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말하기 (욕을 하면 마음이 더러워진다)

in #kr4 months ago

DSC_0014_20240213_192947.JPG

“복되고 평안하라!
온 생명 부디 행복할지라!!!”
“Blessed and peaceful!
May all life be happy!!!”

마음을 통제하는 것은 불교의 출발점이자 마지막 목표이다. 이것은 마음속에서 순간적으로 타오르는 분노, 탐욕, 어리석음이라는 번뇌에 지지 않고, 오히려 그것들을 다스리는 단계다.

불교에서는 이런 번뇌 에너지를 억제하기 위해 10가지 계율을 정하고 있다. 세속인들이 지켜야 하는 이 10가지 규율은 ‘십선계(十善戒)’라고 하며, 그 내용을 간단히 소개하자면 아래와 같다.

① 불살생(不殺生) : 살아 있는 것을
죽여서는 안 된다.
② 불투도(不偸盜) : 도둑질해서는 안 된다.
③ 불사음(不邪婬) : 남녀의 도를 문란케
해서는 안 된다.
④ 불망어(不妄語) :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된다.
⑤ 불기어(不綺語) : 현란한 말을
해서는 안 된다.
⑥ 불악구(不惡口) : 험담을 해서는
안 된다.
⑦ 불양설(不兩舌) : 이간질을 해서는
안 된다.
⑧ 불탐욕(不貪欲) : 마음속에 욕망을
만들어서는 안 된다.
⑨ 부진애(不瞋恚) : 마음속에 분노를
만들어서는 안 된다.
⑩ 불사견(不邪見) : 무상(無常), 고(苦),
무아(無我)의 법칙을 안다.

위의 10가지 계율 중에는 말하기와 관련된 계율이 4가지나 있다. 그 중에서 불악구는 다른 사람을 욕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욕을 먹는 상대방은 둘째치고 우선 욕을 하는 자신부터 피해를 입는다는 사실을 가르쳐 주고 있다.

욕을 하면 분노의 독소가 생기고 분노의 번뇌 에너지도 증가한다. 욕은 강한 자극을 가지고 있는 만큼, 그것을 입에 담는 순간 자신의 마음에도 영향을 끼쳐 마음을 더럽힌다. 욕을 하면 왠지 자신이 상대보다 더 낫다는 착각을 하기 쉽다. 하지만 자신에게서 늘어나는 것은 분노의 번뇌일 뿐이다.

마찬가지로, 불양설도 그곳에 없는 사람의 험담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험담은 그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이 험담 대상을 깔보고 무시하도록 만들어 분노의 번뇌 에너지를 서로 증폭시키게 한다. 결과적으로 이런 과정은 마음에 부정적인 에너지를 불러일으킨다.

Controlling the mind is the starting point and final goal of Buddhism. This is the stage where you do not give in to the agony of anger, greed, and foolishness that momentarily burn in your mind, but rather manage them.

In Buddhism, there are 10 precepts to suppress this kind of defilement energy. These 10 rules that secular people must follow are called ‘10 good precepts,’ and their contents are briefly introduced as follows.

① Non-killing: Living
You must not kill.
② Do not steal: Do not steal.
③ Immorality: Promising the ways of men and women
You shouldn't.
④ Non-committal language: Do not lie.
Can not be done.
⑤ Bulgeo (不綺語): flashy words
You shouldn't.
⑥ Bulakgu (不惡口): Do not gossip
Can not be done.
⑦ The theory of non-separation: You shouldn’t fight against each other.
Can not be done.
⑧ Non-greed: No desire in the heart.
It should not be made.
⑨ Bujin-ae (不瞋恚): Anger in one’s heart
It should not be made.
⑩ View of immortality: impermanence, suffering,
I know the law of selflessness.

Among the 10 precepts above, there are 4 that are related to speaking. Among them, Bulakgu refers to not swearing at others. This teaches us that the person who curses is harmed first and foremost, let alone the other person being cursed.

When you swear, the toxin of anger is created and the energy of anger increases. Since swearing has a strong irritant, the moment you say it, it affects your mind and pollutes it. When you curse, it is easy to mistakenly think that you are somehow better than the other person. However, what grows within you is only the anguish of anger.

Likewise, the theory of bad behavior prevents people from gossiping about people who are not there. Gossip causes those who hear the story to look down on and ignore the target of the gossip, thereby amplifying the energy of anger and agony. As a result, this process creates negative energy in the mind.

Sort:  

고맙습니다
나마스테

Loading...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2
JST 0.027
BTC 60185.13
ETH 3290.40
USDT 1.00
SBD 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