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어디까지 가봤니?] 지구를 흔들다

in #sndbox7 years ago (edited)

달과 기린을 그려주신
@leesongyi 작가님 고맙습니다.


지진은 언제, 왜 발생할까?

왜 어떤 곳에서는 지진이 자주 일어나고
어떤 곳에서는 잘 일어나지 않을까?

지진은 지금도 예측하기 어려운 재난이지만
지진이 일어나는 주된 원인은 알아냈다.

지구의 지각은 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판이 운동하며 지진을 일으킨다.

판 구조론

출처 : 위키미디어

지금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만
이것이 받아들여지기 시작한 건
불과 50여년 밖에 되지 않는다.

1970년대에도 MIT 대학에서
지질 변화의 원인을 암석의 밀도 차에 따른
부력 때문이라고 가르쳤다고 한다.

로버트 헤이즌 교수의 증언

1900년대 초 대륙이 움직인다는
대륙 이동설이 발표되었으나 터무니 없는 이야기로 취급받다가

1960년대 해저 확장이라는 증거가 속속 발견되며

오늘날 판 구조론이 되었다.

덕분에 모든 교과서가 다시 쓰였다.

과학은 여러 차례
전복의 순간을 거치며 발전해왔다.

뉴턴은 모든 물체가 서로를 당기는 힘,
중력으로 사과가 떨어지는 현상을 설명했고

뉴턴의 사과나무, 출처 : 위키미디어

아인슈타인은 중력이 시공간의 왜곡이라고 했다.

다윈은 모든 생명체가 나무가지처럼 갈라지며
진화한다고 했고

생명의 나무, 출처 : 위키미디어

왓슨과 크릭은 DNA의 이중나선구조를 알아내
복제의 매커니즘을 밝혀냈다.

판 구조론은 지구과학을 뒤흔든
혁명적인 이론이었다.

패러다임의 전환

하나의 학설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기까지는
여러 분야에서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있다.

판 구조론 또한
세계지도가 만들어지고부터
씨앗을 품고 있다가

알프레트 베게너에 이르러
싹이 핀다.


배너를 그려주신 @leesol 작가님 고맙습니다.


읽고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알려주시는 분에게는 tipU :)

#kr-science 태그에서 다양한 과학 글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과학 글 더 보기

<지구 바깥, 태양계>
지구 밖 푸른 행성
명왕성을 잊지 말자
카이퍼 벨트와 오르트 구름
인간이 도달한 유일한 천체, 달
하루는 짧고 날은 많았던 지구의 1년
인류가 달의 뒷면을 보기까지
인류는 결코 달에 간 적이 없다?
그림자가 그린 그림
달은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만약 달이 없다면?

<지구, 어디까지 가봤니?>
지구 : 지질시대의 서막
모래 알갱이 하나가 들려주는 이야기
젊고 희미한 태양 역설
물과 기름 같은 지구의 내부 구조
지구를 파보면 (feat. 콜라 시추공)
P파와 S파, 어디서 들었더라?
지진을 관측하다
인간이 만든 지진

<도전 : 양자역학>
알파-베타-감마
원자를 들여다보다
원자 모형의 역사
모든 곳에 존재하는 전자
양자역학의 모든 것이 이 실험 속에 들어있다
코펜하겐 해석

Sort:  

과학의 페러다임의 전환이 1900년대 정말 많이 발생했죠!
앞으로는 더 빨라지는거 같기도 합니다.... ㅎㅎ

얼마전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주다가 태양계를 도는 행성이 9개라고 했더니 아이들은 8개라고 하더군요. 알아보니 명왕성은 행성으로 안친다는 이야기가...
허... 그런데 얼마전에 또 명왕성을 다시 행성으로 인정한다고 기사가 뜬것 같기도 하고... 무엇인가가 정설로 인정받으려면 수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걸 느끼는 순간이었습니다. (그래서 명왕성은 행성인건가? ㅎㅎ)

ㅎㅎ 명왕성은 행성에서 제외되었습니다. 명왕성을 행성으로 치게 되면 더 여러개를 행성으로 할 수 밖에 없어서요. ^^

세계에 의미를 부여하고 해석하며 결국 예측을 해내는 인간은 어떻게 보면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한편으론 이 큰 우주에 우리만 있지는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어떤 세계에서는 과연 과학이라는 학문이 어떠한 이름으로 존재하고 있을지 궁금하기도 하고요 :)

저도 우주에서 이렇게 작은 지구에 있는 인간이 이런 사실들을 알아낸다는 게 너무 놀랍고 신기할 때가 많습니다. ^^

지진이 요즘 많아지는데 급 전에 배운 지구과학에 대한 호기심이 많아졌는데 윤님의 글을 읽고 그 호기심이 더 커져만가네요^^

ㅎㅎ 그러셨군요. 좋은 책 읽게 되면 저도 좀 알려주세요 :)

다윈, 뉴턴, 아인슈타인, 왓슨, 크릭 모두 낯이 익은 분들이네요 ㅎㅎㅎ

ㅎㅎ 다들 너무 유명한 분들이죠.

비교적 쉽게 받아들여지는경우도있고 죽어서야 받아들여지는경우도있고 ㅎㅎㅎㅎ

ㅎㅎ 기존 과학자들이 죽어서 패러다임이 바뀌는 경우도 많이 있죠.

안녕하세요^^yoon님 당차게 인사드립니다 어제 가입한 해피입니다! 스티밋에 큰 획을 긋겠습니다 앞으로 잘부탁드립니다.
이런 주제로 글을 올려도 되는군요!!! 과학을 좋아하진 않지만 쉽게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스팀잇에 다양한 글이 많으면 좋을 거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어릴 적 읽던 과학동아가 떠오르네요
흥미롭게 잙 읽었습니다!

과학동아는 지금 읽어도 재미있더라고요 ㅎㅎ

포항 지진이 생각나네요.......
윤님만의 과학 칼럼은 늘 깔끔한것같아요!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6
JST 0.033
BTC 64041.25
ETH 2762.17
USDT 1.00
SBD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