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부터의 자유
'이름'은 내가 아닌 다른이들을 위한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지금의 이름을 작명해주신 분들로 인하여 만들어진 내 이름은
사실 일평생 나보다는 다른 이들의 사용도가 훨씬 높기 때문이 아닌가 싶기에 말이죠.
그런데
종종 이름이 아닌 숫자로 표현되는 나를 경험하는 때가 있습니다.
관공서나 은행과 같은 곳에서는 148번, 57번 이러한 식으로 나를 호명하기 때문이죠. 물론 목욕탕에서도 그렇네요.
아직 경험해본 것은 아니지만.. 교도소에서 만큼은 확실하게 이름이 아닌 숫자로 표현되는 나의 아이덴티티를 맛볼수 있으니 다른 곳에서 숫자로 불리우는 나의 모습은 맛보기쯤 되려나요?
여튼.. 인간미 없이 숫자로 불리우는 교도소에서의 호명하는 모습이나 메마른 사무환경 속에서 불리우는 나의 이름이나
정서적인 면에서 만큼은 이름과 숫자로 불리우는 차이는 그닥 없지 싶네요.
숫자보다 이름으로 불리우는 것이 좋은데.. 효율성을 추구하는 시스템이라는 사회적 합의로 이루어진 이승에서는 반발은 없는듯 싶습니다.
다들 생각들은 다르겠지만 사회를 살아가며 가장 필요한 것이 언어와 숫자라는 생각에도 불구하고
왠지 숫자와 관계되는 복잡성을 피해다니고 싶음 마음에도 불구하고 어쩔수 없이 숫자와 밀접한 직업을 갖게되었지만 18년 만에 이제 한 달도 남지않은 퇴사일을 기다리며 숫자와의 결별을 하고 싶었는데..
아무래도 이후의 직업은 더욱 숫자에 꽁꽁 둘러쌓인 일을 하게될 것 같네요.
숫자로 불리우는 시스템도 싫었는데 숫자로 부터의 자유는 살아있는 동안에는 불가능하지 싶습니다.
쩝... 그럼 할 수 없이 '피할수 없다면 즐기라'는 표어처럼 즐겨야 하는 수밖에..
아~~~ 문제집 풀기 싫어지는 오후입니다~
가끔은 그 이름의 무거움을 벗어 던져버리고 숫자 속에 무명으로 숨고 싶기도 하죠 ㅎㅎ
저는 582,000번째 스티미언 한손입니다.ㅋㅋ
구체적이고 효율성을 생각하면 숫자가 따라붙을 수 밖에 없겠죠. 더더욱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에서라면 필수겠죠.ㅎㅎ 뭐, 방법이 있겠습니까. 숫자가 나를 따라오도록 바쁘게 움직이는 것이 방법이겠죠~
숫자로 불리우던건 예전 일제강점기 시대 때문이라고들 하죠^^?
저도 스팀잇 상에선 아이들을 1~5호라고 칭하고는 있네요.
현실에선 그러면 아이들이 싫어합니다. ㅋㅋ 이름을 조금만 틀려도 싫어하는데... 몇호라 불리는건 더 싫어해서.. ㅎㅎㅎ
문제집이라....
예전엔 문제집 푸는게 재밌었는데....
이젠 보고싶지 않네요.. ㅎㅎ
이러다 저도 풀어야 날이 올지도 모르겠습니다.ㅎ
모든 것으로부터의 자유는 진정 죽어야 얻어지는 것일까요?
숫자로 불려진걸 생각하니 훈련소 훈병시절이 생각납니다
127번 훈련병~
홧팅입니다
금방 소철님의 포스팅을 읽고 숫자가 이 세상에서 없어진다면?
이라고 고민해보았습니다.
숫자가 부정적인 면도 많이지만 필요하니 그냥 즐기는게 맞는 것 같네요 ㅎㅎ
저는 돈의 숫자가 정말 싫어요~
18년 일하시던곳에서 퇴사를 하시면 시원섭섭하겠어요. 수고하셨어요
.
언어와 기호가 그렇듯 숫자의 본질은 소통의 효율성이라고 생각됩니다
효율성은 개인보다는 집단을 이루려는 자들에게유용하고
결집된 힘을 이용하려는 리바이어던. 국가주의나 제국주의에서 더 강화된다는 면에서
효율성을 경계해야지 ~~하고 생각합니다 ㅎ
제가 비효율을 못견디는 성질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