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스달깡에 대한 생각을 나눠봅니다

in #kr-dc7 years ago

이전 댓글에도 생각을 나눴지만 다시 한번 정리해서 적어볼까 합니다. 우선 조금 깊은 이야기로 시작해보겠습니다.

스팀의 핵심

최근 몇 년간 재미있게 본 책들이 있습니다. Robert Reich의 슈퍼자본주의, Jeremy Rifkin의 노동의 종말, Thomas Piketty 의 21세기 자본론 등인데요, 저는 이 저서들이 공통된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바로 자본이 노동보다 더 많은 돈을 벌어들이는 현상입니다. 기계화와 자동화의 반대급부로 노동력은 점점 자본으로 대체되게 되고, 그 결과 자본가는 더 부자가 되고 노동자는 더 가난해지게 된다는거죠. 우리는 이미 이러한 사회 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세계도 예외는 아닙니다. 거대 채굴자는 점점 더 큰 권력을 쥐게되고, 고래는 점점 더 고래가 되는 현상이 이미 만연합니다. 물론 스팀에도 이러한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지켜봤을 때 스팀의 방향성은 이러한 추세와는 반대로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평등 하드포크도 그랬고, Kr 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자발적인 스파임대는 “고래가 점점 더 많은 돈을 버는” 현상과는 사뭇 거리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는 “공동체에 대한 기여가 평가받는 공간” 이라는 생각을 알게 모르게 공유하면서 애써오신 많은 분들 덕분에 일어나고 있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저는 스팀의 핵심이 자본이 돈을 버는 구조를 넘어서 사회적 기여가 보상을 받는 구조로 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게 아니고서는 스팀의 낭비에 가까운 보상정책을 이해가기가 힘듭니다. 물론 아직 부족한 점이 많은 시스템이지만 제가 보는 방향성은 사회적 기여와 명성에 보상을 주는 쪽으로 나가아고 있는 것 같습니다.

셀프보팅

셀프보팅 이야기를 짧게나마 다시 꺼내보겠습니다. 셀프보팅의 문제는 본인에게만 호의적인 편파적인 평가기준이 근본적이며, 이러한 편파적인 평가로 인해 받는 보상이 다른 구성원들이 용인할만한 기준을 넘어설 때 실제적인 문제가 됩니다.

만약 어떤 사람이 커뮤니티에서 열심히 활동했는데, 아무도 보팅을 안해줘서 셀프보팅으로 한 달에 5달러를 가져갔다고 해봅시다. 이것이 과연 문제가 될까요? 저는 구성원 대다수가 그 분의 활동이 월 5불 이상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는 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반면에 아무런 의미도 없는 활동만 하면서 셀프보팅으로 월 1000불을 가져간다면 이는 커뮤니티가 인정하는 기여도를 넘어섰을 가능성이 크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스달깡

스달깡이 셀프보팅과 다른 점은 기본적으로 미래에 받게 될 보상을 현재에 바로 받고, 보상의 일부분을 운영자에게 준다는 것입니다. 즉, 셀프보팅으로 1불을 올렸다면 1주일 뒤에 스달 0.375, 스파 0.625달러어치(저자보상 0.375, 큐레이션 리워드 0.25)를 받게 됩니다. 하지만 1주일 동안 스팀가격이 반으로 떨어지면 받게 되는 보상도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하지만 스달깡을 하게 되면 즉시 0.35 스달을 받게 되고, 향후에 0.25 스달어치(실제로는 더 적을 가능성이 있습니다)의 큐레이션 리워드를 받게 되며, 나머지 0.4달러 정도는 운영자에게 갑니다. 이 0.4달러는 1주일동안의 가격변동 및 먹튀 등의 리스크를 부담하는 것에 대한 보상 명목일 것입니다.

이러한 스달깡의 구조는 보팅파워를 받고 돈을 주는 것이며, 이는 란도웨일이 돈을 받고 보팅파워를 주는 것을 역으로 이용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지적해주셨듯이 현재 스달깡이 스팀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는 불분명한 것 같습니다. 사용자는 보팅파워를 팔고 운영자는 차익을 얻게 되겠지만 스팀 입장에서 보면 거래기록만 늘어날 뿐 특별히 눈에 띄는 금전적 수익이나 사회적 효용이 없는 것 같습니다.

스팀의 보팅파워는 자본으로 이루어졌지만, 그 목적은 사회적 기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는 이것이 혼재되어 있어서 이런 혼란이 있는 것 같기도 하고요. (이를 분리하기 위해 예전에 inactivity reward 라는걸 제안한 적이 있습니다) 물론 주어진 구조 속에서 모두가 이상향을 바랄 필요는 없습니다. 스팀에서도 여러 비즈니스 모델이 만들어질 수 있어야 한다고 보고, 이를 위해서는 유연한 마음가짐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하지만 늘 사회적 기여와 경제적 이익을 적절히 조화시키기 위해 고민할 필요는 있을 것 같습니다.

Sort:  

제가 잘몰라서 그러는데 스달깡이머죠 ?

주가에 거품이 낀다 하여도 기업이 시총에 걸맞는 역량을 지닌게 아니라면 거품은 걷히기 마련입니다. 반면에 역량이 있으며, 성공적으로 사업을 이어나가는 기업의 주가는 자연스레 오릅니다. 스팀이라는 암호화폐와 스팀잇이라는 플랫폼은 이와 유사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의견에 공감합니다.
스팀잇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는 깊이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

스달깡이 게시글 자체로도, 아니라면 게시글 외로 새로운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면 (후원/기부 등)
뭔가 인식을 반전시킬 수 있지 않을까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스팀의 낭비에 가까운 보상정책이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공감합니다.

