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9. Valueup의 시장분석 및 대응전략 : 재급락의 두려움과 회의감 속에 피어나는 야생화, 비트코인.

in #kr-writing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도가의 법으로 급락의 금융장을 대처하고 있는 @valueup입니다.

물론 도가의 핵심사상인 무위자연(無爲自然)은 인위적인 손길이 가해지지 않은 자연으로, 자연에 거스르지 않고 순응하는 태도를 이르기에, 조정장에도 아무것도 하지 않는 무위의 존버정신과는 일부 다른 점이 있습니다.

허나, 금융계 큰 흐름의 자연스러움이 암호화폐라 판단하기에 중장기적인 자연의 흐름에 순응하고 있다라고 생각합니다.(네.. 노장자 어르신 제가 감히 도가의 법으로 약을...양해바랍니다.^^;;)

금융대문.jpg

현재의 장은 재급락에 대한 두려움과 이걸로 끝난것인가?하는 회의감 속에서, 마치 힘겹게 피어나는 한떨기 야생화 처럼 비트코인의 상승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현재 모습은 어디에 있는 걸까요?

이에 대한 판단을 위해, 우선 저의 금융글의 형식에 따라, 직전 분석 글에 대한 자체평가를 진행하겠습니다.


1. 과거 분석글 자체 평가

2018년 새로이, 금융란에 4번의 분석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처음 제글을 보시는 분이라면, 과거 3번의 글에 대한 평가는 아래의 직전 분석 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이 중 가장 최근의 분석 글인 2018년 1월 18일 통계로 바라 본, 비트코인 저점 형성의 3대 조건과 현상황 비교 분석.에서 저는 세가지 이유로 반등의 가능성을 높게 바라보았습니다.

즉, 2015년 1월부터 2018년 1월까지 발생했던 10%이상의 하락 21회 중 최근처럼 40%가 넘는 급락장은 6회 발생하였으며, 이들 장의 통계분석 결과

1)프리미엄 변화, 2)유동성 공급, 3)기술적 분석 세가지 관점에서 반등을 위한 조건을 충족하였기에 패닉셀 금지 + 홀딩전략을 제시하였습니다.

과거조건.jpg

당시 상황 분석결과=>

과거글2.jpg

(상기 분석에 대한 상세내용은 통계로 바라 본, 비트코인 저점 형성의 3대 조건과 현상황 비교 분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현재(2018년 1월 20일 7시 45분) 직전 보고서 업로드 당시와 비교하여 한국 비트코인물 기준 18% 이상의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기에 비교적 합당한 분석이였다고 판단합니다.


2. 현재 상황분석 및 전략 제안

전반적인 뷰는 이틀전의 통계분석 결과와 변함이 없습니다. 전세계 비트코인 거래에서 단일국가 비중기준 1위의 한국의 정부가 거래소 폐쇄가능성을 언급하며 하락의 빌미를 주었고, 중국 정부가 채굴업체 방출계획 및 은행연계계좌 금지, 버펫과 실러 등 현직 투자대부와 노벨상 수상자의 비트코인 무가치 평가 등의 발언으로 시장심리 훼손을 심화시켰었습니다. (아 유시민 논객의 김상중 프리미엄 감소 시도도 있었네요..^^;;)

그러나, 최근 NHN과 OK코인의 신규거래소 합작계획에서 일부 심리개선의 실마리를 보고, 조만간 발표될 한국 일부 거래소에 한정된 제재발표로 불확실성이 제거된 뒤, 미국외 세계 각국에서 검토하고 추진 중인 비트코인 선물 및 ETF 거래의 확대 등으로 제도권 편입(현재는 절대 안해줄 것처럼하지만)을 위한 일련의 다듬기 및 시장 손보기 뒤에는, 언제 그랬냐는 듯 시장심리가 크게 개선되는 수순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여 현재 상황을 이틀전 도출한 3대 반등 조건하에 다시금 살펴보면

1) 프리미엄 변화 :
  • 김프의 변동성이 가격 고점 당시 김프값 54.3%=>20.6%로 31.7%p 하락한 뒤 현재 30.9%로 재상승.(김프 고저점값기준,63.7%=>24.9%로 38.8%p하락)최저점 대비 10%P의 김프 상승이 있으나 과거 급락장 이후 회복세 당시 시현한 경계선 값 내에 존재
2) 유동성 공급:
  • 테더의 발행량이 하락 탈출시점 대비 10.6%이상 증대된 뒤 현재까지 유지=>하락파에서 반등이후, 추가적인 예비자금의 유입은 없으나 테더 스캠설 및 전통자본으로의 환매시도로 인한 발행량 감소와 자금이탈은 감지되고 있지 않은 상태. 추후 공급량 변화 추이 모니터링 해야함.

