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기회는 5G와 반도체다.

in #kr5 years ago (edited)

중국은 4G에서는 후발이지만 5G통신의 상용화에 세계 선두이다. 지금의 美中무역전쟁은 1980년대 당시 美日무역전쟁과 상황이 유사하다. 미국은 1985년 Plaza 합의를 통한 환율전쟁과 美日반도체협정체결을 통한 기술전쟁으로 일본을 좌초(坐礁)시킨다.

  • 美상품무역의 한계

미국은 상품무역에서 세계의 공장 중국을 이길 수 없다. 중국은 여전히 월 300억~400억$의 對美무역흑자를 낸다. 미국이 對中보복관세를 부과한 작년 7월 이후 10월까지 무역통계를 보면 승자는 미국이 아닌 중국이란 생각이 든다. 트럼프가 설치지만 중국의 對美수출은 줄어들기는커녕 2자리수의 증가를 하고 미국의 對中수출은 오히려 中보복관세로 마이너스(−)가 된다.

  • 첨단기술 對中공격

거대한 시장과 통신장비 공급능력을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의 기초인 4G의 20배가 넘는 수용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는 5G에서는 세계 선두를 꿈꾸며 ZTE와 화웨이를 지원하며 통신표준을 장악하려고 한다. 이에 미국은 작년 4월에는 中통신장비업체인 ZTE에 반도체 판매금지, 10월엔 中반도체업체인

진화메모리에 미국産 장비수출을 금지한다. 이어서 12월에는 中5G통신장비 선두주자인 화웨이 후계자를 캐나다에서 체포하며 인질로 잡는다. 이는 개별기업이 아니라 중국의 5G를 겨냥한 것이며 첨단산업의 싹을 자르겠다는 의도다. 미국은 지금 경제전쟁터를 무역에서 첨단기술로 옮기고 있다.

  • 무너지는 늑대군단

독일에는 전차군단이 있지만 중국에는 바로 민감한 후각, 불굴의 진취성, 팀플레이 정신을 강조하는 늑대군단이 있다. 後者는 거대한 4G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성장해 아시아 및 유럽을 공략하여 통신장비시장을 제패(制霸)한다. 이에 해당하는 업체가 Global 시장점유율 31%를 가진 최대공급업체인 화웨이다. 하지만 中통신장비 굴기(崛起)는 여기까지다. 4차 산업혁명의 기반기술인 5G의 세계표준을 건드린 죄를 미국이 중국에 묻고 있기 때문이다.

  • 한국의 漁父之利

지금 한국이 반도체산업에서 초호황을 누리는 것은 1985년 美日반도체협정으로 日반도체업체들을 몰락(沒落)시킨 미국덕분이다. 그리고 5G든 IoT(사물인터넷)이든 인공지능(AI)이든 4차 산업부문은 반도체 없이는 앙꼬 없는 찐빵이다. 중국은 지금 세계 최대의 스마트폰, 노트북, 디지털TV 공장이자 시장이지만 4차 산업혁명의 심장인 반도체를 만들 기술이 아직 없는 점은 치명

적인 결함이다. 1985년 일본을 좌초시킨 것과 같은 시나리오로 미국이 5G 통신기술과 반도체를 가지고 중국의 굴기를 막기 시작한다. 이는 美中무역전쟁 와중에서 한국의 5G와 반도체가 美대통령 덕분에 어부지리(漁父之利)할 기회가 생긴 셈이다. 중국은 세계 반도체 소비의 절반을 차지하는 최대시장이지만 소비량의 90%를 수입에 의존하는바 이는 석유 수입액을 넘어선다.

  • 한국의 대박기회

수년前 발표한 「중국제조 2025」에 포함된 자율주행 자동차, AI, 5G통신 등의 전략산업들은 모두 방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는 메모리 반도체에 성패가 좌우된다. 중국은 치명적인 반도체 해외의존을 벗어나기 위해 2025년까지 반도체 수요의 70%를 자급하는 것이 목표이자 희망이다. 그러나 이는 미국이 놓은 기술의 덫 즉 美제재에 걸려들어 중국으로선 물 건너간

셈이다. 이젠 한국의 對中 최종병기는 철강, 화학, 자동차가 아니라 5G통신과 반도체다. 반도체부문에서 1980년대 중반 美공격이 계기가 된 일본쇠퇴(衰退)의 기회를 놓치지 않고 승부수를 띄운 것이 오늘의 삼성과 한국이 있게 된 배경이다. 한국입장에선 5G와 반도체 기술에서 벌어진 초격차를 유지하면서 중국의 빈자리를 차고 나가면 대박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Sort:  

좋은 글 감사합니다 ~

Posted using Partiko iOS

방문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글을 읽다가 한가지 의문점이 생겼는데 일본반도체 업계에는 제재를 하였는데 한국 반도체 업계를 제재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당시에야 한국 반도체 산업이 작아서 크게 신경 안써도 될정도였겠지만 그 이후에 한국 반도체 산업을 제재할 기회가 아예 없었을 것 같지는 않았을 텐데 궁금하네요.

개인적인 입장입니다만 국력의 차이 아닐까요. 중국이나 일본은 미국을 능가할 정도의 힘을 내세우며 대항하지만 한국은 그렇지 않은데 이유가 있을 거라고 봅니다. 미국에 대해 협조적인 한국의 자세와 미국측회사(애플 등)의 소송 등 문제제기에 삼성의 슬기로운 대처가 답이 아닐까요. 좋은 점 지적해주신데 감사드립니다.

한국이 반도체 생산할때마다 특허료 와 장치설비 로 이미 미국에게 큰 수익을 안겨주고 있는 상황 입니다. 한국은 미국의 영역의 선을 넘지 않았지만... 일본은 그때 당시 건드리지 말아야할 CPU 생산까지 넘보다가 뚜두려 맞았죠.

좋은글 감사합니다.

방문 감사합니다.

이 기회를 살려서
재도약 하는 모습 꼭 보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방문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8
BTC 65355.67
ETH 3525.27
USDT 1.00
SBD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