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 든 • 손
새벽부터 비가 내리는 아침
빗물이 고인 길에
혼자 쓰러져 잠든 깃털을 보았습니다
비둘기는 어디로 가고
이렇게 길에서 잠이 들었을까요
손목이 허전해 들여다 보니
소매단추가 따라오지 않았습니다
혼자 울고 있을 단추를 찾아
오던 길을 되짚어 갔지만 보이지 않았습니다
엄마는 말을했지요.
혹시 엄마와 떨어지면
어디 가지 말고 그 자리에 꼼짝말고 있어야
다시 엄마를 만날 수 있다고
나를 잃어버린 소녀도
깃털처럼 그 자리에서 기다리고 있을텐데
나는 돌아가는 길을 아주 잊어버렸습니다
너머의 새/강영은
새가 날아가는 하늘을
해 뜨는 곳과 해 지는 곳으로 나눕니다
방향이 틀리면 북쪽과 남쪽을 강조하거나
죽음을 강요하기도 합니다.
나의 흉곽을 새장으로 설득하기도 합니다.
사이에 있는 것은 허공
새가슴을 지닌 허공을 손짓하면
새가 돌아올지 모르지만
새의 노동이
노래를 발견하고 나무를 발명합니다.
헤아릴 수 없는 크기를 가진 숲에
잠깐 머물러
나무와 나무의 그늘은 이해한다 해도
새 발자국에 묻은 피가 없다면
당신이 던진 돌멩이가 무슨 소용이 있겠어요?
점 하나가
돌에 맞은 공중을 끌고 갑니다
제가 새라는 걸 모르고
새라고 하자
공중이 조각조각 흩어집니다
아무런 목적도 계획도 없이
너머로 넘어가는 새
새라고 부르면 새가 될지 모르지만
나라고 발음하는 새는
누구일까요?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jjy, this is a truly poignant and thought-provoking piece! The way you weave together the simple imagery of the fallen feather, the lost button, and the poem "Bird Beyond" creates such a powerful meditation on loss, memory, and identity.
The connection you draw between the mother's instruction to stay put when lost and the lost girl waiting like a feather is particularly striking. It resonates deeply with the feeling of being adrift and disconnected. And the poem! Kang Young-eun's words, especially the line about "a bird with no purpose or plan going beyond," perfectly echoes the sense of searching and questioning.
Thank you for sharing this beautiful and insightful work with us. It's the kind of post that stays with you long after you've finished reading. I encourage everyone to read this slowly and let it sink in. What a fantastic exploration of the self and belon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