스팀잇은 컨텐츠 제작자에게도 시스템의 가치가 및 그에 따른 소득이 분배된다는게 다른 snss와의 차별성 이자 핵심인것 같습니다.
즉, 첫째도 컨텐츠의 가치 둘째도 컨텐츠의가치 라고 생각합니다.

정도의차이는 있지만 아무런 가치있는 컨텐츠를 생산하거나 평가하지 않고 보상풀에서 보상만 빼내어가는 것은 저는 반대합니다.

좋은 말씀 잘 보고 갑니다. 긍정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많은 분들이
생각해 주셨으면 좋겠네요.. 스팀잇의 발전 이라는 한가지는 모든 분들이
바라고 있는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한가지 목표를 가지고 화합하고
단합해서 함께 멋지게 이뤄나갈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감사합니다.

스달깡과 셀프보팅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을 해 주셔서 아직까지도 이해가 쉽지않은 분들께 도움이 많이 됐을 것 같습니다. 말씀 하신바와 같이 이익을 얻기위해서는 지극히 이타적이 되어야 더욱 발전할 수 있는 스티밋 시스템이기에 최근 논란어 대해 걱정되기도 하지만 이렇게 공론화되어서 많은 스티밋 선배님들의 의견도 들을 수 있으니 좋네요~^^

전체적으로 동의를 합니다만
'반면에 아무런 의미도 없는 활동만 하면서 셀프보팅으로 월 1000불을 가져간다면 이는 커뮤니티가 인정하는 기여도를 넘어섰을 가능성이 크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아무기여없이 월1000불을 셀봇으로 가져가는 사람은 논리적으로 있을수가없습니다. 왜냐면 월 1000불을 받기 위해 스팀을 구매(혹은임대)해야하기 때문입니다. 스팀을 구매하는 행위에 대해서도 그 효용을 생각해봐야한다고 봅니다

두가지 측면이 있습니다. 첫째로 스팀파워 구입은 일회성이지만 보상은 반복적입니다. 한두번이야 인정을 할 수는 있겠지만 이것이 무한정 계속될 수는 없다고 봅니다.

두번째로 스팀파워 구입이 경제적 기여는 확실히 하겠지만 사회적 기여는 모호합니다. 완전히 이상주의적으로 갈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자본이 돈을 버는 공동체보다는 사회적 기여가 보상받는 구조가 추구할만하고 봅니다.

이건 리니지같은 게임모델에서 유료아이템이 미치는 영향이랑도 비슷합니다. 절대 1회에 그치지않습니다. 보상이 확실해지고 가치가 오른다고 할때 더많이 구매를 유도하게됩니다. 반면에 그 길이 막힌다고하면 오히려 더 투자를 안하게 되죠.

사회적기여에 대한 부분이 모호해지는데 역시나 이건 철저하게 구분을 하는수밖에없다고 봅니다.

기존에 다른 sns 회사들이 사람들을 모아 광고로 돈을 버는 모델이었는데 이것과는 다르니 여러가지 고민이있습니다.

그런 부분도 고려할 수 있겠네요. 하지만 더 좋은 방안은 경제적 기여에 대한 보상과 사회적 기여에 대한 보상을 분리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아직 갈 길이 멀어요 ^^

말씀하신 대로 보상이 사회적 기여도와 연동이 된다면 완전한, 이상적인 모델이 될 겁니다.
저도 구입한 스팀파워와 활동으로 모은 스팀파워를 분리해서 행사하게 하면 문제를 어느정도 해소 할 수 있을 거라 봅니다.

셀프보팅은 더 많은 스팀파워를 깍는 다든지 최근 1주일간 셀프 보팅액의 비율로 그날의 보팅파워 회복율을 가감하는 방법도 있겠죠. 예를들어 셀프보팅이 아예 없는 사람인 경우 보팅파워를 최대 150%까지 초과 회복시켜주고 초과회복 된 보팅 파워는 타인에게만 쓸수 있도록 제한 합니다. 그리고 초과 회복 총량은 셀프보팅한 사람의 보팅파워로 상계합니다.

위에 제시한 방법도 그냥 하나의 제안일 뿐 시행하면 어떤 결과를 낼지 모르고 더 좋은 방법도 많을 겁니다. 이러한 구상들은 많습니다. 그러나 함정은 '구상'이라는 점이죠. 한동안의 논의로 이번 논의가 어느 정도 수준에 도달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해도 그 합의와 구상이 시스템에 반영이 되지 않는 한 같은 문제 제기는 계속 나타날 겁니다.

우리가 여기서 합의해도 앞으로 들어올 사람들이 합의한 것은 아니니까요. 그들이 보기에는 또 억압일 겁니다.

결국 시스템에 '때려'박지 않고 서야 끝나지 않을 논쟁이죠. 선악이 명백하지 않으며 각자 타당한 논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스팀파워에 의한 즉, 힘에 의한 상황정리는 유저이탈을 가속화 시킬 것이 자명합니다.

결론은 지금으로써는 별다른 해결책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나마 해결책에 가장 가까운 것이 제가 주장하고 있는 분배라고 봅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3
JST 0.030
BTC 64724.80
ETH 3460.60
USDT 1.00
SBD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