테더발행량변화2.jpg

3) 기술적 분석:
  • 볼밴과 일목상 볼밴하단 2회이상 상향 돌파 완료하였고, 기준선을 향해 상승 진행하고 있음. 지난글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단기적으로 4시간봉 일목균형표 기준선을 돌파한 뒤에도 하락하는 휩쏘가 1회이상 발생하는 경우에도 불구하고, 볼린저 밴드 하단을 2회이상 상향돌파한 시점부터 평균 4.3일(현재 2일이 지났으니 앞으로 2.3일간은)은 상승추세가 지속되며 기준선을 재돌파하는 경우가 많았음

기술적모습.jpg

따라서, 현재 시점에서 특별히 반등 포지션을 청산해야할 이유가 뚜렷이 없는 바,(중장기 50% 포지션은 매크로 수급구조 분석 하에 항상 매수유지) 현재시점에서는 4시간 봉기준 최소 일목균형표 구름대 하단까지는 홀딩하는 전략이 수익률상 유리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에 다음 전략 보고서 업로드 시점까지는 단기 반등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특별한 시장변화가 있을시에는 모니터링하여 간략형태로 업로드 하겠습니다.


마치며,

지난번 통계로 바라 본, 비트코인 저점 형성의 3대 조건과 현상황 비교 분석글을 쓰고 틀리면 어쩌나 두근두근했던 마음은 다행히 시장의 반등과 함께 사라졌습니다.(휴..) 허나, 여전히 악화된 투자심리의 회복 사인이 시장에 명확히 나온 것은 없기에 완전히 방심할 수는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한국에서 시작되었던 거래소 해프닝이 일부 제재로 마무리되어 결자해지의 자세로 시장반등의 단초 역시 제공할 것을 기대해 봅니다. 추가적인 하락시도 역시 있을 수 있으나, 일단은 이번 반등장이 어느 정도의 상승 기류를 형성하여 안심할 때, 다시 반박자 빠르게(이번 반등이 그러했듯) 발생할 수 있다 예상합니다. 향후 시장변화에 대해서도 부족하나마 나름의 분석을 통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응원..해 주실거지요?! ^^;;)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두려움과 회의감 속에 피어나는 야생화 같은 암호화폐 시장과 우리 동지 여러분의 선전을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valueup의 시장분석과 대응전략]

2018년 1월 18일 통계로 바라 본, 비트코인 저점 형성의 3대 조건과 현상황 비교 분석
2018년 1월 14일 BTC/KRW
2018년 1월 12일 현명한 투기자와 시장분석
2018년 1월 10일 김치 프리미엄에 대한 시계열 분석과, 일상의 재정거래

Sort:  

분석 잘 보았습니다.
두근두근 야생화가 스르륵하고 피길 바래봅니다.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ohnamu님. 고초를 겪은 만큼 영롱히 향과 함께 피어나길 저도 바랍니다. 부족한 글에 의견 감사합니다~^^

항상 정착하지 마세요. 가능한 한 빨리 정착하기를 바랍니다.

Hello @roselover. It's about the bitcoin's recover not about my settlement on. Anyway thanks~ Have a good day~:D

항상 응원하면서 잘 보고 있습니다:) 3가지를 기준으로 잡아주셔서 판단하기가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일목균형표는 제가 좀 더 공부해야 할꺼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realizeu님. 부족한 글을 응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지막 일목균형표에 대해서는 실용적인 접목방법에 대해 추후 따로 한번 기재하겠습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풍성한 계좌의 하루되세요~^^

정말 알찬 정보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bamjigi님~(아이디가 서정적이네요.. 밤지기라..) 부족한 글에 알차다니 감사합니다. 의미있는 화폐지기?가 될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좋은 분석글 잘봤습니다! 고난을 이겨내고 핀 꽃이 더 아름다운 법이죠!
즐거운 주말 되세요~

아이구 남사스럽게.. 부족한 글에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저도 한떨기 야생화처럼 피어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만면에 웃음가득한 주말되십시오~^^

역시 그전의 분석이 대단하다고 생각되었는데 예측이 맞았군요^^ 멋집니다!!!

아이구.. 미흡한 분석에 과한 말씀 감사합니다. 더욱 정진하겠습니다.. 편안한 주말되십시오~^^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2
JST 0.027
BTC 64920.85
ETH 3459.00
USDT 1.00
SBD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