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6.25 KR 큐레이터 Go-to person이 추천하는 지난 포스팅

in #kr7 years ago (edited)

뉴비~고래 님들의 스팀파워로 steemit의 발전과 홍보비용을 위하여 보팅참여를 꼭! 부탁드립니다

  • 보팅율이 중요한게 아닙니다 단, 1%라도 보팅 참여 꼭 부탁드립니다 보팅에 참여자에 아이디가 보이는것만으로 힘이 됩니다 :) 부탁드립니다

본 포스팅을 위해 투입된 시간 :
6월 24일 저녁 11시 부터 6월 25일 새벽 4시 까지 / 6월 25일 아침7시 부터 10시까지(총8시간 투입)


For the development of Steemit, please! Participate in the voting

voting gotoperson.jpg

이미지 편집기술이 없습니다 위 이미지에 대하여 우선 양해 바랍니다
There is no image editing technology. We would like to request for your understanding in advance for the image above.

큐레이터 아이디로써 공정성이라는 문제로 괜한 오해를 발생 시킬수가 있어 별도의 아이디로 추천글을 홍보함에 오해 없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Since a curator ID, there might be a chance to cause misunderstanding in the issue of fairness, we would appreciate it if you would not misunderstand us in promoting the suggestion writing with a separate ID.

지금까지 경제,문학,문화 관련된 글만을 추천하였습니다 저는 앞으로 글에대한 수준과 보상액을 중심으로 추천드립니다 즉 시간이 지나 글은 페이지뷰에서 사라졌지만 주목받지 못한 좋은글이나 내용들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7일 이내의 모든글이 해당될 것입니다

I have only recommended writings related to economics, literature, and culture. In the future, I will recommend with the writings' level and compensation amount as the center. In other words, over time, the writings will disappear from the page view, but I will post up good writings that has not been recognized. This will applicable to all writings within 7 days.

좀더 많은 스티머들이 자신의글에 대하여 적정한 보상을 받을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좀더 많은 글들을 부탁드리며 아울러 기준이되는 보상금액은 올라오는 포스팅의 보상액을 평균적으로 (산출 근거는 없습니다) 기준을 삼겠습니다 또한 저는 글은 모두 읽고 있습니다 보팅은 1~2일후부터 보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We will give effort for more steemers to get proper compensations for their writings. We ask you for more writings, and in addition, the standard compensation will be based on the average amount of the coming up postings' compensation amounts (there is no basis for calculation).

  • 앞으로 추천글을 선정하는 기준을 전일 보상액이 $40 이하의 글로 정하도록 하겠습니다

  • We have decided that in the future the standard for selecting recommendation writings will be writings with day compensation amounts of below $40.

  • 보팅과 추천글은 엄격히 다릅니다 추천글은 보상이 낮은 글중에 한번더 관심을 부탁드리는 글들입니다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 Voting and recommendation writings are strictly different. We ask again of your interest that recommendation writings are one of the low-compensated writings. We hope that there are no misunderstandings.


1 - [시] 횡성 호반

: @seongho9311님께서 시를 올려주시고 계십니다 앞으로 많은 관심을 부탁드리며 시가 가지고 있는 선율을 느껴보시는것은 어떨지 생각해 봅니다

2 - [왜 재테크인가] 적금과 예금의 차이는 무엇일까?

: @realgr님의 재테크 강의가 시작되는것 같습니다 우리에게 꼭 필요한 것은 재테크 인것 같습니다 한국에 리턴한지 한달이 아직 안되지만 제가 한국을 떠날때보다 경제는 더 냉랭해져 있는것 같습니다 분위기가 그때와는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2018년 IFRS를 대비하는 우리 자세가 필요한 시점에서 재테크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인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재테크 포스팅 기대가 됩니다

3 - 투자 VS 투기, Coin 시장에서 올바른 투자 방법은 무엇일까?

: @ksn님께서 coin시장에서의 투자와 투기라는 구분을 확실히 해주시는것 같습니다 스팀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스팀을 알고 해야할것이고 삼성전자에게 투자하려면 삼성전자를 알아야 하며 상가에 투자하려면 상권을 분석해야하듯이 coin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그 코인이 어떻게 만들어 졌고 어떠한 기술력이 있으며 어떠한 방향성을 가지고 가는지를 알아야 할것 같습니다

