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믿고 기부할 수 있는 자선 문화 활성화에 블록체인 기술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까?

글 작성일: 2024년 6월 18일 (화)


안녕하세요.
블록체인과 우리의 삶에 대해 관심이 많은 요거트 입니다!

블록체인하면 생각나는 특징이 불변성, 투명성 및 추적성 등이 떠오르죠.

체인에 기록된 내용은 변경이 불가능하고... 그래서 우리가 스팀잇에서 작성한 문서는 그대로 박제! ㅋ
투명하고요... 퍼블릭 체인인경우 누구나 체인에 기록된 내용을 들여다 볼수 있죠...
추적성... 체인상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 기록은 마음만 먹으면 추적할 수 있다는... ^^

이런 블록체인의 특징을 활용하여 우리의 삶을 어떻게 더욱 윤택하게 만들 수 있을지, 많은 이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고민을 했는데요.

자선 사업 분야에서 신뢰의 중요성


그 중의 하나가 자선사업 분야입니다.
선의의 마음으로 금전적 혹은 물품 등을 이용해서 기부를 하시는 분들이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기부를 할때, 우리는 내가 기부하는 기부금이 적절하게 사용될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기부를 하죠.

그런데, 사실 마음 한 켠으로는 내가 기부하는 이 기부금이 정말 의도한 방향으로 사용이 안되면 어떻하지? 하는 약간의 걱정도 있습니다.

실제로 백혈병 환자를 돕는다고 기부금을 모아놓고 백혈병 환자에게는 모금액의 1%도 직접 지원하지 않은 일이 발생하기도 했었습니다.

뉴욕에 본사를 둔 국립 아동 백혈병 재단(National Children's Leukemia Foundation)에서 골수 기증자 찾기, 암 연구 수행, 백혈병에 걸린 어린이들의 마지막 소원 성취를 위한 "꿈을 현실로 만드세요" 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고 하면서 전 세계를 대상으로 기부금을 모았습니다.
그런데, 2009년 부터 활동해온 이 자선단체는 2015년 백혈병 환자들에 대한 직접 지원으로 모금된 총 970만 달러 중 1% 미만을 지급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또한 설립자 Zvi Shor는 자신에게 130만 달러 이상의 급여와 기부금을 통해 이연 보상 및 특혜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출처: Children’s leukemia foundation accused in $9.7 million fraud

신뢰 할 수 있는 기부 문화 형성과 블록체인 기술


Ostern et al.(2023)는 신뢰 할 수 있는 기부 문화 형성과 관련하여 기부자와 자선단체에 블록체인 기술이 어떤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연구하였습니다.

Ostern et al 2023 charity.png

이들의 주요 연구 결과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부인방지 non-repudiation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자선단체는 기부 내역 등에 대해 기부자에게 보고해야 할 요구 사항이 줄어들게 되면서 모금된 자금의 효과적인 집행에 보다 집중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기부자는 자선단체가 수혜자에게 지불한 기부금 지불내역을 반박할 수 없고 기부 내역을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원장을 통해 추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블록체인에서 검증된 지불내역은 (사용된 합의 메커니즘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되돌리기 어렵기 때문에 기부자는 추적된 지불이 수혜자 또는 기타 자선단체에 대한 실제 지불을 반영한다고 신뢰 할 수 있습니다.

(2) 요구 사항 및 지정


ㅇ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자선단체가 특정 기준에 따르도록 요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선 단체의 사업관리비와 수혜자에게 지원되는 기부금 간의 비율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목표 달성(성과 지표) 여부에 따라 기부금에 대한 접근권을 설정함으로써 자선 단체가 특정 대의명분이나 목표에 자발적으로 헌신 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즉, 자선 단체의 기부금 집행을 (스마트 계약 등을 이용하여) 특정 핵심 성과 지표(예: 도움을 준 사람 수 또는 식사 대접 인원 수 등) 달성 여부에 연동 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영리 단체 OOO은 노숙자들의 삶을 돕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될 때까지 기부금 집행을 동결시킬 수 있습니다.

ㅇ 자선단체의 기부금 집행을 기부자 자신이 선택한 조건으로 지정 할 수 있습니다.

기부자는 자신의 기부금을 자신이 희망하는 특정 대상이나 이벤트 등의 사용에 지정 할 수 있습니다.

(3) 감독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으로, 기부금 할당 및 사용의 투명성과 추적성이 향상됨에 따라 기부자는 모니터링 역할을 통해 자선단체의 기부금의 올바른 사용과 할당을 추적하고 감독 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특히 투명성과 신뢰성이 요구되는 자선 사업 분야의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Ostern et al.(2023)의 연구 내용을 참고하여 살펴보았는데요.

블록체인 기술 덕분에 누구나 믿고 기부할 수 있는 자선 문화가 더욱 더 활성화 되어, 모두가 함께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는 더 좋은 세상을 만들어 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요거트 였습니다!

고맙습니다. ^^

<참고문헌>

Ostern, N., Furneaux, C., & Rosemann, M. (2023). Blockchain for Charity: Trust-Related Affordances in the Charity Sector, ECIS, https://aisel.aisnet.org/ecis2023_rp/268

Sort: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블록체인을 활용한 자선사업의 좋은 레퍼런스가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넵~ 블록체인 기술이 자선 사업 활성화에 촉매가 될 수 있다면 우리의 삶에 도움이 되는 좋은 기술로 더욱 인정 받을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

 2 days ago 

키스팀에서 앞장서고 있습니다.
관심있으시면 참여하세요^^

앗~ 그랬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2
JST 0.027
BTC 64998.89
ETH 3514.73
USDT 1.00
SBD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