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비의 스팀잇 키우기(1) - 기준 & 목표설정

in #kr6 years ago

20180319144150.png

뉴비의 스팀잇 키우기(1)

스팀달러와 스팀파워 중 무엇을 받는게 효과적일까?

안녕하세요.
슬슬 뉴비탈출 할 때가 되었는데..
꾸준히 하면서도 아직 명성도가 50이 못넘는 3달차 스티미언 @jacobhan 입니다.

물론 뉴비의 기준이 명성도 50은 아니겠지만 보통 그렇게 기준을 잡으시더라구요?

본론으로 들어가보죠.

아, 물론 이건 지극히 제 개인적인 의견일 뿐입니다.


여러분들은 스팀잇계정을 '키운다' 라고 말할 때 어떤 계정이 '잘 컸다'고 생각하시나요?

돌고래 쯤 되면 잘 큰계정일까요?

20180430170936.png

그럼 보팅가치가 돌고래급인 플랑크톤은 못 키운 계정일까요?
20180430171012.png

많은 팔로워가 있으면 잘키운 계정일까요?
보팅을 많이 받는 계정이 잘 큰 계정일까요?

계정을 키운다고 할때 어떤 기준을 잡아야 하는지 개개인마다 참 애매할 수 있겠습니다.

스팀잇을 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충성도 높게 이 플랫폼을 이용하는 이유는 누가뭐라해도 보상제도 때문일겁니다.

'나는 돈때문에 스팀잇을 하는게 아니야! 단지 소통하는게 좋아서 스팀잇을 하는거야!' 라고 하기엔...
솔직히 소통하기 편리한 플랫폼은 아니잖아요?

제 개인적인 입장에서 수 많은 커뮤니티를 제쳐두고 스팀잇을 하는 이유는 '기왕 하는데 나에게 가치가 생기는 것 + 잠재력이 있는 것' 을 하고싶다는 생각 때문인듯 합니다.

물론 저 또한 스티미언들과 소통하는걸 매우 좋아하고 실제로 스팀잇을 통해 오프라인 관계까지 형성해 서로 좋은 인연을 유지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시작은..
돈 밝혀서 였던거 같아요.
솔직히..허허...(긁적)

물론 하다보니 이게 기대했던거 보다는 빠르게 돈이 되거나 하진 않겠다 싶지만요ㅋㅋ

무튼...

그렇기 때문에 저는 잘 키운 계정의 기준을 돈과 시간으로 잡았습니다.

어느 시간동안 얼마나 벌 수 있을까? 가 가장 중요포인트라고 생각하고 이야기를 해볼까 해요.

그래서 저는 앞으로 돈잘 버는 계정(?)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학습과 고찰을 연재해보려고 합니다.

목표 설정은 짧은시간 안에 많은 자산을 획득하는 계정이 되겠네요.

제가 전업(?) 스티미언을 할 것도 아니고 솔직히 많이 벌 것 같지도 않지만ㅋㅋ

기왕 하는거 조금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스달을 모으는 계정만드는 방법을 연재하며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혹시 이런 흐름으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할 때 도움될만한 글이 있다면 팍팍 공유해주세요.
저도 보팅 팍팍 노력할께욥!


다음엔 뉴비가 스달과 스파업 중 무엇을 테이크하는게 더 효과적인지 공부해서 끄적여보도록 하겠습니다.

Sort:  

저도 비슷한 고민을 했는데 그게 전 임대였어요 ㅎ 임대할 스달 모여서 바로 임대 했습니다 ㅎ

오 저도 임대를 한 상태인데 뭔가 비슷한 고민한 선배님 같은 느낌이시네요 ㅋㅋㅋ

개인적으로 고민 결과는 임대가 가장 좋은 방법이었어요 ㅎ

ㅎㅎ 좋은 글 감사합니다...
스달을 모아서 빠른시일내에 변환하는게 오히려 더 잘하는 것이라고 저는 생각이 들지만요..ㅎㅎㅎ
더 공부도 많이 해봐야겠습니다.

여러가지 방법론이 있는데 시기와 상황에 맞게 수학적인 방법으로 결정하는게 가장 효율적일듯해요ㅋㅋㅋ지금 이것저것 알아보는데 생각보다 복잡하고 공신력있는 자료찾기가 어렵네요ㅋㅋㅋ

그러게요.. 너무 생각많이하면 머리아파요.. ㅋㅋㅋ
그냥 스달 가격높을때 이더로 변환하는걸로.. ㅋㅋ

일교차가 큰 날씨에요 감기조심하세요^^

바이러스님.. 조심해야겠는데요?ㅋㅋㅋㅋㅋㅋㅋ

지금은 스팀이 시세가 높으니 스파가 나은게 맞는데 문제는 13주간의 마법이... ㅡ.ㅡ

13주간 마법이라는게 어떤 의미인가요?

아.. 스파100프로로 받으면 스파를 파워다운해야 유동성이 확보가 되죠.. 파워다운 기간이 13주가 걸려서 그렇게 표현했습니다. ^^

저는 시작은 생각보다 많은 가치 있는 글들이 스티밋 링크가 되어 있길래 가입했습니다.

그리고 창작자에게 즉각적인, 그리고 공개된 장소에서 가치를 매겨주는 유일한 플랫폼이었죠

그리고 지금은 너무 좋은 사람들을 많이 만나서 스티밋이 제 생활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전부터 꿈꾸던 글도 조금씩 써보게 되더라구요.

이게 제가 바라보는 스티밋인거 같네요^^


의문을 가지시고 목표를 가지신 부분은 좋은 컨텐츠와 소통이 답인것 같습니다!

정보얻으러 저도 자주 들어와서 팍팍 보팅해야겠네요^^

아 그것도 맞아요!
네이버나 일반 구글링할 때와 급이다른(?) 좋은 정보가 많았던것도 매우 컸어요!!
글들에 스팀잇 링크가 잘 퍼진건 스팀잇의 마케팅 능력도 한 몫했네요 .

오호 ㅎㅎ 관삼을가지고 자주 봐야겠네요!!
사실 저도 약간의 금전적보상을 노리고 시작하긴했답니다 하하 ;ㅎㅎ

그렇죠 ㅋㅋ 좋은 콘텐츠로 보답하겠습니당~!

1달차입니다.

불편하지만 보상이 있으니 하는 것같네요.

네이버 블로그보다 훨씬 가치있는 것같고,
소통면에서도 더 좋은 것같네요

맞아요 ㅋㅋ 미래가치가 있으니까 더욱 몰입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소통적인 부분도 뭔가 툴은 불편한데 더 끈적(?)한 것도 사실이구요 ㅋㅋ

Amazing idea of the post

Thnak you~ :D

스팀잇의 가치중 가장 큰 부분이 보상이라고 생각하는데~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스팀잇을하는 가장 강력한 이유가 아닐까 생각되네요~
자주 들러서 많이 배워야겠어요^^
굿밤되세요!!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2
JST 0.027
BTC 65432.88
ETH 3423.54
USDT 1.00
SBD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