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로 인문학 논문을 쓴다는 것의 의미 : 번역을 업적으로 존중하라

in #kr6 years ago

나는 현재 한국의 학계(있는지 없는지 존재감도 없다는 점에서 이미 망한)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아무도 서로의 글을 읽지 않는다는 점이라고 누차 지적해 왔다.

이 문제의 근원에는 한국연구재단(구, 학술진흥재단)이 주도하고 있는 '학술 등재지'(KCI) 제도가 있다. 등재지 제도는 학술 업적의 질적 평가에 대한 학계의 무능력과 상호 의심을 숨기고자 마련한 양적 평가의 잣대이다. 하지만 연구자 상호 심사(Peer Review)에 참여한 저자와 심사위원 3인 말고는 아무도 읽지 않는다는 우스개소리(라고 하지만 거의 진실)가 있을 만큼 논문의 질적 성취에 대해서는 아무도 믿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이다.

왜냐하면 학술등재지 자체가 소수 학술단체의 돌려막기를 통해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학술지 발간에 임박하면 논문 투고를 받으려고 혈안이 된다. 투고 기한 연장은 일상다반사이다. 왜냐하면 투고된 논문 편수가 모자라서 다음 학술지 재심사 때 불이익을 받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많은 학술지가 이런 사정이다. 인력 풀이 제한된 동종 업계에 너무 많은 학술지와 학술단체가 난립해 있다는 방증이다. (나는 인문계열에 국한해 말하고 있다.)


내가 오늘 주장하려는 것은 저런 사정에 대한 총체적 비판이나 대안 모색이 아니다. 범위를 좀 좁혀 보려 한다. 나는 한국어로 발간되는 국내 학술지에 '번역'이 풍부하게 소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학술지가 존재하는 이유는 여럿이다. 글로벌 수준에서 중요한 주제를 놓고 논쟁하는 것도 분명 필요하다. 하지만 한국어로 작성된 논문이라면 그런 목적을 갖는다고 하기 어렵다. 좁은 분야의 특수한 주제에 대해 한국어를 이해하는 연구자는 많지 않으니 말이다.

따라서 한국어 학술지에는 독창적 '주장'을 펼치는 것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주제들을 '소개'하는 일이 중요하다. 솔직히 나는 후자가 더 중요하다고 본다. 좁은 연구자 풀에서 세계적으로 독창적인 주장이 나오기란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난망하다. 학계가 풍요로워지고, 한국의 학계라는 것이 존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전 세계적 논의에 참여해야 하고, 그것도 다양한 주제를 망라해야 한다. 그래야 학계 내 좁은 칸막이를 치우고 다양한 논의를 시작할 수 있으리라.

현재 인문계열 학계의 좁은 울타리란 일반인들이 상상도 못할 정도이다. 바로 옆 연구실의 연구자가 하는 논의를 글자 그대로 이해하기조차 어렵다. 전공분야는 그토록 좁다. 이를테면 한국의 연구자 대부분은 특수한 주제의 한국 지부 에이전트 노릇을 하고 있을 뿐이다. 이게 이른바 '글로벌' 수준이다.


나는 외국 학자의 논문을 번역하자는 말을 하고 있는 건 아니다. 한국 학자가 외국 학자의 좋은 글을 충분히 인용해 가면서 자신의 논문을 쓰도록 허용하자는 것이다. 나는 아직 소개된 적 없는 외국 학자의 글을 길게 인용하는 것이 왜 문제인지 도무지 모르겠다. 나는 그런 글로부터 배우는 바가 더 많으며, 특히 내가 직접 읽을 수 없는 언어이거나 좀처럼 직접 접하기 힘든 주제인 경우 좋은 인용을 통해 해당 주제를 소개하는 것이 몹시 소중하다. 그래야 더 자극을 받을 수 있고, 넓어질 수 있다.

특히 학술 논문은 해당 분야의 전문 학자만 읽는 것이 아니다. 학생도 읽고, 주제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도 읽으며, 다른 분야의 학자도 읽는다(원래는 그렇다는 뜻이고, 한국에서는 이게 안 돼서 문제다). 이럴 경우 흥미로운 주제를 먼저 연구한 외국 학자의 글을 적절하게 인용하고 요약하고 비교해 준다면 얼마나 유용한가 말이다. 현재 기준에서는 이렇게 논문 쓰면 표절이라고 욕 먹고 독창성이 없다고 욕 먹고 그런다(학술지 게재가 안 된다는 뜻임).

내가 갑갑함을 느끼는 건 거의 모든 연구자가 이렇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취직, 승진, 지원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까 침묵하는 현실이다. (나도 답답한 심정에 몇 년 동안 등재지 기고 자체를 거의 안 했고, 논문 편수 부족으로 원서조차 넣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 얘길 하려던 건 아닌데... 암튼)

번역을 학술 업적으로 평가하지 않는 한국 학계에 외치고 싶다. 니가 그렇게 잘났으면 왜 한국어로 논문 쓰며 한국에서 연구하니? 그 잘난 니 유학한 나라에서 논문 쓰고 연구하지 않고!


