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밋 초보자 분들께 추천하는 3가지 유용한 정보

in #kr6 years ago (edited)

요즘 스팀잇에 새로 오신 분들이 많아서 북적북적하군요 :)

요즘 많은 늅늅분들이 길을 잃고 헤매는걸 보고 안타까운 마음에 이 글을 작성하게 됐습니다.

전 2017년 6월에 가입해서 이제 갓 초보자를 벗어 날까 말까 하는 당근케이크입니다.
주로 그림과 만화를 올립니다. 요새는 코인신의 영험한 계시를 받아서 부적도 만듭니다.

전 스팀잇을 게임으로 친다면 레벨 15쯤 됐을겁니다.
무기고 갑옷이고 다 떠 먹여주는 튜토리얼 존에서 방금 벗어나 이젠 홀로 사냥터로 나설때죠.

33333.png
자, 이제 모험을 떠날 시간입니다.

스팀잇은 정말로 좀 온라인 게임같은 면이 있습니다. 레벨업, 친목, 현질(...)
왠만한 온라인 게임의 요소는 다 가지고 있지요.

@Akcho 님의 Steemit RPG Tip! 뉴비들을 위한 추천 태그
게임같다는게 무슨 말인지 아직 이해가 안간다면! 위 글을 한번 읽어보세요!
스팀잇 시스템을 아이템, 피로도, hp 같은 비유로 재밌게 설명해주셨습니다.

스팀잇 시작할때 가장 실망스러운게 영 튜토리얼이 빈약하고..
무엇보다 생각보다 보상이 잘 안 나온다는것일겁니다.
늅늅분들은 보통 $0.01...$0.05 이 수준을 벗어나지 못합니다.
가아~~~~~끔 $1이 넘으면 그건 완전 대박난 포스팅이죠.

누구나 그런 경험을 합니다. 저도 그랬고, 저 분도 그랬고, 여러분의 이웃인 그 분도 그랬고 심지어 유명한 고래인 저분도 그랬습니다. 잘 상상이 안되시죠?

그 예로 6개월 전 제 글을 보여드리겠습니다.

Screen Shot 2018-01-05 at 10.22.32 AM.png

이렇게 야심차게 200 팔로워 이벤트를 시작했으나

Screen Shot 2018-01-05 at 10.22.46 AM.png

이 정도의 보상이 나옵니다.

지금이야 $0.89 라도 원화로 바꾸면 상당한 금액이지만 (약 4000원?)

저때는 스팀이 항상 $0.75~$0.98을 유지하고 (가끔 미쳐서 $1가 넘을때도 있으나 곧 겸허하게 본인의 자리를 찾음)
스팀 달러는 눈이 오든 비가 오든 비트가 500만원이든 2300만원이든 언제나 $1
항상 듣보잡의 신세를 벗어나지 못했던 스팀/스달의 시세로 계산했을때,

저 때의 $0.89는 1000원도 안됐군요!
저것뿐만이 아니라 6개월전에 제가 ‘한나의 세계’ 라는 웹툰을 그려서 스팀잇에 올린적이 있는데, 영어로 번역해서 올린건 보상이 $0.03 이었습니다.

자, 다시 계산해 봅시다. 스팀이 $1이고 스팀달러가 $1이니까, 그리고 큐레이션으로 25% 떼고 나면?

22.5원이군요.

그냥 이런 일이 다반사 였다고 보면 됩니다.
탈주닌자가 되지 않는게 이상한거죠. 저도 탈주 했다가 다시 돌아왔습니다.
저런 상황에서도 꾸준히 하시는 분들은 그야말로 어나더 레벨입니다.
(물론 그 위 천상계에는 스팀이 $0.05일때도 멈추지 않고 활동해오신 분들도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미 겪은 스팀잇 파멸편

그래도 KR 커뮤니티는 도움을 요청하면 나타나는 천사같은 분들이 계셔서 상황이 좀 나은 편이라고 볼수 있죠.

그에 비해서 KR 바깥은 전쟁터입니다. 레벨 70이 넘는 보스몹들이 먹잇감을 호시탐탐 노리며 살육을 즐기는...
....까지는 아니지만 바깥 세계는 포스팅 올려도 관심받기가 더 힘들다고 보면 됩니다.
물론 한번 주목 받기 시작하면 KR 보다 그 효과는 훨씬 큽니다. 영어와 컨텐츠에 자신이 있다면 도전해 볼만합니다.

물론 자신 없으실 겁니다.

그러니까 그냥 계속 이 글을 읽도록 합시다.

1. Busy.org 이용

Screen Shot 2018-01-05 at 10.53.10 AM.png
이렇게 생겼습니다.

로고도 다르고 UI도 다른 완전히 다른 사이트같지만, 여러분의 스팀잇 계정을 쓸수 있습니다.

스팀잇은 오픈소스같은 거라서 스팀잇 사이트를 고대로 똑같이 만들어도 됩니다.
많은 분들이 사용하는 steemkr.com 도 @ludorum 이라는 개발자님이 스팀잇 사이트를 기반으로 만드신 겁니다.
busy.org 도 비슷합니다. 그런데 제가 비지 이용을 추천하는 이유는

태그에 busy 를 달고 글을 쓰면, busy.com 에서 $0.25의 보팅이 들어옵니다.

지금 당장 글보상이 줄줄이 $0만 나오는 분들은 이걸 이용하면 약간이나마 보상이 생깁니다.

