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앱 개발기 #62 - bridge.get_ranked_posts API의 응답 자료를 맡을 데이터 클래스 수정
시작하며...
bridge.get_ranked_posts API의 응답 자료를 맡을 데이터 클래스를 #60에서 구현했었습니다. 그런데요... PostItemDTO 객체를 PostItem 객체로 변환하는 코드를 아직 안 만들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를 수행하는 toPostItem() 메소드를 구현하구요. 그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필요한 메소드들을 다른 데이터 클래스들에도 추가로 만들었습니다.
작업 내용
- ActiveVoteDTO 클래스 - isUpvote() 메소드 추가
- JSONMetadataDTO 클래스 - getThumbnailURL() 메소드 추가
- PostItemDTO 클래스 - toPostItem() 메소드 추가
ActiveVoteDTO 클래스 - isUpvote() 메소드 추가
isUpvote() 메소드는 보팅이 업보팅인지 판별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bridge.get_ranked_posts API가 업보팅/다운보팅 개수를 그냥 주지는 않구요. 응답 데이터의 active_votes 배열을 통해 이들을 계산해야 합니다. 이 때 업보팅인지 구별이 필요하구요. 여기서 isUpvote() 메소드를 활용합니다.
data class ActiveVoteDTO(
val voter: String?,
val rshares: String?
) {
fun isUpvote(): Boolean {
return rshares?.toLongOrNull()?.let {
when {
(null == it) -> false
(it >= 0) -> true
else -> false
}
} ?: false
}
}
JSONMetadataDTO 클래스 - getThumbnailURL() 메소드 추가
포스트의 썸네일 URL 역시 이 API가 그냥 주지 않아요. 이것은 응답 자료에서 json_metadata의 image 배열의 최초 문자열로 알 수 있습니다. 이 값을 getThumbnailURL() 메소드로 읽을 수 있게끔 하였습니다.
data class JSONMetadataDTO(
val links: List<String>?,
val image: List<String>?,
val users: List<String>?,
val tags: List<String>?,
val app: String?,
val format: String?
) {
fun getThumbnailURL(): String {
return when {
(image?.size == 0) -> ""
else -> image?.get(0) ?: ""
}
}
}
PostItemDTO 클래스 - toPostItem() 메소드 추가
PostItemDTO 객체를 PostItem 객체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위에 설명드린 메소드들을 활용하였습니다. 데이터 모듈의 데이터 타입을 도메인 모듈의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하기가 생각보다 쉽지 않음을 이번에도 경험하네요.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fun toPostItem(): PostItem {
val thumbnailURL = json_metadata?.getThumbnailURL() ?: ""
val voteCount = active_votes?.size ?: 0
val upvotes = active_votes?.filter { activeVote -> activeVote.isUpvote() }
val upvoteCount = upvotes?.size ?: 0
val downvoteCount = voteCount - upvoteCount
return PostItem(
title ?: "",
thumbnailURL,
body ?: "",
category ?: "",
Converter.toLocalTimeFromUTCTime(created ?: ""),
payout ?: 0f,
upvoteCount,
downvoteCount,
author ?: "",
author_reputation?.toInt() ?: 0
)
}
Git Commit
마치며...
이번 태그 화면 개발에서는 API 관련 클래스 작성도 길어지네요. 에너지가 많이 부족한 것인지... 조금씩이라도 멈추지 않고 계속 진행하고자 합니다. 하다 보면 빨라지는 날이 오지 않을까 합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bridge.get_ranked_posts API 연동 코드를 만들어 보려 합니다.
지난 스팀 앱 개발기
- #61 - layout_post_item.xml 수정 후 예상치 못한 빌드 오류
- #60 - bridge.get_ranked_posts API의 응답 자료를 맡을 데이터 클래스 정의
- #59 - 태그별 포스트 리스트를 구하기 위한 bridge.get_ranked_posts API
- #58 - 포스트 리스트를 구성할 항목의 레이아웃 (3) 데이터 클래스 정의 및 데이터 바인딩 적용
- #57 - 포스트 리스트를 구성할 항목의 레이아웃 (2)
- #56 - 포스트 리스트를 구성할 항목의 레이아웃
- #55 - .gitignore 파일 작성
- #54 - RxJava 관련 메모리 누수 방지 코드 작성
- #53 - 버그 수정: 인터넷 미연결시 API 실행하면 앱 강제 종료
- #52 - 인터넷 미연결시 API 실행하면 어떻게 될까?
