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월드컵 D-20]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12) – 축구를 통해 본 아르헨티나

in #kr6 years ago (edited)

soccer22.jpg
Description: Diego Maradona celebrates his goal v. Italy at the 1986 FIFA World Cup.

1882년 2월 왓슨 허턴이라는 교사가 스코틀랜드에서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로 이주한 후에 축구가 소개됐다. 이후 허턴이 중심이 돼 아르헨티나에 축구리그가 탄생했고 그가 세운 세인트앤드류스학교가 1891년 우승을 차지했다.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이탈리아 등에서 이주한 이주민들이 축구에 더욱 집중하면서 아르헨티나는 축구의 나라로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아르헨티나의 이웃 나라인 우루과이도 같은 방식으로 축구가 발전하자 이미 1901년에 국가대항전을 벌이는 등 활발히 축구 문화를 만들어가기 시작했다.

1910년에는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칠레가 3개국 국가대항전을 열어 국제대회의 모습을 갖췄다. 이는 이후 남아메리카축구연맹이 창설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이 무렵 영국의 유명 구단들이 아르헨티나를 비롯해 남아메리카 축구 방문을 하면서 축구 열기는 더욱 뜨거워졌다.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기 전까지 축구는 아르헨티나에서 완전히 자리를 잡았다. 그리고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노동계층이 축구를 장악하면서 대중 스포츠로서 자리를 굳혔다.

대부분의 라틴 아메리카 국가가 그렇듯이 축구는 아르헨티나 정치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1930년대에 아르헨티나의 노동계층이 축구를 장악했는데 중상류층이 이에 위기 의식을 느꼈다. 당시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주간지인 ‘엘 그라피코(El Grafico)’는 상류계층이 축구에 대한 통제력을 잃게 되자 럭비와 크리켓으로 관심을 옮기고 있었다고 썼다.

하지만 계급과 부의 소유에 관계 없이 아르헨티나 사람들은 대체로 축구에 몰입했다. 축구의 인기가 높아지자 아르헨티나는 남미에서 처음으로 축구를 프로화시켰다.

1930년대 아르헨티나에서 축구는 가우초(gaucho: 대초원 지대를 무대로 한 유목민), 아사도(asado: 구운 소고기 요리)와 함께 아르헨티나 국가를 상징하는 문화의 주요 일부가 됐다.

아르헨티나에서 빼놓을 수 없는 문화가 된 축구는 이후 정치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했다. 1940년대 이후 아르헨티나 정권은 축구를 앞세워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이뤄내려고 했다. 축구는 페론주의 정권(1946-55)에서 주요한 대중 문화가 됐고 이후 축구에서의 성패는 국민의 환희와 좌절에 영향을 미쳤다.

1970년대에 군사정권은 자신들의 치부를 가리고 국민의 관심을 정치 밖으로 돌리기 위해 월드컵 유치에 나서는 등 축구를 국민과의 갈등 해소 도구로 활용했다. 스포츠 경영학자인 지만스키는 1970년대 군사정권 당시 아르헨티나의 상황을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축구에 대한 열정이 극에 달한 아르헨티나에서 독재자들은 축구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었다. 1975년 FIFA는 1978년 월드컵 개최지를 아르헨티나로 결정했으나 그 다음해 아르헨티나에 군사정권이 들어서는 상황이 벌어졌다. 권력을 잡은 아르헨티나 군사정권은 라디오와 TV의 모든 프로를 중단시키고 군사 행진곡을 반복 방송했다. 방송이 허용된 유일한 프로는 폴란드와 아르헨티나 간의 축구 경기였다. 당시 아르헨티나는 파산지경이었지만 국가 예산의 약 10%를 월드컵 대회 준비에 사용했다.”

