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와 과학 - 현재편 (과학고등학교란?)

in #kr-series6 years ago (edited)

2.PNG

안녕하세요! 만두 ( @aksen ) 입니다.

오늘도 저에 대해서, 그리고 제가 다니고 있는 과학고에 대해서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저와 과학고 생활에 대해서 한번에 쓰기엔 너무 길다보니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세 파트로 나눠서 포스팅해보고자 하는데요.

과거파트는 과학고에 입학하기 전의 저의 삶을 큰 전환점 몇 가지로 소개하게 될 것 같고요.

현재파트는 주로 현재 다니고 있는 과학고에 대한 이야기,

미래파트는 제 꿈에 대한 이야기가 될 것 같습니다.

글 하나당 한파트씩 나눠서 올리게 될것 같네요.

저번에 과거편 을 올렸으니 오늘은 현재편이 되겠습니다! 과학고에 대한 이야기는 보다 객관적으로 전달해보고자 합니다.


현재 - 서있는곳, 실크로드?

저는 현재 한성과학고등학교에 재학중입니다. 가장 위에 있는 사진이 저희 학교 사진인데요.
서대문형무소 옆에 위치한 저희 학교는 올해로 27년째 입니다. 많은 분들이 과학고는 뭐가 다른지 궁금해하시는데요, 3년차인 제 경험을 바탕으로 차이점을 써보고자 합니다.

과학고??

일단 이름부터 과학고인만큼 과학,그리고 수학을 비중있게 배우는 특목고입니다.
선발은 도 단위로 7~8월부터 11월 까지 하는데요, 좀 이따가 더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도 단위로 학생을 뽑기 때문에 저희 학교는 전교생이 서울 곳곳에 살고 있습니다. 때문에 학생들의 편의를 위해 기숙사를 제공합니다. 때문에 월요일 아침이면 전교생이 캐리어를 끌고 기숙사에 들어와서, 금요일에 캐리어를 끌고 나갑니다.

3.PNG

남학생은 요런 4인실을 제공합니다. 기숙사에는 침대와 옷장밖에 없고 공부는 자습실에서 따로합니다.
기숙사에 책상이 없는 이유가 밤에 안자고 다들 공부만 해서라네요..ㄷㄷ

말 나온김에 알려드리자면 자습시간은 18:30 부터 23:20 까지 입니다. 집에가는 금요일을 빼면 일주일에 4번을 자습실에서 보내게 되죠.

다음은 과학고에 오면 어떤것을 배우는지 보여드릴까 합니다. 긴 말없이 시간표 먼저 보여드리도록 하죠.

4.PNG

3학년 기준 시간표입니다.
수학이 일주일에 미적분 5시간, 심화수학 2시간으로 총 7시간, 과학이 물리 3시간, 화학 3시간, 생물 3시간, 지구과학 2시간으로 총 11시간 있네요.
그에 비해 국어와 영어는 각각 2시간입니다. 심지어 음악, 미술은 각각 1,2학년때 배우고 더이상 배우지 않아요.

보시는 시간표와 같이 수학 과학에 매우 편중되어 있고, 정기고사 자체도 대부분 주관식으로 나오기 때문에 수능을 보기에는 매우 불리합니다.
( 그럼에도 모의고사를 보면 따로 공부 안하고 봐도 2~3등급은 다들 나오더군요...흠...)
그래서 대부분 수시로 대학을 가게 됩니다.

배우는 수준또한 꽤나 높은 편입니다. 2학년때 까지 수학 과학은 대학교 1학년 수준까지는 끝내니까요. 3학년때는 2학년때까지 배운 과목을 복습 + 영어로 배울 뿐입니다.
제 동기들 얘기만 들어도 대학교 1학년때는 놀아도 학점이 잘나온다고 하네요.

어? 어떻게 동기가 대학에 다니냐고요? 이 점이야말로 다른 일반고와 가장 차이나는 점이겠네요.