주의: 스팀잇에서 글쓰고 태그를 busy로 달면 보팅이 들어오지 않아요! busy.org에서 글작성을 해야합니다!

레벨도 낮고 스팀파워도 없고 컨텐츠도 없는 경우에는 고양이 손이라도 빌려야 겠지요.
busy가 바로 고양이 손이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2. Kr-join 태그 활용

가입 인사를 썼는데.. 아무도 보팅과 댓글을 달아주지 않나요?

가입 인사 하실때 kr-join 태그를 써보세요.
많은 스티미언들의 뜨거운 관심과 사랑을 받을수 있습니다.

kr-join 태그 사용 를 추천하는 이유는, 기존 유저 분들이 뉴비들을 환영하기 위해 kr-join 태그를 수시로 확인하고 가입 인사 글에 보팅을 해주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가입 인사가 아니면 저 태그는 쓰면 안됩니다. 그 뒤에는 kr-newbie를 쓰시면 됩니다.)

몇줄만 대충 쓰지 마시고, 기왕이면 본인이 누구인지, 어디서 왔는지, 앞으로 뭘 할 예정인지, 고양이가 있는지 없는지.. 있다면 몇 마리인지.. 이런 것도 쓰세요. 그렇닫고 개인정보를 막 다 오픈하진 마시고; 난 여러분과 소통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를 알려주는 겁니다.

관심 받을수 있을때 많이 받아놓으시고, 그걸 도약의 발판으로 삼으시기 바랍니다.

3. (2017년 1월 5일 기준) 글 쓰실때 100% 파워업 하지 마시고, 50:50으로 쓰세요.

생각보다 모르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이건 역시 제가 설명하는것보다 다른 분 글 링크를 거는게 더 효과적일거 같네요.

@twinbraid 님의 ‘스팀과 스팀달러중 어느게 오르는게 더 좋을까

나중에 시세가 바뀌면 또 어떻게 바뀔지 모르지만... 암튼 지금은 50:50이 무조건 이득입니다.

잊지 마세요.

50:50


유용한 글 모 모음

스팀잇 초보 입문 가이드 @twinbraid
스팀잇 이용에 필요한 기본 가이드 @woo7739
뉴비님들께 꼭 드리고 싶은 이야기 @asbear
스팀와 SMT그리고 주류 미디어의 미래, Feat "STEEM 100$" @indend007
kr 증인 이야기 @twinbraid

뉴비 분들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최저보상 지원 사업 @dyuryul
2018년 01월 05일 스티미언 지원 프로젝트 @tumble
다니의 뉴비 지원 프로젝트 @danihwang
새롭게 돌아온 치킨장학금 - 누구나 참여가능, 하루에 16명!


사실 누가 누구에게 조언을; 이라는 생각에 포스팅 아이콘에 손이 올라갔다 내려갔다를 반복했습니다만...
쉽게 얻을수 있는 소소한 리소스를 활용하지 못하시는 분들이 많은게 안타까워서 글을 썼습니다.
$0 보다는 그래도 몇십 센트 라도 나오는게 좋으니까요. 요새는 스팀 파워 업도 쉽지가 않더군요. 그래도 예전엔 $1를 보상으로 받으면 편의점에서 아이스크림 하나 사지 못했지만 요즘은 같은 보상 이면 김밥천국에서 우동 한그릇 정도는 먹을수 있습니다


.
혹시 알고 계신 뉴비 지원 프로그램이 더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추가하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틀린 내용이 있다면 꼭 알려주세요 ㅇ<-< )

carrotcake.gif

Sort:  

처음 가입했을 때 부터 제가 쓴 형편없는 글솜씨에 비해
많은 보상을 받아서 보상이 적다고 느낀적은 없었는데, 정말 좋은
글임에도 불구하고 못받아가시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이벤트로는
@tumble 님의 스스로 홍보하자? 랑
@julianpark 님의 치킨장학금 정도를 더 본것 같습니다 ^^

치킨 장학금, 스스로 홍보하자 추가했습니다!!! :)

60레벨 가즈아~! 따봉! 드리고 갑니다.

따봉 잘받았습니다 ㅋㅋㅋ

ㅎㅎ 다같이 나아갔으면 좋겠습니다 ^^
뉴비냐 아니냐의 차이는 대문이 있냐없냐의 차이라고 합니다
:D

그럴땐 @artshop 을 방문해보세요 +_+

이번 웨이브 뉴비들은 많이 살아남아야 할텐데...
튜토리얼 깨다가 접지만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저도 그랬으면 좋겠어요ㅎㅎ

비지는 몰랐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네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

하나씩 따라하고 뉴스티미언들을 위해 공유해야겠네요.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 재미있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리스팀과 보팅 완료!

리스팀 감사합니다 ㅠㅠ)/

뉴비는 힘이 드네요 ㅎㅎㅎ

넵 ㅠㅠ 스팀파워업 안하면 첨에 많이 힘들죠...

감사합니다..!
도움 많이 되는 글이었습니다.

ㅎㅎ 넵 소소한 정보지만 유용하게 쓰였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막 스타트한 초보스티머입니다 아직은 어리벙벙한데 뉴비들을 응원해주시는 이런 글을 보면 힘이납니다~ 감사해요 팔로하고 놀러올게요:)

:) 팔로우에는 맞팔!!!!

우와...뉴비로 감동입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1292.26
ETH 3430.36
USDT 1.00
SBD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