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딩 진행에 대한 의견

in #kr-exchange6 years ago (edited)

환전소를 시작한 이유는 스팀과 스팀달러를 구매하거나 판매하기 어려운 분들이 있어 시작하였고, 보트게임, 펀딩, 코인마켓 등등을 시작한 이유는 스티밋에서 할 수 있는 것들을 늘려 유저수를 증가시키자는 이유였습니다. 모두 일정한 수수료를 받고 진행한 일들이었기에 저에게도 당연히 이득이 있는 일이었습니다.

지금 스티밋에서 논의가 되는 사안은 펀딩입니다. 펀딩은 셀프보팅과 담합보팅이라는 관점이 있습니다. 셀프보팅과 셀프보팅이 아닌 것, 담합보팅과 담합보팅이 아닌 것의 경계가 칼로 자른 듯 명확하지는 않기 때문에, 경계에 서있는 행위에 대해서는 보는 관점에 따라 이러한 논의들이 계속 이어질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펀딩을 시작했던 취지로 돌아가보겠습니다. 펀딩이 스티밋에 즐길 거리를 늘려 유저수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하는가? 그렇지 않으면 셀프보팅과 담합보팅으로 유저들이 스티밋을 떠나게 만드는가?

이러한 판단이 명백하게 서면 좋겠습니다만, 이 역시 본인이 서있는 입장에 따라 다르게 볼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우선 앞으로 논의가 진행되는 방향을 지켜보겠습니다. 스티밋 커뮤니티는 많이 성장하였고, 많이 변모했습니다. 예전부터 해왔기 때문에 괜찮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변화하는 커뮤니티 환경과 의견에 따라야 할 것입니다.

현재 많은 분들이 참여하고 있으므로 펀딩을 당장 종료하기 보다는 만기가 되는 펀딩부터 종료하여 펀딩을 줄이고, 펀딩 게시글로 커뮤니티가 얻는 득보다 실이 크다고 판단한다면, 완전히 종료하는 방안을 고려하겠습니다.

Sort:  

참 어려운 이야기인데 @krexchange님이 직접 해주셨네요.
저도 요즘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었거든요.

처음 펀드를 시작하던 당시에는 '이런 재미있는 시도를 스팀잇에서 할 수 있구나!'였었고, 감탄을 했죠.
글 쓰고 큐레이션 및 소통하면서 스팀잇을 즐김과 동시에 보팅한 걸로 코인도 받는 재미도 느끼면서요.
하지만 결코 과도하지는 않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비슷한 시도를 하시는 분들이 늘어나고 보팅 자금들이 펀드에 몰려버리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죠.
게다가 큐레이션 및 소통을 통한 보상보다 훨씬 수월하게 자신의 이익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이 되었고, 최근에는 소위 댓글 셀프보팅이나 보팅풀의 논란을 피해가기 위한 수단으로 악용되고도 있다고 느껴지더라구요.

적당한 수준으로 해주면 좋겠지만, 개개인이 느끼는 적당한 수준이 너무 다른 것 같기도 합니다. ㅠ

지금 분위기를 보면 @krexchange 님이 펀드를 종료하시더라도 다른 펀드들은 왕성하게 돌아갈 겁니다.
아니, 신규 펀드들이 더 생겨나 음성적으로 들어갈 수도 있겠지요.

어렵게 꺼내주신 말씀에 감사드리고, 이 이야기에 대해 모든 스티미언 분들이 한 번은 고민을 해보시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Loading...

좋은 문제제기 입니다. 사실 펀딩의 장점도 있고 비판할 점도 있을 수 있습니다.

셀봇이라는 비판도 있고
스달을 사꾸 갔다 파니까 가격이 떨어진다는 비판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펀딩도 일종의 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만큼 사업을 그냥 못하게 하면 스팀에서 할 수 있는 창의적인 발상들이 저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스파가 많지만 뻘글 쓰면서 셀봇 하는 것은 하기는 싫으니까 펀딩을 계속 해주길 원하는 분도 있을 것입니다.


저는 일단 koreaculture 님의 펀딩형태는 반대 합니다. 일정 인원을 딱 모아 놓고 하는 것은 보팅 풀과 거의 같은 형태입니다.

