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월드컵 D-Day]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36) – 축구를 통해 본 사우디steemCreated with Sketch.

in #kr6 years ago (edited)

사우디아라비아는 폐쇄적인 나라라 선수들이 외국으로 나가지 않아 소위 말하는 ‘해외파’가 거의 없다. 지금까지 5명 정도가 잠깐 외국리그에서 뛰었을 뿐이다. 자국 리그에서 워낙 고연봉을 받기 때문에 사우디 선수들은 외국으로 가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폐쇄적인 사회처럼 축구도 세계화에 전혀 따라가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사우디 축구는 당연히 한계가 있다.

오일달러의 파워가 대단한 사우디는 대표팀에 투자를 많이 하는 나라다. 월드컵 본선 진출을 하거나 국제 무대에서 좋은 성과를 내면 선수단에 두둑한 보너스를 제공한다.

그런데 투자를 많이 하는만큼 간섭도 심한데, 과거 사우디 왕가 사람이 브라질 출신 대표팀 감독에게 주전 골키퍼를 교체하라는 지시를 내렸지만 감독이 이를 무시하자 곧바로 해고해버리는 일도 있었다.

이렇게 간섭이 심하다보니 사우디에서 대표팀 감독으로서 1년 이상 버티기 쉽지 않다.

사우디에는 이슬람교의 성지인 ‘메카’가 있는 이유로 종교지도자들이 파워가 막강해 사회 전반에 엄청난 간섭을 하는데 축구 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이들의 영향력으로 메카에서 축구경기가 열리면 반드시 기도로 시작하고 기도로 끝내야 한다.

나라의 폐쇄성과 왕가의 간섭 그리고 종교적인 영향이 축구에 고스란히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사우디는 그러나 최근 폐쇄성을 아주 약간은 벗고 있다. 2018년 1월 사우디는 사상 처음으로 여성의 축구 경기 입장을 허용했다. 또한 여성을 축구협회 내 위원으로 임명하기에 이르렀다.

사우디는 탈석유 시대를 맞이하며 ‘비전 2030’을 추진 중에 있는데 그 일환으로 여성의 축구 경기 관전을 허용했을 뿐만 아니라 운전면허증도 발급하기 시작했다.

다음은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 작성한 사우디의 비전30 내용이다.

‘사우디 비전 2030’은 활기찬 사회(A Vibrant Society), 번영하는 경제(A Thriving Economy), 진취적인 국가(An Ambitious Nation)라는 3대 영역으로 구성된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대한 개혁 계획이다.

‘사우디 비전 2030’은 대외적으로 국제유가 하락 및 이란의 역내 정치‧ 경제 패권국가로 부상하는 것에 대한 견제, 대내적으로는 높은 실업률 해소 및 신경제성장동력 확보 등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저유가 기조가 지속된다면, 사우디는 향후 재정수지 악화 심화, 외환보유고 감소 등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달성하기 어렵기에 이에 따라 균형재정 유지 및 성장동력 마련을 위한 변화가 필수불가결한 요인으로 부상했다.

사우디는 이에 따라 프로축구팀도 민영화할 계획을 갖고 있다. 따라서 조만간 민간 운영 프로팀이 창설될 것으로 보인다. 사우디의 투자은행인 자드와는 현재 5개 구단의 민영화를 위한 컨설팅사로 선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사우디 프로구단은 정부가 운영했다.

이런 변화도 온전하게 되려면 시간은 좀 더 필요해 보인다.

사우디는 지난 2015년 8월부터 사우디 대표팀을 맡았던 네덜란드 출신의 판 마르바이크 감독이 사우디를 2018 러시아 월드컵 본선에 올려놓았지만 연장 계약을 하지 않았다. 계약 연장을 하지 않은 것은 최종예선 막판에 호주, UAE에게 잇달아 패한 데에 기인한다고 했다.

하지만 진짜 이유는 사우디 고위관계자가 코칭스태프 구성 변화를 요구했는데 판 마르바이크 감독이 이를 거절했기 때문이다. 판 마르바이크는 사우디를 떠난 후 곧바로 호주와 계약을 했다.