과학고는 조기졸업, 진학제도가 있어서 2학년까지만 공부하고 대학교로 진학이 가능합니다.
전에는 8~90%의 학생이 조기 졸업,진학을 했지만 현재는 정책의 변화로 40%정도만 조기 졸업,진학이 가능합니다. 물론 성적순으로 말이죠.

그래도 한 학년 140명중에 40명 정도는 조기졸업,진학을 통해 대학에 갑니다.
저는 서울대를 생각해서 조기진학을 선택하지 않았는데 막상 대학에 있는 동기들 보면 부러울때도 많네요...ㅎㅎ

또다른 과학고만의 매력은 실험수업을 많이 하고 학생이 주도적으로 연구하는 과제연구와 R&E를 한다는 점입니다.

실험수업을 다들 대충 짐작하실수 있을거라 생각하고 과제연구와 R&E에 대해 좀더 설명해드릴게요.
과제연구는 학생2명과 지도교사 1명이 팀을 짜서 학생이 직접 탐구주제를 선정, 이에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논문을 작성 및 발표하는 것입니다.
R&E도 이와 비슷한데요, 차이점이라면 지도교사대신 대학과 연계하여 지도교수가 있게되죠.

학기별로 한번있는 과제연구기간이 최근에 있었는데요, 입시하느라 바쁜 3학년을 제외하고 1,2학년이 진행했고 저를 비롯한 몇몇 3학년들이 멘토로서 도움을 주었습니다. 아래는 후배들이 과제연구를 진행하는 사진입니다.

20180530_153428.jpg
20180529_151645.jpg
20180529_155628.jpg
20180529_160559.jpg
MSGR_PHOTO_FOR_UPLOAD_1527662238620.jpg_1527662240281.jpeg

서로 토론하고 머리를 맞대어 고민하는 모습이 좋았어요.
(제 과거가 생각나서 안쓰러워 보였던건 비밀입니다... 사실 실제로 하면 힘들어 죽을거 같아요)

마지막으로 소개할 것은 수학여행입니다.
고등학교때는 다들 멀고 좋은곳으로 간다지만 과학고는 좀 특별합니다.

2학년때는 제주도로 자연탐사하러 3박4일? (기억이 가물가물) 갑니다.
그리고 1학년때는 무려 미국!으로 이공계 대학탐방하러 6박8일로 가요.

아직도 미국 가서 놀았던게 고등학교 3년중에 재일 재밌었던거 같아요. ㅋㅋㅋ

과학고 진학의 장단점

일반고와의 차이점을 이정도 알아봤으면 이제 장단점을 비교해보도록 할게요.

우선 장점은 좋은 대학가기가 쉽다는 점입니다.
한 학년에서 서울대가 10명정도, 카이스트와 포항공대가 40명, 남은 사람들도 연세대나 고려대, 그 외 서울에 있는 이름있는 대학에 진학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좋은 대학에 진학하는것 치고는 다들 여유로워요(?)

다른 일반고 3학년들은 2학년 겨울방학 3개월이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 3학년이 되고도 3월부터 수능을 준비하느라 바쁘죠.

근데 저를 비롯한 제 동기들을 보면 이게 고등학교3학년이 맞나 싶습니다. ㅋㅋㅋ
다들 2학년 겨울방학에 침대를 빈둥빈둥하며 놀면서 시간을 보냈다고 하네요.
3학년이 되서 전보다 공부를 열심히 하는거 같긴한데 그래도 점심시간에는 다들 노트북을 하거나 친구들과 놀고다녀요. ㅎㅎ 일반고에서 이렇게 하면 인서울도 힘든데 말이죠.

또 다른 장점은 수학 과학을 좋아하는 학생에게는 최고의 학교라는 점입니다.
거의 일주일에 2번정도는 실험수업이 있고 수업역시 수학 과학이 주가 되고, 과제연구나 R&E 같은 활동도 있으니까요.
또 주위의 친구들 역시 비슷한 얘들이라 같이 질의응답하며 토론하기도 쉽습니다.