그러나 krexchange 님께서는 작은 보팅 비율로 보팅 한 분이 상대적으로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소득 재분배 효과도 있고, 사람들이 수백명씩 보팅 하는데 빼먹지 않고 이때까지 실수 없이 일처리를 잘해오신 것도 엄청난 기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존 형식과 비슷한 펀딩을 하되 커뮤니티와 계속적으로 의견을 교환해가면서 서로 도움이 되는 (상생)하는 방향으로 갔으면 좋겠습니다.

새로운 합의가 나올 시점이라는 점에 동의를 합니다.
어제 고민을 하며 글을 썼고, 나름의 결론도 내렸는데 주체자 분들이 의견반영을 해주시니 좀 더 편하긴 하겠습니다

당시 이오스를 진행하신게 국내거래소에 이오스가 없거나, 외국에도 일부 거래소 밖에 없어서 진행하셨던것 같은데...덕분에 못사던 이오스를 얻을수있었다는 점에서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펀딩이 많아서 문제인 것 같습니다
이오스는 종료되었지만 테조스 텔레그램 에이다가 있고, 다른 펀딩들도 있으니 문제가 되나봅니다. 격일로 진행되면 논란은 줄어들까요?
논란은 줄고 일부는 큐레이션을 다양한 분들에게 할 수도 있겠죠
하지만 그중에 보팅 대부분을 자신에게 썼던 사람이 있다면 다른펀딩을 찾거나 만들 것 같네요

펀딩을 악용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krexchange 님과 koreaculture 님이 아닌..일부가 그런 명목으로 보팅풀을 운영하는 사람들도 있더군요 본계정주가 누군지 예측이가서 바뀔사람도 아닌데 안보고 말지 라며 잊어서 계정명은 누군지 기억안나는게 흠이네요

검증된 펀딩 프로젝트가 필요하다
펀딩이지만 실제 받은 사람이 없다면...이건 스캠이고 담합보팅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런면에서 새로운 펀딩 프로젝트 계정이 생기는 것보다 기존에 검증된 분들이 조정을 하여 펀딩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것이 커뮤니티적 측면에서 좋지 않나 생각되네요

다양한 의견이 나와서 새로 도약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요새 너무 삭막하네요

스팀잇을 바라보는 시각은 모두가 제각각입니다. 저에겐 자투리시간에 좋은 사람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이자 작은 투자 대상입니다. ‘자투리’시간에 하는 것입니다.

펀딩은 스팀잇을 하는 하나의 재미입니다. 스팀잇에 있는 얼마 안 되는 시간에 보팅으로 소소한 수익이 생기며 스팀잇에 있는 시간 오롯이 글을 쓰거나 피드를 돌아다니며 소통하고 보팅을 해드릴 수 있는 작은 장치입니다.

요즘 펀딩을 무지막지한 어뷰징으로 보고 날선 반응을 보냅니다. 모두가 많은 시간을 여기서 보내는 것도 아니고, 또 피같은 돈을 투자한 것도 아닙니다. 저는 그들의 싸움에 관심이 없습니다. 보고 싶지 않은데 리스팀으로 보게 됩니다. 그들만큼 스팀잇에 그만한 애정도 없습니다. 그런데 마치 ‘악’으로 규정하고 날선 말을 내뱉습니다. 대단히 폭력적인 단어도 있습니다.저는 제 보팅의 50%이상을 타인을 위해 쓰고 있습니다. 더 중요한 스팀잇에서 있는 ‘시간’을 다른 분들과 소통을 위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왜 우리가 그들의 생각에 열맞춰 따라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제가보기엔 완장질 같아 보입니다.

@krexchange님의 펀딩은 총 금액의 10%를 전체 분배를 합니다. 저 역시 피라미라 수해자입니다. 0.01만 찍히면 됩니다. 최소한의 투자도 하지 않고 불평만 하는 사람들의 말을 다 따라줘야 하는지 의문입니다. 저는 펀딩이 지속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악용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문제입니다. 소수가 악용한다고 전체를 비난하는 건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지지하는 마음으로 리스팀과 풀봇합니다.

