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온적인 美통화정책과 주요국 지표
美연준 일부 인사들은 금리인하에 미온적(微溫的)이다. Stagflation(경기침체 속 물가상승) 위험 앞에서 美연준 통화정책의 신중한 관망이 적절하다. 한편 미국과 유로 존(유로화 사용 20개국)의 PMI(구매 관리자지수)는 전월대비 모두 상승한다. 관련 내용을 간략히 살펴본다.
7월 FOMC 의사록
금년 7월 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의사록에 따르면 위원들은 높은 인플레이션과 고용둔화를 우려하지만 이 가운데 다수의 위원들은 더 큰 위험으로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을 경계한다. 당시 FOMC의 성명서 역시 노동시장은 대체로 견고하다고 평가한 반면 인플레는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한 거로 진단한다. 다만 당시 美월러 연준 이사와 美보우먼 부의장은 노동시장 약화에 더 많은 우려를 표명하고 실제로 금리동결 결정에도 반대의사를 표명한다. 또한 위원들은 관세의 인플레이션 영향이 일회성으로 끝날지 아니면 보다 장기간의 인플레이션 충격을 초래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위원들은 관세영향이 소비재 및 서비스 가격에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고 평가한다. 아울러 관세의 인플레이션 영향이 장기적으로 확대될 경우 기대 인플레이션이 안정되지 않을 위험이 커진 것으로 지적한다. 다만 7월 FOMC 이후 공개된 자료에서 5~7월의 고용이 시장의 기대보다 크게 부진하며 동시에 7월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시장의 예상치를 대폭 상회하여 인플레이션 우려가 확대되고 금리인하 전망은 다소 후퇴한다.
필요한 美통화정책의 관망
美경제는 고용둔화와 물가압력이 동시에 발생하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위험에 직면한다. 이런 가운데 시장은 고용과 민간소비 부진을 근거로 오는 9월 금리인하를 기대하고 트럼프 행정부는 규제완화와 감세를 통한 성장을 낙관한다. 반면 주류 경제학자들은 관세와 이민억제 등의 정책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진 것으로 진단한다. 만일 시장의 판단이 정확하다면 美연준은 실업률 상승 시 금리인하가 가능하다. 美행정부의 기대처럼 생산성이 개선된다면 중립금리가 상승하기에 성급한 금리인하 필요성이 감소한다. 그러나 정책실패 시각이 옳다면 조기(早期) 금리인하는 인플레이션을 자극한다. 따라서 트럼프 관세정책의 효과가 충분히 확인되기 전까지는 신중한 관망이 최선이다.
미온적인 美금리인하
美연준 인사인 美하멕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최근 경제여건을 고려 시 오는 9월에 금리를 내릴 필요는 없다고 밝혀 해당 사안에 미온적(微溫的)이다. 美슈미드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도 인플레이션 위험이 고용위험보다 다소 크다고 평가하고 현재 통화정책이 완만하게 제약적인데 이는 올바른 경로에 있다는 입장이다. 美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연내 금리인하가 적절하다는 입장이지만 높은 불확실성으로 이에 대해 확정적 의견을 제시하긴 어렵다고 표명한다. 다만 차기 연준 의장 후보이자 전(前)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인 美불라드는 연내에 금리를 1%p 낮추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편 CME(시카고 상업거래소, Chicago Mercantile Exchange)의 Fed Watch 역시 연내 2회의 금리인하(9, 12월. 각 0.25%p)를 예상하나 오는 9월 금리인하 가능성을 73.5%로 제시하여 이전(85% 내외) 대비 하락한다.
주요국 최근 경제지표
8월 S&P Global 종합 PMI
미국의 올해 8월 S&P Global 종합 PMI는 55.4로 전월(55.1)대비 오르며 작년 12월 이후 최고를 기록한다. 특히 제조업 PMI가 53.3으로 ‵22년 5월 이후 가장 높은데 세부항목 가운데 신규수주(受注)지수가 주요인이다. 다만 서비스업 PMI는 55.4로 전월(55.7)대비 하락한다.
유로 존의 종합 PMI
유로 존의 올해 8월 HCOB(함부르크 상업은행) 종합 PMI가 전월대비 상승(50.9→51.1)하며 1년 3개월(15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한다. 시장에선 여건 전반이 개선되고 유로 존이 세계적 역풍을 잘 극복하고 있다고 해석한다. 제조업 부문의 경우 50.8을 기록하며 전월(49.8)대비 상승하며 3년여 만에 확장국면에 진입하고 서비스업 PMI는 50.7로 전월(51.0)대비 하락한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