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하늘의 물리학] Chapter 4. 세페이드 변광성과 외부 은하

in #kr7 years ago

3.jpg


안녕하세요. 훈하니 @hunhani입니다.

오늘은 세페이드 변광성과 외부 은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oldstone 님께 천체물리학을 쉽게 설명해주는 글을 부탁받았습니다. @oldstone 님께 이번 시리즈를 헌정합니다.

hunhani.jpg

대문을 제작해주신 @leesol 님께 감사드립니다.


세페이드 변광성으로 별의 거리 구하기

세페이드 변광성은 변광성의 특정 유형으로 이들의 변광 주기와 절대 광도 사이의 정확한 상호 관계성을 갖습니다. 따라서 지구에서 해당 변광성이 있는 성단이나 은하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표준 광원으로서 사용되는데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세페이드 변광성들을 이용하여 주기-광도 관계를 매우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세페이드 변광성을 기반으로 산출된 거리 값은 현재 가능한 방법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결과물 중 가장 신뢰도가 높지요. 세페이드 변광성들은 상대적으로 매우 밝기 때문에 매우 먼 곳에서도 보입니다. 지구에 가까우면서 거리를 정확하게 알고 있는 세페이드 변광성들을 통해 그 세페이드 변광성이 있는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죠. 매우 밝은데다 거리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니 외부 은하 혹은 성단까지의 거리를 재는 데 사용되는 이상적인 표준 광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때문에 세페이드 변광성은 1세기에 걸쳐 표준 광원으로 사용되어 왔고, 외부 은하 거리척도의 일익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1.jpg

세페이드 변광성의 물리적 특징

대다수의 세페이드 변광성은 빠른 속도로 밝아졌다가 천천히 어두워집니다. 광도의 변화는 항성 대기에 있는 헬륨이 이온화되기 때문에 일어나는데요. 이온화 과정에서 항성의 대기는 빛에 대하여 더욱 불투명해집니다. 이온화 과정 이후 주기적으로 탈이온화가 진행되는데 이 이온화-탈이온화 주기는 해당 항성의 동역학적 시간척도와 일치하기 때문에 그 별의 광도와 평균 밀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줍니다.

7.png

변광 주기와 실제 밝기의 관계

세페이드 변광성은 별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여 크기가 변하면서 별의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맥동 변광성 중에서 특히 변광 주기가 1일에서 50일 사이의 별을 일컫습니다. 밝은 세페이드 변광성일수록 변광 주기가 긴데요. 따라서 더 천천히 깜박거리죠. 별의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줄어든다는 점을 이용하여 맥동 변광성의 변광 주기를 측정하면 그 변광성의 실제 밝기(절대 등급)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변광 주기가 짧을 수록 광도가 낮아 절대 등급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이용하는 거죠.

2.png

3.png

주기-광도 관계의 발전

세페이드 변광성들의 변광 주기와 절대 등급 사이의 관계는 20세기 많은 천문학자들의 관측에 의해 경험적으로 얻어졌습니다. 이후로도 천문학자들은 다른 수단으로 거리를 알아 낸 세페이드 항성들로부터 얻은 자료들을 통해서 이 관계성을 다시 검토해보고 있는데요. 1913년 헤르츠스프룽이 처음으로 주기-광도 관계 계산을 시도했으나 우주 먼지에 대해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가 구한 값은 매우 부정확했습니다. 이후 1968년 앨런 샌데이지와 구스타브 탐맨의 새로운 계산으로 주기-광도 관계값이 갱신되었고, 1997년 마이클 피스트와 로빈 캐치폴이 더욱 정확한 계산값을 내놓았습니다. 피스트와 캐치폴은 삼각시차를 이용하여 많은 외부은하의 세페이드 변광성까지의 거리를 계산해내는데 성공했습니다.

4.jpg

5.jpg

외부 은하의 발견

외부 은하는 우리 은하 바깥 저 너머에 존재하는 천체들을 의미합니다. 1920년 나선 성운의 정체와 거리에 대한 천문학의 대논쟁이 있었습니다. 에드윈 허블의 등장으로 외부 은하의 존재에 대한 논쟁이 종결되었습니다.