군사정권이 국민에게 만족을 주지 못함을 잘 알았기에 축구에 대한 만족감으로 대신하는 분위기를 연출했던 것으로 보인다. 과거 한국에서 군사정권이 국민의 관심을 정치 밖으로 돌리는 도구로 스포츠를 사용한 것과 비슷한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soccer23.jpg
Description: Mario Kempes celebrating a goal in the final match v. Netherlands, at the 1978 FIFA World Cup.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에서 군사정부는 페루 군사정권에 3만5,000톤의 곡물과 5천만 달러를 무상으로 지원했는데 이는 페루와의 경기에서 4-0으로 승리해야 다음 라운드에 진출할 수 있었기 때문에 했던 일종의 뇌물이었다.

당시 막강 전력을 자랑했던 페루는 주전 4명을 빼고 0-6으로 패했다. 남미에서 축구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이 대륙의 독재자들이 잘 쓰는 수법이었는데 아르헨티나에는 이미 1966년부터 1970년까지 군사독재자인 온가니아(Ongania)가 축구를 적절하게 정치적으로 이용한 바 있다. 그러한 일이 아르헨티나 현대 역사에서 계속 반복했다.

정부가 축구를 적절하게 이용하기는 했지만 그것이 아르헨티나 국내리그가 세계적인 리그로 성장하는 데까지 이어지지는 않았다. 아르헨티나는 독재자들로 인해 대체로 국내 정세가 불안했고 축구리그가 안정되게 운영되는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았다.

전 세계적으로 축구 강국으로서 대접을 받은 나라이면서도 아르헨티나 국내 리그는 그야말로 혼란 그 자체였다. 꽤 오래전부터 아르헨티나 스타 선수들은 유럽에서 뛰기를 원했다. 유럽은 그들에게 돈을 벌 수 있는 곳이었다.

아르헨티나 국내 리그의 상황이 어느 정도 심각했냐하면 1980년대 최강 클럽은 국제 클럽 대회에 2군을 내보내고 대신 출전료를 많이 받을 수 있는 유럽 순회 경기에는 1군을 보내 구단 운영비를 벌 수 있었다.

따라서 아르헨티나 축구 팬들의 클럽에 대한 충성심은 크게 낮은 편이었다. 세계 최강의 축구 국가에서 국내 리그가 형편 없이 운영되는 아이러니한 일이 벌어진 것이다. 이는 21세기 들어서도 크게 나아지고 있지 않은 형편이다.

아르헨티나 국내 리그가 성장하지 못한 또 다른 이유 중 하나는 ‘바라스 브라바스 (Barras Bravas)’의 존재다. 일명 아르헨티나 판 ‘훌리건’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들의 영향력은 유럽의 훌리건 그 이상이다. 이들은 한 클럽 운영을 좌지우지할 수 있을 정도로 그 영향력이 막강하며 조직의 폭력성까지 있어 사회적인 이슈로 등장할 때가 자주 있었다.

축구 클럽을 운영하는 사람들은 팬들의 투표로 선출되는데 여기서 극성스러운 바라스 브라바스의 영향력은 거의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클럽 운영자는 차후에 정치에 입문하는 경우가 많기에 이들은 정치적으로도 악영향을 끼치는 단체로 자라났다. 금품 살포는 기본이고 폭행과 살인으로 20년 형을 선고받은 바라스 브라바스 멤버도 있었다.

바라스 브라바스는 아르헨티나 국내 리그의 성장을 막을 뿐만 아니라 국내 정치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쳐 결국 사회를 어지럽히는 존재들이 됐다. 그러면서도 이들을 사회에서 축출할 수 없는 이유는 그들이 정치인이나 경영자가 아닌 열렬한 축구 팬들이기 때문이다.

아르헨티나는 국내 축구 리그가 성장할 수 있는 토대는 분명히 있었지만 상류층의 외면과 군사정권의 등장 그리고 국내 경제의 불안 등으로 제대로 뻗어나가지 못했다고 분석할 수 있다. 아르헨티나의 축구 시장은 21세기들어 엄청난 규모로 성장했지만 여전히 유럽의 빅리그와 견주면 왜소해 보이는 게 사실이다.