다만 단점이라고 하면 학업 스트레스일까요...
아무래도 수시 위주이다보니 내신 성적이 중요하고, 상대평가로 하기 떄문에 하위권이 되면 스트레스가 엄청나다고 합니다...
그래서 다들 바쁘게 삽니다. 주중에는 학교에서 11시가 넘도록 자습을 하고 금요일에 집에와도 쉽게 쉬지를 못해요. 금토일에도 학원을 가야 내신경쟁에서 밀려나지 않으니까요. 부모님 돈도 꽤나 많이 깨집니다.

물론 혼자서 자기주도학습을 통해 내신을 유지하는 얘들도 있습니다만 대부분 학교와 학원을 왕복합니다.

개인적인 평가를 하자면 학업 스트레스를 받아도 과학고가 좋은것 같습니다. 내신 꼴지를 해도 인서울은 쉬운 편이니까요.

과학고 도전!

그럼 마지막으로 어떻게 하면 과학고에 들어올 수 있느냐! 를 간단히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과학고 입학 자체는 어렵지 않습니다. 중학교때 내신만 잘나오고 수학과학에 관심만 많다면 중학교 선생님과 상담을 통해 자기소개서와 추천서만 잘 받으면 올 수 있거든요.

하지만 입학이 끝이 아니죠. 입학 후가 더 중요하다고 보는 사람들이 더 많습니다.

따라서 과학고 입학 후 내신을 위해, 그리고 과학고 입학 확률을 더 높이기 위해 대부분 과학고 입시준비 학원을 다니게 됩니다.

저 역시 중학교 1학년때부터 준비했는데요. ( 사실은 과학고 준비라기보다는 영재고 준비였죠)
학원에서 배운 높은 수준의 수학 과학덕에 중학교 내신도 따기 쉬웠고 중학교 선생님께 눈에 띄어서 전폭 지지를 받아 과학고에 쉽게 입학했습니다.
또한 여기 입학하고 나서 지금까지도 중학교때 학원에서 배운 내용이 도움이 됩니다.

큰 그림을 위해서라면 학원을 다니는 편이 좋은 것 같아요.

과학고 입시는 3단계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1단계는 서류평가, 2단계는 서류 기반면접, 3단계는 융합 수학 과학 면접입니다.

서류평가에서는 중학교 생활기록부와 자기소개서, 추천서가 있습니다.
서류 기반 면접은 본 한성과학고에 지원자들이 순차적으로 와서 1단계에서 제출한 서류를 바탕으로 면접을 보고,
마지막 융합 수학 과학 면접에서는 수학과 과학을 융합적으로 2~3문제 정도 면접을 봅니다.

전체적으로 경쟁률은 10:1정도 되는거 같네요.

어떤가요? 과학고, 좋아보이지 않나요?
중학생 스티미언 분들이나 중학생 자녀를 두신 스티미언분들이라면 한번 고려해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다음편인 제 진로에 대한 생각을 끄적여볼 나와 과학 - 미래 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이전글 보기


천하제일연재대회

나와 과학 - 과거편 (영재는 축복받은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화학] 방사선? 원전? 동위원소!
[제3회 천하제일연재대회] 참가번호 1번 aksen 입니다!


과학

[물리실험] 광전효과 - 실험
[물리실험] 광전효과 - 이론
[물리] 천둥과 번개
[생물] 노화와 텔로미어
[화학] 손난로와 에어백의 화학 - 화학평형과 깁스자유에너지
[화학] 배터리 수명연장을 위한 팁 - 배터리와 화학 (2)
[화학] 배터리 수명연장을 위한 팁 - 배터리와 화학 (1)


일상

[일상] 오래 쉬니까 늘어지는것 같네요
[일상] (노스포)데드풀 2 후기
[일상] 한성 과학의 날 - 스턴트 달걀
[일상] 방금 학교 바로 옆에 번개가 떨어졌어요 ㄷㄷ
[일상] 대만은 어떤 나라일까?
[일상][봉사]행복을 파는 장사꾼
[일상][봉사] - 인덕원에서의 봉사활동