  • 이번 2017년 6월 25일 저평가 추천글은 3개의 글로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어제 저녁 11시부터 새벽 4시까지 글을 모두 읽어보고 오늘 아침 7시부터 다시 지금시간까지 7시간 가까이 글을 읽어보고 고민하였지만 저평가 추천글을 찾기가 쉬운일이 아니었습니다
  • 오늘 고민을 해보고 새로운 방식을 찾아보도록 하겠으며 아울러 저평가 기준도 일부 상향을 해야할것 같습니다 괜찮다 싶은 글들은 모두 40달러가 넘어가고 있으며 또한 저평가다 싶으면 해외 뉴스를 구글 번역기로 번역한다거나 혹은 너무 짧은 (트위터와 같은방식) 글들이 많고 중복된 글을 포스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이런 분들은 mute를 하고 있지만 신규유입자 분들이 많아지면서 하루가 다르게 이러한 글들이 많이 포스팅되고 있어 애로사항이 많습니다
  • 또한 혼자서 7~8분동안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서 다시 검증한다는것도 하루가 다르게 그 스크롤만하는 시간이 점점 길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오늘중 여러 측면에서 많은 생각을 하여 새로운 방식을 채택하여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보팅참여율이 너무 낮은것 같습니다 이들 작가님께서 분발할수 있도록 적극적인 보팅참여를 당부드립니다
  • The voting participation rate seems to be too low. We invite you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vote for these writers to improve their efforts.

위 글은 제가 6월 25일 추천하는 글 입니다 더 많은 스티머분께서 불만이 사라졌으면 합니다The writing above is my recommendation writing of June 25th. We wish that more dissatisfaction of Steemers will disappear.

스팀잇 커뮤니티를 위하여 매일 좋은글을 올려주시는 작가님들을 위하여 많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We request for you to make many suggestions for the writers who upload good writings daily for the Steemit community.


해당 아이디를 추천하셔서 발생된 수익은 전액 스팀잇의 홍보비용으로 지출됩니다
The income generated by the recommendation of the ID will fully be spend on the promotion fee of Steemit.

  • 선정된 포스팅의 댓글에는 아래 배너가 부착됩니다 (Comments on selected postings will have the banner below)
  • 선정 되신 포스팅에는 Go-to person의 아이디로 40% 의 보팅율로 추천드립니다

@leesunmoo @clayop @sochul @coinkorea @slowwalker @trafalgar @sponge-bob @lifewordmission @oldstone @gavvet @arama @jrcornel @thisvsthis @gotoperson @yoonjang0707 @woo7739 @corn113 @gogumacat @cljg918 @vimva @venti @ramengirl @tonesquare @morning @renohq @ioc @yoon @secom @ludorum @kview @neojew @classic-sopoom @moona @steemitpoem @jjj710416 @nightcoffee

추천부탁.png

Sort:  

수고가 많으십니다. 너무 무리하시지 마세요.

Weldon for drooping this. keep it up

추천해주신 글들 항상 잘 읽고 있습니다^^ 정말 좋은 일들 많이 해주셔서 감사하네요~

Great, I like the Korean community on Steemit, they are really active and creative!
Cheers from Switzerland.
Feel free to check my last post, maybe you’ll like it! <3

굿굿입니다!!!!

Indeed! Very clever idea !

응원합니다 좋은 일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헉 제 글에 추천을!! 감사합니다!!

늘 수고가 많으십니다. 아직 코인투자방법에 대한 글만 읽어봤는데 나머지도 읽고 보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언제나 수고 많으십니다. 추천해주신 글들 잘 읽어보겠습니다. ^^

홍보비로 사용하신다고 하셨는데 혹시 구체적인 계획이 있으신가요? 풀보팅 드리고 갑니다 ㅎㅎ

풀보팅에 감사합니다 지금 일본여행 중이지 않으신지요? 여행중에도 스팀잇을 위하여 많은 활동을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https://steemit.com/kr/@economyit/steemit 한달전에 포스팅한 내역이 있습니다
현재는 방향만 잡고 있고 정확히 이것을 위해 얼마를 모금한다는씩으로는 진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스팀잇 내에서 이벤트씩으로 지출하는 방식이 아닌점은 확실히 말씀드릴수 있으며 한글 GUI 개발 후원금이나 STEEMFEST 후원등을 중간 중간에 진행하였으며 그 진행을 위해서 바로 지출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파워다운이 된 상태입니다 또한 스팀달러의 경우에는 마켓에서 스팀으로 교환하는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전액을 홍보비용으로 사용되는 계정이다보니 개인적으로 사용된 경우나 그러한 경우는 없을것이며 아울러 스팀잇 내에서 전체 행사를 하는 경우에는 (이번 STEEMFEST 나 한글GUI 사이트 제작 등) 지속적으로 지출이 될 예정이며 지출후 일정 금액이 모이게 되면 공개적인 포스팅을 통하여 기존 지출방법 이외의 방법을 접수받아 진행할 예정입니다

  • 솔직히 @economyit을 잘했고 지금까지 3개월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포스팅한것을 정말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gotoperson이 더 이미지가 좋아졌고 스티머분들에게 더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모든것이 가능하게 된것은 @clayop님 덕분이며 @economyit의 계정 금액도 @clayop님의 의견이 가장 많이 반영되어 지출될것 입니다 물론 지금까지 여기에 대해 한번의 언급도 없으셨습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즐거운 여행 되시고 돌아오시기 전까지 건강하게 여행 다니세요 요즘 일본 정말 덥죠? :)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0744.52
ETH 3381.73
USDT 1.00
SBD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