  • 섀플리: 나선 성운은 우리 은하 내에 있는 천체이고 우리 은하가 우주 전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 커티스: 나선 은하는 우리 은하에 있는 천체이지만 우리 은하는 우주에 있는 많은 은하 중 하나일 뿐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 허블: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광도 관계를 이용하여 나선 성운에 있는 세페이드 변광성을 관측하여 그 거리를 구해냈습니다. 그 결과 나선 성운은 우리 은하의 크기보다 훨씬 멀리에 있는 천체임이 밝혀졌습니다. 즉, 안드로메다 은하에 있는 세페이드 변광성들을 처음으로 찾아내 '외부 은하'의 존재를 최초로 입증한 것이죠. 이 당시만 해도 외부 은하에 대한 개념은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천문학자들 모두가 깜짝 놀랄만한 사건이었습니다.

6.jpg

다음 편을 기대해주세요!



지난 이야기



U5du7nLXDvWo8knCQ9fMLM8G7ypZgGq_1680x8400.png


Sort:  

와.....압도적인 사진과 정보....대단한 포스팅을 해오셨군요. 구ㅡㅅ쟙!!! 고맙습니다.훈하니님!

사진 자료는 모두 구글 이미지를 통해 가져오고 대부분 교과서적인 내용에 불과한데 높게 평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그걸 초점 맞춰 재배열하고 우리가 볼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준게 대단히 감사한 일이죠.ㅎ

Thanks for your post

i upvoted your post plz upvote me back !!

닥터 스트레인지의 대사가 생각납니다.
인간은 이 우주에 잠시 존재하는 티끌에 불과한 존재죠.

정말 광대한 우주에 비해 티끌에 불과하군요 ㅎㅎ 티끌에 불과한 인간이 이 넓은 우주 세계를 이해하려고 도전하는 것이 신기하기도 합니다.

글을 처음보는데.. 어려운 주제를 알기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빠져들어요......★

감사합니다 ㅎㅎ 제 글이 읽기 쉽고 빠져든다고 말씀해주시니 정말 뿌듯합니다.

우주에대해빠져듭니다. 지식이모자라
포스팅을봐도 잘이해하긴어렵지만ㅜㅜ
정독하겠습니다. 좋은포스팅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제 글을 통해 우주에 대해 관심이 생기셨다면 충분히 보람찹니다 ㅎㅎ

외부 은하의 존재를 믿지 않다가 발견 했을 때 얼마나 놀랐을지 상상이 안되네요
다들 엄청난 충격을 받았을거 같기도 하네요 ㅎㅎ

그렇죠 ㅎㅎ 신대륙을 발견하는 것 이상의 충격이었을 것 같습니다. 우주 세계를 확장한 것이니까요!

세퍼이드 변광성 이라는 별은 처음 듣는듯 하네요 ㅎㅎ
제일 반짝이는 별은 다 북극성 이라고 만 알고 있었지요 ㅋㅋ
잘 정리해 주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북극성이 겉보기 등급이 낮은 (지구에서 밝게 보이는) 별들 중 하나이지요 ㅎㅎ 세페이드 변광성은 지구에서 봤을 때 밝기가 밝은 것 뿐만 아니라 특정 주기를 갖고 밝아졌다 어두웠다 깜빡 깜빡 대는 별들이니 신기하지요~

아 그렇군요.. 정확하세 더 비교를 해 주시니 귀에 쏙 들어오네요~~
나중에 반짝이는 별을 보면 아이들에게 얘기를 해 주어야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세퍼이드 변광성 외워야지요 ㅋㅋㅋ

오늘도 잘보고갑니다. 항상 이렇게 쉽게 설명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그래도
분야가 분야인지라 어려움은 어쩔수 없는것이지만ㅠㅠ) 그나저나 10억광년이란 정말 상상도 안되네요 인류의 평생을 다해도 잡을 수 없는 시기일까요?ㅎㅎ

관련 분야를 모르시면 어렵게 느껴지는게 당연하죠~ 저도 공부하면서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광년은 시간이 아니라 거리랍니다. 10억 광년이면 빛의 속도로 10억 년을 가야만 도달할 수 있는데 질량을 가진 물체가 빛의 속도를 내려면 무한대의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빛의 속도를 내는 것조차 불가능한데 빛의 속도를 내더라도 10억 년이 걸리고 또 10억 년 동안 가더라도 그 사이 질량을 가진 물체가 온전히 버텨내는지도 관건이죠. 현재 기술로는 상상할 수도 없긴 합니다 ㅎㅎ

아직은 어렵지만그래도 열심히잘읽고갑니당😃

감사합니다 ㅎㅎ 좀 더 쉽게 쓰도록 노력해볼게요~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5
JST 0.029
BTC 63039.96
ETH 2549.01
USDT 1.00
SBD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