- #51 - 파워다운 끝났으나 SP to power down 값이 0이 아닌 버그
- #50 - get_state API 쓸까? 말까?
- #49 - get_state API 시험해 보기
- #48 - 스팀 파워 값이 스팀잇 사이트와 다른 문제 분석
- #47 - 스팀 파워 값이 스팀잇 사이트와 다른 문제
- #46 - 다음 개발 아이템들
- #45 - 지갑 화면에서 다음 파워 다운 시간 보여주기
- #44 - 지갑 화면에 파워 다운 내용 보여주기
- #43 - 지갑 화면에서 VEST 값을 SP로 변환
- #42 - VEST를 SP로 변환하는 메소드
- #41 - 작성중...
- #40 - UTC 시간을 로컬 시간으로 바꾸는 코드 만들기
- #39 - condenser_api.get_dynamic_global_properties API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 클래스 추가
- #38 - 지갑 화면 구현: 예금 보여주기 추가
- #37 - 지갑 화면 구현: WalletViewModel과 WalletFragment를 바인딩
- #36 - 유닛 테스트로 구현한 WalletViewModelTest 클래스에서 공통 부분 추출하여 CommonPartOfViewModelTest 클래스 만들기
- #35 - 유닛 테스트용 WalletViewModelTest 클래스 구현 후 보이는 문제점
- #34 - WalletViewModel 클래스에 스팀 지갑 정보 읽는 코드 작성
- #33 - 추가 리팩토링: 데이터 모듈의 데이터 클래스의 필드들에 nullable 적용
- #32 - 리팩토링: 데이터 클래스 이름 변경
- #31 - 도메인 모듈에서 정의하는 데이터 클래스들이 DTO 패턴을 따르는 것이 맞는가?
- #30 - 진도를 더 나가기 전에 리팩토링 고려 중
- #29 - 뷰모델, Repository 패턴 그리고 Use Case 패턴의 관계
- #28 - Use Case 패턴 적용
- #27 - Repository 패턴 적용
- #26 - condenser_api.get_accounts API로 받은 계정 자료를 SteemitWalletDTO 타입으로 변환하기
- #25 - SteemClient, SteemService 잘 작동하는지 유닛 테스트
- #24 - API 실행을 담당할 SteemService 인터페이스 정의
- #23 - condenser_api.get_accounts API 연동에 필요한 데이터 클래스 정의
- #22 - API 연동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추가
- #21 - 사용자 지갑 정보를 담을 SteemitWallet 클래스 정의
- #20 - 클린 아키텍처를 위한 모듈 구성 (2)
- #19 - 클린 아키텍처를 위한 모듈 구성 (1)
- #18 - VEST로부터 STEEM POWER를 계산하는 방법
- #17 - VEST를 STEEM POWER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한 get_dynamic_global_properties API
- #16 - 지갑 내용을 읽기 위해 필요한 API
- #15 - 지갑 서브화면(WalletFragment) 레이아웃 구성해 보기
- #14 - 지갑 서브화면(WalletFragment)에서 계정 인식하기
- #13 - 프로파일 서브화면(ProfileFragment)에서 계정 인식하기
- #12 - 태그 서브화면에서 태그 인식하기
- #11 - 검색 레이아웃을 메인 화면에 적용
- #10 - 태그 및 계정 검색 레이아웃 만들기
- #9 - BaseActivity 클래스 정의 그리고 MainActivity 클래스에 적용
- #8 - BaseFragment 클래스 정의 그리고 기존 프래그먼트들에 적용
- #7 - ProfileFragment 그리고 WalletFragment에 데이터 바인딩 적용
- #6 - 태그별 검색 내용을 보여줄 TagsFragment에 데이터 바인딩 적용
- #5 - GitHub에 소스 올리기
- #4 - 하단 내비게이션의 탭 관련 클래스 이름 수정
- #3 - 하단 내비게이션 바의 아이콘, 텍스트 수정
- #2 - 프로젝트 생성
- #1 - 시작하며...
Posted through the AVLE Dapp (https://avle.io)
Posted through the AVLE Dapp (https://avle.io)
[광고] STEEM 개발자 커뮤니티에 참여 하시면,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