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33] 중국 시멘트 업체, 건설 공사비 낮추는 국내 시멘트 시장 진입을 노린다.
올해(24년) 10월 2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나온 '건설 공사비 안정화 방안'에 의하면 정부는 중국에서 시멘트를 수입할 때 필요한 항만 시멘트 저장 시설 인허가, 내륙 유통 기지 확보 등을 도와 중국산 시멘트의 국내 유통을 지원하기로 했고,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에서는 중국산 시멘트 중개 업체 썬인더스트리를 통해 중국산 시멘트를 2026년부터 연간 78만t를 수입하는 방안을 지난달 논의하면서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중국 시멘트 여러 기업은 최근 한국시멘트협회에 국토부 대책을 확인하는 이메일을 보내왔고,
그 문의에는 한국 건설사들이 중국 시멘트를 수입할 의사가 있는가?!
중국 시멘트 수입을 한국 정부가 고려하는가?! 등등을 문의했다고 합니다.
또한,
- 국내 시멘트 t당 가격을 살펴보면...
2021년 1월에는 7만 5000원,
2022년 2월에는 9만 3000원,
2023년 11월에는 11만 2000원으로 크게 상승했습니다.
그렇다면...
건설 공사비를 낮추기 위해서...
중국 시멘트를 수입하면서 국내 시멘트의 사용하는 비중이 차츰 없어져서 국내 시멘트 업계가 무너진다면...
그 뒤에는 경쟁 상대가 없어진 국내 무대에는 중국 시멘트 가격을 제한 없이 올릴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이 들고, 중국 시멘트 가격의 상승으로 건설 공사비는 더 상승하는 상황이 올지도 모를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
.
그리고
최근에 짓는 아파트는 자재비 상승, 인건비 인상, 순살 아파트 여파로 인한 각종 규제와 공사 기간을 FM대로 해야 돼서 빠르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분양가는 상승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생각해두고...
신규 아파트에 접근을 해야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부동산 #1] 경매, 공매로 넘어간 집, 2023년부터 임차인(세입자)의 보증금 피해 최소화하는 방안 발표!!!
[부동산 #2] 감정평가서 부풀린 '전세 사기' 급증!!!
[부동산 #3] 서울, 경기도 최근 3년 실거래가 신고 위반 1만 6천 건 발생~
[부동산 #5] 23년 1분기 건설사 912곳 폐업 신고
- [부동산 #6] 신종 월세 사기 조심해야 합니다!!!
[부동산 #7] 법원에서 '깡통전세' 중개는 부동산 중개인에게 60% 책임 판결
[부동산 #8] 정부는 역전세 대란을 막기 위해 대출 규제를 1년간 한시적으로 완화한다~
[부동산 #10]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로 인한 가계 부채 증가
- [부동산 #11] 23.09.26 부동산 정책 발표 (3기 신도시 물량, 내년 100만 가구 공급 예정, PF 보증 규모 증가)
[부동산 #12] 주택연금 가입기준 9억 원 이하에서 12억 원 이하로 확대된다.
[부동산 #13] 주택담보대출, 전세 대출도 올해 연말 또는 2024년 1월부터 온라인으로 갈아타기 가능
[부동산 #14] 부동산 공제 증서 계약 건벌로, 바꾸면 안 되는 건가?!
[부동산 #15] 2024년 신생아 특례 대출
- [부동산 #16] 내년(2024년)부터 전세 사기 피해 방지를 위해 공인중개사 역할이 늘어 날 예정
[부동산 #17] 전세사기 불안감으로 인한 아파트 전세 쏠림 현상
[부동산 #18] 전매 제한 ok, 실거주 의무 폐지는 No
[부동산 #19] 올해(2024년)부터 대출 상품은 스트레스 DSR 제도 적용된다.
[부동산 #20] 신축 비아파트(오피스텔, 빌라) 2년간 주택 수 제외된다!!!
- [부동산 #21] 노후 도시 특별법, 51곳에서 전국 108곳으로 확대 적용
[부동산 #22] 아파트 실거래가 정보 공개 범위가 '동'까지 확대 및 거래 주체도 구분 공개 예정
[부동산 #23] 분양가 상한제 실거주 의무 3년 유예~
[부동산 #24] 아파트 미분양 물량 중에서 9천만 원 할인 분양이 나와서 입주민이 화나다
[부동산 #25] 재산권 침해로 아파트 동(층, 방향) 공개 계획 철회
- [부동산 #26] 1주택 종합부동산세 폐지에 대한 민주당 내부 온도차가 다르다!!!
[부동산 #27] 올해(24년) 7월부터 전세사기 예방을 위해 강화된 부동산 중개사 업무 시행
[부동산 #28] 올해(24년) 10월부터 5대 은행에서 전입세대 확인이 가능해진다!!!
[부동산 #29] 서울시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12년 만에 해제 예정
[부동산 #30] 전세사기특별법 여야 합의 처리... 전세 사기 피해자에게 공공임대주택 최장 20년 제공
- [부동산 #31] 우리은행은 집 한 채라도 있으면 수도권 주택의 주담대, 전세 대출 중단!!!
[부동산 #32] 올해(24년) 12월부터 공시가격 수도권 5억 원, 지방 3억 원 이하 빌라 1채는 청약때 무주택으로 인정된다!!!
첫 법원 경매 방문 후기 (1부) / (2부) 22.09.20
1)부동산 권리분석과 명도소송실무 강의를 듣다~
2)부동산 경매, 공매 3주 차 수업~
3)부동산 경매, 공매 5주간 수업 마무리~
4)부동산 등기 수업~
5)부동산 등기 실무 마지막 수업~
24.10.13
.
가짜 시멘트로 부실공사 장난아니겠네요
그리고
제가 건설사라면...
FM대로 아파트도 지었고, 순살 아파트라는 말 나오면 오히려 건설사쪽이 더 피해가 가는 문제라서 중국 시멘트를 사용하더라도 잘 골라서 사용을 하지 않을까 생각도 들기도 합니다.
또한,
중국 시멘트든... 국내 시멘트든...
신축 아파트는 다른 것들도 비용이 다 올랐기 때문에 기존 분양가보다는 비싸다고 봐야겠죠~
중국제품은 하자가 많아서...
대부분 발주처에서 중국산 철근 등을 못쓰게 하는데 시멘트도 크게 다르지 않을 거 같아요.
다른 중국제품도 하자가 많군요ㅠ;
중국 시멘트 들어오는게 2026년도니까~ 2030년부터 완공된 신축 아파트를 조심하면 될 것 같아요~
시멘트도 시멘트인디..철근이나빼먹지말아야죠 흐흐
철근은 이제 못 빼먹겠죠 @.@
시멘트로 공사비를 낮출게 아니라
각종 입찰에 수주를 따내기 위한 검은돈 부터
손을 보는게 순서 아닐까요 ;;;!!
그 부분은 건설사가 아니더라도 다른 곳에서도 있어서 쉽게 접근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예로 농산물을 우리가 마트에서 사더라도 중간에 도매상들이 얼마나 이익을 챙기느냐에 따라서 가격이 정해지니까요~
순살에 이어 속빈 벽이 나오는 건 아니겠지요?
국내 업체도 보호해야 하는 게 정부 역할 아닌가요?
아직 확정은 아닙니다.
그리고
건설사가 중국 시멘트 안 쓴다고 하면... 그만이니까~~
어떻게 진행될지는 지켜봐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