동감합니다. 저도 좋은 글도 읽고 설렁설렁 재미로 하고 싶은데, 너무 공격적이고 거친 분들에게선 정의사회 구현을 외쳤던 5공 시절이나, 아파트 값 올리기 위해 입주민들을 단속하는 부녀회의 느낌도 좀 받습니다.

감사합니다.

큰 이득도 아니었기에 포기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누군가가 이런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그만해달라고 했다면 펀딩 참여를 멈출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날선 비판을 하는 사람들이 펀딩글에 와서 댓글을 달면서 이야기 하신 분은 아무도 없습니다. 본인들의 블로그에 글을 쓰면 모두가 그 글을 읽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저는 한창 논란이 진행되고서야 알았습니다. 좋아하는 분들의 피드 방문하는 것만으로도 스팀잇 시간이 부족합니다.

누군가를 향한 날선 비난보다 @clayop님이 작성하신 이 글이 오히려 더 와 닿습니다.
https://steemit.com/kr/@clayop/4mvf54
저글을 보면서 문제가 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만들었습니다. 동시에 저런 분이 증인이어서 다행이다 생각을 하게 만들었습니다.

비난한다고 멈출 마음은 없지만 노고를 하시는 @krexchange님의 결정이 중요하리라 봅니다. 비난을 감수하면서 까지 해달라고는 말씀드리지 못하니까요. 논란에는 참 끼기 싫었는데...ㅎㅎ

보팅 자체가 힘든 저와 같은 뉴비 들에게는 펀딩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0.02.0.05 찍히는 보팅 할빠엔 펀딩에 저축 하는게 좋다고 보고 있습니다.
보팅 해줘도 미안한 마음이 듭니다.
전 그냥 쭈욱 펀딩 유지 했으면 좋겠습니다.

★ 스팀과 스달도 펀딩에 넣는다면 더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스팀과 스달을 장기 보유자 한테는 약간의 이자를 조금 더 주는 방법을 ?
요즘 스팀과스달이 거래되는 거래소가 여러 군데 생기다 보니 스팀과 스달
하락을 가져 오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스팀과 스달을 펀딩 투자에 투자하는 ~
★ 풀보팅이 문제는 좀 있다고 봅니다 .
이런 방법도 찾아 보셨으면 하는 열심히 모은 스팀과 스팀 달러를
받아서 펀딩에 투자를 하는 겁니다. 풀보팅이 문제가 된다면
아님 풀보팅을 어느 정도 제한을 하는 것도 %까지 ?
저 같은 뉴비는 저축을 한다는 의미에서 참 좋습니다 .

kr 커뮤니티가 좀 더 커지고 다양한 형태의 글들이 올라오면 문제가 없을 것 같은데, 지금 같이 스팀 가격도 떨어지고, 사용자도 적은데 펀딩 글에 보팅 금액 많아지다 보니 문제로 지적이 된 것 같습니다.

스티밋은 다양한 사람들이 활동할 수 있는 곳이었으면 합니다. 보팅 금액이 많다는 것은 그 만큼 스티미언들이 관심이 있다는 것이고, krexchange님을 신뢰한다는 의미로 보입니다. 오랜 시간동안 분배해 주시느라 수고가 많았는데, 이런 식의 반응이 나오니 안타깝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현재 방식의 펀딩은 진행하여 주시고, 펀딩과 관련된 글을 올리는 횟수를 하루 1회 정도로 제한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가끔씩 누르는 사람 입장이라 공정하지 못할 수 있겠지만 이런 것까지 어뷰징으로 몰아가는 건 심하다는 생각입니다. 일단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모든 참여자에게 혜택이 돌아간다는 점에서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고 봅니다. 또한 펀딩 없어진다고 거기 보팅하던 금액이 다른 글들로 고르게 보팅될 것 같지도 않습니다.

와 글 내용도 내용인데
댓글도 장난 아니에요 👍 멋진 스티미언들!!


보팅 & 팔로 꾹~💕 하고 갑니당

우리가 무슨 금융위원회는 아니지만, 그런 것을 검증하고
아니라고 할 수 있는 확인된 집단이 필요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게 되네요.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8
BTC 65124.62
ETH 3554.39
USDT 1.00
SBD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