오늘은 글 스텝이 좀 꼬였다. 너무 큰 주제로 글을 시작했나 보다. 하지만 쓴 글을 날릴 순 없고, 언제 완성할지도 모르니, 포스팅하고 보자.

Sort:  

번역중요하지!!

아예 저널을 하나 만드시는건 어때요?ㅎㅎ literature를 소개하는 저널은 있죠? 해당 분야에 대한 여러 reference를 소개하는 형태의. 그런데 이런건 또 자주 나오는게 아니니 최신동향파악에는 한계가 있죠. 경제학도 공학도 최근에 너무 비싼 subscription fee를 요구하는 출판사에 반기를 들고 뜻있는 사람들 모여 open access 저널 만드는게 유행이던데 또 그런 저널이 결국 랭킹도 결국 엄청 올라가더라고요. 한번 해보시는것도^^

사실 저는 스팀잇 플랫폼 또는 SMT를 이용해 '저널'(유사저널)을 만들려는 계획이 있습니다.
한글로 말 되게 쓴 좋은 글이 (그게 학술지 성격을 얼마나 지녔건 간에) 널리 읽히는 것이 한국 사회에 유익하다고 보거든요.
적절한 명성, 보상이 함께 한다면 흥할 수 있다고 봅니다^^

정말 기대되네요. SMT로 해보시면 좋을듯. 응원할께요! 좀 성격은 다르지만 리서치관련하여 https://pluto.network/ 란 프로젝트도 있더라고요. ICO나 외부투자없이 진행하는 공익 프로젝트더라고요.

암튼 탈중앙화가 중요해요.^^

인문학계를 잘 모르지만, "한국의 연구자 대부분은 특수한 주제의 한국 지부 에이전트 노릇을 하고 있을 뿐이다." 문장에서 어느정도 상황이 이해됩니다. 화이팅!!

논문 1편 만들어본 1인으로서 우리 논문들은 재미가 없어요
거의 천편일률적인 인용들...형식과 틀을 얼마나 따져대는지
논문을 만들면서도 스스로 어차피 '냄비밭침'이라고 조소하죠

다양하고 재미있고 재기 발랄한 연구들이 있다면
당연히 번역해서 소개하고 해야 논문도 재미삼아 찾아보는 때가 오겠죠

난 이런 인문학계의 학술지에대해서 아는바가 없는데...
궁금한점...
번역논문을 학술업적으로 인정한다면....
번역본과 인용과 표절...다 인정되야하는거 아닌가?
남의 이야기를 한글로 옮겼다는 공통점이 있으니까....
표절하려고 얼마나 많은 외국논문을 봤을거고,
무단인용 하기위해서 얼마나 많이 논문들을 대조 했을건데....
.
.
.
여튼... 잘 모르는 사람이 하는 말이니까.....

번역이 학술 업적이라기 보단 학술 기여는 인정받아야 한다는 점에는 이의가 없다.
번역 잘 하기가 얼마나 어려운데..ㅡㅡ
그저 남의 글을 베낀다고 보는건 너무 심한 평절이란 생각을 한다.

학술지 쪽도 좋은 번역물들이 인정받고 계속 나와야 할텐데...^^~

주절 주절 헛 소리... 한줄

출처를 잘 밝히고,
요령껏 소개하면
표절 문제는 해소될 수 있을 겁니다.

번역 잘 하기 정말 어렵지요.

잘은 모르지만 대학에서 짜잡기식 논문들도 전 잘 이해를 못하겠어요.

패치워크처럼 잘 짜면 몰라도
대부분 ^C & ^V니... ㅠ

정확한 지적입니다. 이도 저도 아닌 상황의... 그런 의미에서 번역해주신 책들 열심히 잘 읽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p.s. 아래 기사가 떠오르네요. 교수신문, "번역을 이대로 방치할 건가" [링크]

고맙습니다.
박상익 선생과 같은 의견입니다.

저야 잘 모르지만 누군가가 그렇게 그것도 오랜동안 느낀 것이라면 분명 그런 면이 있을 것이라 생각되는군요. 더구나 여기서 뵌 것이지만 그 간 뵈어온 아름다운님의 판단이시라면 더더욱.

그리고 인문학 이외의 분야는 어떤지도 궁금해집니다. 다만 개원의라는 한계가 분명 있지만 제가 일하는 쪽은 그나마 그 정도는 아닌 듯 하여 다행이란 생각입니다. 과거는 어땠는지 몰라도.

사실 의료계는 '돈'으로 모든 게 환산되기 때문에 그만큼 투명할 수 있다고 봅니다.
연구 내용도 즉각 돈을 매개로 공유되고요.

인문학은 '외계어'가 너무 많아요.
그러다 보니 검증도 없고, 특히 정규직은 위협 받을 일도 없고요.
다같이 게을러지는 거죠.

번역만큼 중요한게 없죠..우리나라가 노벨문학상을 못타는이유도 영어로 번역하는게 힘들어서 라고도 알고 있습니다..번역가도 재평가 받아야하구 번역이 중요하단걸 알아야됨 ...고전도 그당시 글을 제대로 번역해야 가치가 있는데 말이죠~~

이 글 정말 대공감이에요!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0984.38
ETH 3379.71
USDT 1.00
SBD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