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드스톤의 느끼는 산사 이야기) 선암사의 공간 : 안과 밖
선암사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한국의 다른 절들과 공간 구성이 많이 다르다. 앞에서는 절 내부의 공간이 담으로 나뉘어져 있다는 이야기를 했다. 통상의 절들은 그 내부 공간이 트여져 있다. 통상의 절은 내부는 서로 트여져 있지만 안과 밖은 나름대로 분명하게 구분되어 있다.
선암사는 안의 전각 공간은 나뉘어져 있지만 절과 절 밖의 공간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어디가 안인지 어디가 밖인지가 불분명하다. 사찰 초입에 들어오는 문이 있어서 앞의 부분은 구분이 되는 듯 하지만 뒤로 나가면 어디까지가 절이고 어디서부터가 산인지 분명하지 않다는 이야기다. 원래 밖에 담을 쌓아 놓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무너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주변을 둘러보아도 그런 구분이 분명하지는 않은 것 같다.
담을 따라 잠시가다 보면 그냥 산자락이 보인다. 절의 끝부분이 자연스럽게 산자락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그 길을 따라 조금만 가다보면 바로 승탑이 나오고 또 바로 차밭이 있다. 선암사가 유네스코에 등재된 이유중의 하나가 바로 차와 관련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선암사는 차농사를 크게 하는 모양이다. 절 뒷편이 온통 차나무로 가득차 있다. 물론 차밭으로 들어가는 길이 자연스럽게 이어져 있다.
절의 안과 밖이 분명한 것은 승과 속의 세계를 분명하게 구분하고자 했던 의식이 작용한 것이 아니었나 한다. 통상 교종이나 선종의 전통이 분명한 조계종 계열이 그런 것 같았다. 그런데 선암사는 태고종이다. 스님들이 가정을 가질 수 있다. 승과 속의 구분이 분명하지 않다. 아마도 그런 불교의 분파적인 특성이 작용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태고종의 본산이라도 할 수 있는 서울의 봉원사도 안과 밖의 구분이 그리 분명하지 않았던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절안에 난데 없이 한글학회 사무실이 있기도 하고 말이다. 내가 잘못 본 것인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삶의 방식은 인간의 의식세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법이다. 승과 속을 엄격하게 구분하고자 했던 조계종과 달리 태고종은 승과 속을 그리 크게 구분하지 않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만일 그렇다면 승과 속의 구분을 분명하게 하지 않고자 해서 나타난 선암사의 안과 밖에 오히려 불교적 가르침에 더 부합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엄격함과 부드러움의 차이에서 어떤 경계를 취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진정으로 법을 깨우치면 그 구분하고자 하는 마음 자체가 사라지는 것 아닐까.
올드스톤님의 포스팅에서 항상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낍니다 새해복 많이받으세요
잘보고ㅇ갑니다
아름다운 사진 잘 보고 갑니다~
Posted using Partiko iOS
구분 보다는 포용을 지향한 결과일까요
절집의 담도 높지 않게 보입니다.
좋은 포스팅 감사합니다.
저는 텃밭 농사 알뜰히 하는 절들이 좋더라고요
태고종이 가정을 가질 수 있었군요. 불교종파에서 이런 분파가 있는지 처음 알았습니다. 일반인이라면 그저 약간의 다름을 느꼈겠지만, 아는 만큼 보인다고 알고 보니 승과 속에 대한 구분의 다름이 생각의 차이를 만들고 그 생각의 차이에서 건축과 구조물의 배치의 차이도 만들어 낸다는 것을 새삼 느끼고 갑니다.^^ 늘 느끼지만 올드스톤님의 사찰관련 글은 다같이 읽어봤으면 하는 글입니다.^^ 보클요~
올드스톤님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