그럼에도 아르헨티나는 계속 세계적인 스타 플레이어를 배출해내고 국가대표가 국제무대에서 계속 정상의 기량을 보이는 것은 역시 ‘민초’의 축구에 대한 사랑이 항상 정점에 있기 때문이다. 아르헨티나 축구 스타들은 대부분(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그 배경이 초라하다.

이들은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폐허지나 슬럼가에서 성장하면서 축구 선수로서 큰 돈을 벌고 유명해지겠다는 일종의 헝그리 정신이 강하다. 축구 자체를 즐기는 분위기도 물론 있지만 성공에 대한 꿈이 그들이 축구를 더 잘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국내 리그는 빈약하기에 그지 없지만 일단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에서 축구를 잘한다는 평가를 받으면 부와 명예가 보장된 유렵 축구 리그로 갈 수 있기에 어린 축구 선수들은 ‘안심하고’ 자신의 삶을 축구에 던진다.

아르헨티나가 낳은 영웅 디에고 마라도나는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가난한 집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10세 때부터 축구를 시작해 훗날 펠레와 함께 20세기 최고의 축구 선수로 성장한 바 있다. 아르헨티나는 마라도와와 같은 선수를 유럽에 잃고 싶지 않았지만 국내 리그의 여건상 그가 이탈리아로 떠나는 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아르헨티나 축구팬들은 1930년대에도 이탈리아에 대거 선수를 빼앗기고 그들이 국적을 변경해 이탈리아 대표로 뛰는 것을 보면서 분노했다. 그래서 아르헨티나에 프로리그가 생겼다.

하지만 시간이 많이 지난 21세기에도 아르헨티나 축구 스타들의 꿈은 결코 국내 리그에서 뛰는 게 아니다. 어떻게 해서든 성공해서 유럽의 빅리그 구단과 계약을 하는 것이 그들의 유일한 소망이다. 그러한 그들의 희망은 거의 종교적이기까지 하다.

아르헨티나가 단순히 스타 파워 때문에 축구를 종교적으로 좋아하는 것만은 아니다. 아르헨티나에서 축구는 삶의 중요한 방식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은 축구로 인해 행복해하고 축구로 인해 일치 단결이 된다.

아르헨티나에서 계층간의 화합이 일어나는 유일한 문화가 축구이다. 축구에 대해서는 빈부의 격차도, 사회적 지위도, 명예도, 학력도 중요하지 않다는 게 아르헨티나 축구의 매력이라고 할 수 있다.

아르헨티나인들은 축구를 통한 화합을 지난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에서 경험했다. ‘축구 투쟁의 역사’라는 책을 쓴 사이몬 쿠퍼(Simon Kuper)는 당시 상황을 증언한 한 아르헨티나 국군장교의 말을 다음과 같이 받아 적었다:

“모든 시민이 길거리로 나와 기뻐했다. 진보주의자들은 페론주의자들와 껴안았고 가톨릭신자는 개신교신자, 유대교신자와 부둥켜 안았다. 우리는 아르헨티나 국기를 들고 한 마음이 됐다.”

한국인이라면 2002년 월드컵 당시의 상황과 1978년 월드컵 당시의 상황과 비슷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986년에도 월드컵 우승팀이 된 아르헨티나의 축구 팬과 대화를 나눌 때 축구 전문가 수준이 되어야 한다. 그들은 대부분 축구 선수이거나 축구 전문가이기 때문이다.

아르헨티나 국내 리그가 성장하지 않았다고 해서 한국을 연상하면 안 된다. 그래도 축구가 대표적인 문화 현상인 나라이기에 아르헨티나 국내 리그는 세계적인 수준은 아니더라도 활발하게 움직여지고 있다.

아르헨티나의 수도인 부에노스아이레스에만 무려 24개 프로 구단이 있다는 사실은 놀랍다. 그래서 도시를 대표하는 개념보다는 동네를 대표하는 개념이 더 강하다. 팬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구단을 응원하는 것보다 자신이 태어나서 자란 곳을 근거지로 한 구단을 응원한다.