그 외

[테이스팀] 스시 전문점 아츠마루 공릉동 본점
보팅봇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팔로워 200명 이벤트 당첨자 발표!!
팔로워 200명 기념 이벤트 진행합니다!!
오.. 뭔가 비지가 색깔이 바뀌었네요?
어제 고팍스에 새로 가입했습니다!
요즘 살짝 고민이네요..
대역폭 제한에 걸려본 소감 - 스파 임대 받고싶어요


이벤트 중입니다! 일상생활을 하면서 궁금증이 들었던 점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관련 주제에 대해 궁금증이 해결되도록 포스팅해드립니다!
포스팅할 주제를 질문해주신 분에게는 관련 주제에 대한 포스팅 당일0.5SBD 을 보내드리겠습니다!!

Sort:  

Go here https://steemit.com/@a-a-a to get your post resteemed to over 72,000 followers.

아하 전교생이 기숙사 생활을 하는군요~ 그럼 미국 이공계 탐방이면 보스턴으루 갔나용??

매년 달라지기는 하는데 저희는 동부로 갔어요. 뉴욕쪽이랑 MIT, 하버드, 예일대....잘은 기억안나지만 공과대학 대여섯군대는 들린거 같아요

오호 엄청 재밌었겠어요 ㅎㅎ 어디가 제일 맘에 들던가요??? 다음 글도 기대할게요!!

저는 본 일정표 시간보단 친구들과 논 자유시간이..ㅋㅋㅋ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단위가 아니라 서울시내에서만 뽑습니다

서울 말고 전국 20개의 과학고는 도단위로 뽑는걸로 알고있어요~

과학고에 대해 많은걸 알았어요. 잘봤어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중학교 내신은 얼마나 나와야 하는지 궁금하네요
수학, 과학 a면 되는지
a도 99점이 있고 91점이 있어서
무조건 a면 되는지 궁금해요

주변에 과고 희망하는 아이가 있어서요~

서울대로 고고~ 화이팅 입니다...

중학교 내신은 일단 수과뿐만 아니라 전학년 올 a가 좋습니다.
그렇다고 b한두개 있다고 떨어지는거는 아니에요

그리고 보통 중학교는 과목별 석차가 아니라 전과목 통합 석차가 나올텐데 그게 더 중요합니다.

저는 8~9%였는데 이건 쌤들한테 잘보여서 추천서를 잘받은 특수한 경우고 보통 4%안쪽이여야 붙을 가능성이 높아요
때문에 모든 과목이 높을수록 좋습니다.

물론 과학고기때문에 수과 과목이 점수가 더높으면 좋겠지만 큰상관 없습니다. 수과에 대한 관심은 자기소개서로 보여주면 되니까요.

또한 영재고 준비또한 큰도움이 됩니다. 설령 떨어진다라더라도 영재고 지필평가를 통과했다던가 하는 것을 자기소개서에 녹여낼수 있다면 좋아요.
과고 입시문제는 쉽기때문에 영재고 입시문제같은 어려운 지필평가를 통과했다는 것 만으로도 과고 입장에서는 검증된 사람이니까요

자세한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지인분께 꼭 전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다행입니다

잘보고 갑니다. 보팅드려요

이렇게 멋진 고3은 첨 봅니다. ㅎㅎ
대단한 실력과 능력을 갖춘 인재들이
수학 과학 경제 연구 분야에 더 뛰어들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가상화폐 개발한 일본의 그 사람(이름 까먹음 ㅜㅜ)
처럼요. ㅎ

감사합니다 ㅎㅎ
팔로우 했어요!
앞으로도 간간히 방문과 보팅 해주세요!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8
BTC 64097.37
ETH 3476.43
USDT 1.00
SBD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