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전망과 개도국 부채조정

in #kr2 years ago

포스팅이미지.png
일부국가를 제외한 아시아권 경제의 물가는 오르고 성장은 하향조정된다. 한국의 對中수출이 둔화하면서 수출전선에 경고등이 켜진다. 한편 개도국의 부채조정에 대한 구체적 대책은 미흡한 편이다. 통화긴축 정책으로 인한 조달비용 상승 등으로 Global 기업부채는 감소세다. 관련 내용을 간략히 살펴본다.

  • 아시아경제 전망

ADB(아시아 개발은행, Asia Development Bank)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49개국 중 일본, 호주, 뉴질랜드를 제외한 46개국의 GDP(국내총생산)성장률을 분석한바 여기서 고물가 영향을 반영하여 아시아 46개국의 올해 평균 4.6% 성장을 예상하면서 지난 4월 전망보다 0.6% 낮춘다. 내년 성장률 전망 역시 소폭 하향 조정(5.3%→5.2%)한다. 이는 코로나19 영향의 완화에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공급충격,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의 공격적인 통화긴축의 영향을 반영한다. 그리고 아시아 개발도상국 물가상승률은 유가, 식품의 가격상승으로 올해 4.2%, 내년 3.5%로 전망하여 지난 4월보다는 각각 0.5%, 0.4% 상향한다. 다만 다른 지역에 비해선 상승세가 낮을 거로 전망한다.

  • 한국의 물가 전망

ADB는 올해 韓물가상승률 전망을 지난 4월 3.2%에서 4.5%로 대폭 올리고 내년에도 1.0%p 올려 3.0%로 전망한다. 이는 Global 상품가격 상승과 코로나 이후 소비급증 등 복합적 영향이 원인이다. 韓정부와 국제기구 등도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올린다. 韓정부는 올해 물가가 2008년(4.7%) 이후 14년 만에 최고인 4.7%를 예상한다. 지난 6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올해 韓물가의 4.8% 상승을 즉 직전 전망보다 2.1%에서 2.7%p나 높인다. IMF도 지난 4월 3.1%에서 4.0%로 올린다. 한국은행 역시 올해 4.7%를 넘어설 가능성을 예측한다.

7월 韓소비자물가

韓통계청에 의하면 2022년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8.74(2020=100)로 전년 동기대비 6.3% 상승한바 이는 직전 6월의 상승률(6.0%)을 넘어선 것이며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8개월 만에 최고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개월 연속 6% 이상을 기록한 건 1998년 10월(7.2%), 11월(6.8%) 이후 처음이다.

  • 한국의 성장 전망

ADB가 올해 성장률 전망을 4월 3.0%에서 2.6%로 낮추고 내년엔 2.6%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는 韓정부의 2.6%와 같고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국제통화기금)가 4월 전망한 2.5%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경제협력기구) 전망치 2.7%나 KDI(한국개발연구원)가 제시한 2.8%보다 낮다. 다만 IMF와 한국은행(2.7% 전망)은 韓성장률이 앞서 제시한 전망치의 추가하향을 예고한바 있다. 이는

견조(堅調)한 대외수요가 소비 및 투자의 둔화를 상쇄(相殺)하지만 향후 금리인상과 세계경제 성장세 약화가 부정적 요인임을 설명한다. 한편 IMF가 올해 7월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을 2.5%에서 2.3%로 0.2% 하향한다. 이는 정부가 제시한 2.6%나 지난 5월 한은의 2.7%보다 더 낮다. 내년 성장률 전망은 2.9%에서 2.1%로 0.8%를 하향하여 올보다 내년이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 미흡한 개도국의 부채조정

신흥국의 부채문제는 스리랑카 이외 다수 국가에 걸쳐 위험수준으로 평가한다. 외환보유액 고갈(枯渴)과 에너지부족으로 대규모 부채를 지닌 스리랑카의 문제는 최근 신흥국이 직면한 위험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전례가 없는 코로나19로 인한 성장여력 약화, 예기치 못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원자재 수입국의 비용증가, 美달러화 초(超)강세로 인한 부채부담 확대 등은 개도국에는 위협요인이다. 이를 반영하여 스리랑카와 잠비아는 이미 채무불이행(Default) 상태에 직면한 상황이다. 스리랑카 외에도 많은 중저소득 국가는 식

료품과 에너지 비용의 부담으로 어려움이 가중된다. 선진국과 민간의 채권자가 주도적으로 개발도상국의 부채조정을 시도(試圖)하지만 다수의 신흥국은 중국에서 차입한 부채가 많은데 주요 채권국인 중국이 부채탕감(蕩減) 협상 등 관련 문제의 해결에 오랫동안 소극적이다. 이에 향후 개발도상국의 부채위기 해결은 이전의 경우보다 더욱 고통스러운 과정을 오랜 기간 동안 거칠 소지(素地)가 있다. 한편 파키스탄, 가나, 이집트, 튀니지가 IMF(국제통화기금)와 구제금융(救濟金融) 협상에 나선 가운데 세계경제의 침체는 신흥국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 한국의 지난 7월 외환보유액은 4,387억 달러(570.3조원)이다.

Global 기업부채 수준

자산운용사 Janus Henderson에 의하면 올해 3월 기준 전 세계 기업의 부채는 전년 동월대비 2% 감소한다. 그리고 현재 8.15조 달러(1경 595조원) 규모인 순(純)부채는 내년 3월까지 2,700억 달러(351조원) 추가 감소를 예상한다. 이는 높은 수준의 Global 인플레이션으로 야기된 금리상승에 따른 자본조달 비용증가로 일부 기업의 경우 신용시장 접근이 어려울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30
TRX 0.12
JST 0.032
BTC 62722.59
ETH 3111.50
USDT 1.00
SBD 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