부에노스아이레스에 24개 프로구단이 있지만 대표적인 구단은 라 보카(보카 주니어스), 리베르 플라테, 인디펜디엔테, 산 로렌소 등이다. 라 보카(보카 주니어스)와 리베르 플라테의 경기는 아르헨티나 전 국민이 관심을 갖는 라이벌전이다. 최고의 라이벌전이 도를 넘어서 살인 사건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지난 1994년 4월 보카주니어스의 팬들이 두 명의 리베르플라테 팬들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했던 것이다. 그런데 섬뜩한 사실은 클럽들은 폭력적인 서포터들에게 대가를 지불했다는 것이다. 상대팀의 선수나 관계자에게 폭력을 사용하고 위협과 협박을 하는 서포터에게 수고비가 지불됐다.

아르헨티나는 그야말로 ‘축생축사’(축구에 살고 축구에 죽는)의 나라라고 할 수 있다.

아르헨티나는 2014년까지 총 16차례 월드컵에 진출해 우승 2회, 준우승 2회, 77차례 경기에 42승14무21패를 기록했다.

2018년 러시아 월드컵 남미 예선에서 아르헨티나는 콜롬비아, 칠레, 우루과이 등 강호를 눌렀지만 페루, 베네수엘라, 파라과이 등에는 단 1승도 거두지 못하는 희한한 결과를 남겼다. 아르헨티나는 18경기에서 7승7무4패를 기록해 브라질, 우루과이에 이어 3위에 올라 본선 진출을 이뤘다.

soccer24.jpg
Description: Lionel Messi celebrating scoring a goal against Granada CF in October 2014. /Date: 27 September 2014, 18:34 /Source: LFS_14039 /Author: Lluís from Sabadell (Barcelona), España

아르헨티나 역대 최고의 스타는 앞서 소개한 디에고 마라도나이고 현존하는 스타는 리오넬 메시다. 그는 FIFA 발롱도르를 4년 연속 (2009, 2010, 2011, 2012) 수상한 바 있고 2015년에도 같은 상을 받아 역사상 처음으로 세계최고의 선수에게 주어지는 발동도르를 5회 수상한 첫 번째 선수가 됐다. 그는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는 ‘골든볼(MVP)’을 수상했다.

[거꾸로미디어]

[지난 연재 모음]
[러시아 월드컵 D-30]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1) – 축구를 통해 본 미국의 문화충돌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30-1
[러시아 월드컵 D-29]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2) – 축구를 통해 본 유럽중심주의 변화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29-2
[러시아 월드컵 D-28]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3) – 축구를 통해 본 남미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3
[러시아 월드컵 D-27]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4) – 축구를 통해 본 제3세계와 축구https://steemit.com/kr/@gugguromedia/4-3
[러시아 월드컵 D-26]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5) – 축구를 통해 본 한국인의 의식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26-5
[러시아 월드컵 D-25]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6) – 축구를 통해 본 한국인의 의식II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25-6-ii
[러시아 월드컵 D-24]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7) – 축구를 통해 본 미국의 자본주의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24-7
[러시아 월드컵 D-23]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8) – 축구를 통해 본 네덜란드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23-7
[러시아 월드컵 D-23]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9) – 축구를 통해 본 이탈리아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23-8
[러시아 월드컵 D-22]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10) – 축구를 통해 본 독일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22-10
[러시아 월드컵 D-21] 축구와 문화 그리고 사회 (11) – 축구를 통해 본 스웨덴
https://steemit.com/kr/@gugguromedia/d-21-11

Sort:  

축구 글 봤네요.바쁜 사회 생활속에서 좋은 글을 읽는 낙을 즐기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감사드려요~ 표현해주시니 힘이 납니다...계속 하루에 하나 글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ㅎㅎㅎ축구와 문화에 대해서 얘기해주셔서 흥미가 생겼네요. 정성글에는 항상 추천입니다.

감사~감사~

Coin Marketplace

STEEM 0.18
TRX 0.14
JST 0.029
BTC 58132.39
ETH 3138.08
USDT 1.00
SBD 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