한편, 사우디 축구는 90년대가 황금기였다. 1994년 미국 월드컵에서 16강에 진출했고 1998년 프랑스 월드컵에도 출전했던 것. 특히 1994년 미국 월드컵에서는 네덜란드, 벨기에, 모로코 등 강호와 한조에 속했음에도 2승1패의 호성적으로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거꾸로미디어]

[지난 연재 모음]

[러시아 월드컵 D-30]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1) – 축구를 통해 본 미국의 문화충돌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30-1
[러시아 월드컵 D-29]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2) – 축구를 통해 본 유럽중심주의 변화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29-2
[러시아 월드컵 D-28]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3) – 축구를 통해 본 남미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3
[러시아 월드컵 D-27]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4) – 축구를 통해 본 제3세계와 축구https://steemit.com/kr/@gugguromedia/4-3
[러시아 월드컵 D-26]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5) – 축구를 통해 본 한국인의 의식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26-5
[러시아 월드컵 D-25]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6) – 축구를 통해 본 한국인의 의식II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25-6-ii
[러시아 월드컵 D-24]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7) – 축구를 통해 본 미국의 자본주의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24-7
[러시아 월드컵 D-23]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8) – 축구를 통해 본 네덜란드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23-7
[러시아 월드컵 D-23]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9) – 축구를 통해 본 이탈리아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23-8
[러시아 월드컵 D-22]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10) – 축구를 통해 본 독일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22-10
[러시아 월드컵 D-21]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11) – 축구를 통해 본 스웨덴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21-11
[러시아 월드컵 D-20]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12) – 축구를 통해 본 아르헨티나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20-12
[러시아 월드컵 D-19]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13) – 축구를 통해 본 잉글랜드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19-13
[러시아 월드컵 D-18]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14) – 축구를 통해 본 멕시코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18-14
[러시아 월드컵 D-17]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15) – 축구를 통해 본 프랑스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17-15
[러시아 월드컵 D-16]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16) – 축구를 통해 본 이란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16-16
[러시아 월드컵 D-15]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17) – 축구를 통해 본 러시아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15-17
[러시아 월드컵 D-14]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18) – 축구를 통해 본 일본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14-18
[러시아 월드컵 D-13]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19) – 축구를 통해 본 스페인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13-19
[러시아 월드컵 D-12]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20) – 축구를 통해 본 아이슬란드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12-20
[러시아 월드컵 D-11]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21) – 축구를 통해 본 스위스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11-21
[러시아 월드컵 D-10]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22) – 축구를 통해 본 옛 유고연방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10-22
[러시아 월드컵 D-9]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23) – 축구를 통해 본 코스타리카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9-23
[러시아 월드컵 D-8]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24) – 축구를 통해 본 벨기에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8-24
[러시아 월드컵 D-7]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25) – 축구를 통해 본 아프리카(I)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7-25-i
[러시아 월드컵 D-6]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26) – 축구를 통해 본 우루과이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6-26
[러시아 월드컵 D-6]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27) – 축구를 축구답게 보는 방법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6-27
[러시아 월드컵 D-5]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28) – 히딩크! 히딩크! 히딩크!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5-28
[러시아 월드컵 D-4]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29) – 축구를 통해 본 페루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4-29
[러시아 월드컵 D-3]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30) – 축구를 통해 본 덴마크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3-30
[러시아 월드컵 D-2]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31) – 축구를 통해 본 호주&뉴질랜드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2-31-and
[러시아 월드컵 D-1]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32) – 축구를 통해 본 북한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1-32
[러시아 월드컵 D-Day]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33) – 축구를 통해 본 포르투갈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day-33
[러시아 월드컵 D-Day]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34) – 축구를 통해 본 콜롬비아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day-34
[러시아 월드컵 D-Day]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35) – 축구를 통해 본 폴란드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day-35

Sort:  

개회 직전에 감독을 바꿔버린다는것도 참 대단한 일이죠..한편으론 그런 결단력이 부럽기도 하고...하지만 이번에도 좋은 성적을 내기는 불가능해 보입니다.

그렇죠? 이미 첫 경기 결과로 나왔네요...^^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1440.52
ETH 3447.43
USDT 1.00
SBD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