依仁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6) 예술적으로 놀기란(游藝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7) 덕을 숭상하는 마음가짐(崇德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8) 성과를 넓히려면(廣業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9) 어짊에 머무르려면(居仁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0) 의로움에서부터(由義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1) 옛 지성을 배우며(學古齋銘) | 진덕수(眞德秀)의 마음챙김: 1) 몽(蒙)괘(蒙齋銘) | 진덕수(眞德秀)의 마음챙김: 2) 공경함과 의로움(敬義齋銘) | 장식(張栻)의 마음챙김: 1) 공경(敬齋銘) | 장식(張栻)의 마음챙김: 2) 한맛 지키기(主一齋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2) 글쓰기 사마타(書字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3) 거문고 사마타(紫陽琴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4) 행동거지(窓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5) 그 모습 그대로(寫照銘)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6) 언제나 공손하게(敬齋箴)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7) 숨 고르는 경지 (調息箴)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8) 역(易)을 배움에 조언함(警學贊) | 주희(朱熹)의 마음 챙김: 19) 복괘(復卦)의 아름다움(復卦贊) | 장식(張栻)의 마음챙김: 3) 복괘 의미 예찬(復卦義贊) | 장식(張栻)의 마음챙김: 4) 몰입에 대한 조언(主一箴) | 진덕수(眞德秀)가 인도하는 마음 경전(心經贊) | 진덕수(眞德秀)가 말하는 계율(하지말라 勿)의 함의 (勿齋箴) | 진덕수(眞德秀)의 ‘정성(誠)’에 대한 묵상 (思誠齋銘) | 진덕수(眞德秀)의 밤을 경계함 (夜氣箴) | 오징(吳澄)의 사띠(sati): 1) 공경함에 대한 마음챙김(敬箴) | 오징(吳澄)의 사띠(sati): 2) 조화로움(和銘) | 오징(吳澄)의 사띠(sati): 3) 새로워짐을 다짐함(自新銘) | 오징(吳澄)의 사띠(sati): 4) 그저 닦을 것을 다짐함(自修銘) | 오징(吳澄)의 사띠(sati): 5) 욕구를 덜어내자 마음챙김(消人欲銘) | 오징(吳澄)의 사띠(sati): 6) 하늘의 도리를 키우는 마음챙김(長天理銘)

Sort: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Coin Marketplace

STEEM 0.23
TRX 0.12
JST 0.029
BTC 66705.81
ETH 3626.46
USDT 1.00
SBD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