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 조심 #9] 사기꾼도 흉악범처럼 신상 공개 검토 중!!!
현행법상 사기꾼은 신상 공개 대상이 아니고...
신상 공개가 가능한 대상은 살인, 살인미수, 약취, 유인, 강간 상해 치상 치사, 강도, 폭행치사상 등이 해당이 됩니다.
그리고
해당 범죄를 저질렀다고 무조건 신상 공개 결정이 나는 것도 아니라고 하네요.
또한,
- 사기 범죄 발생은
2018년 약 27만 건,
2020년 약 34만 건,
2021년 약 29만 건,
2022년 약 32만 건,
2023년에는 약 28% 늘어난 34만 7901건이라고 합니다.
- 사기 범죄 검거 건수는...
2020년 약 23만 건,
2021년 약 18만 건,
2022년 약 19만 건,
2023년 19만 8167건입니다.
사기 범죄 발생해도 검거 수는 약 57%~85% 정도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마도 사기 범죄의 형량이 낮아서 더 늘어난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
.
이 부분을 국가수사본부에서 총 3660만 원을 투입해서 최근 사기 범죄자의 이름, 얼굴, 나이 등을 공개하는 내용의 사기 범죄자 신상 공개 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용역을 발주를 했다고 올해(25년) 5월 23일 밝혔습니다.
그리고
경찰은 사기 범죄의 조직화와 지능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신상 공개 제도의 목적, 단계 등을 체계적으로 구분해서 신상 공개 제도를 설계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시행이 된다면...
사기 범죄자(전세 사기 악성 임대임, 보이스피싱, 리딩방, 가짜 공모주 등)의 신상과 함께 피해 금액, 피해자 수를 함께 공개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
.
언제부터 시행될지는 알 수 없지만...
정말 시행이 된다면...
사기 범죄가 조금이나마 줄어드는 효과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사기 조심 #1] 네이버 스토어에서도 새로운 피싱 범죄가 나오다
[사기 조심 #2] 금융감독원은 숏폼, 유튜브로 코인 사기를 알린다!!
[사기 조심 #3] 은퇴한 노년층의 노후자금을 노리는 사기꾼들
[사기 조심 #4] 신종 금융 사기 큐싱(QR코드+ 피싱) 주의보!!!
[사기 조심 #5] 신종 비대면 카드깡 조심합시다!!!
[사기 조심 #6] 미술품 투자 사기.. 모르는 분야는 조심 조심!!!
[사기 조심 #7] 유명 브랜드 패딩, 온라인 저가 패딩 사기 주의!!!
[사기 조심 #8] 딥페이크 접목한 로맨스스캠 사기 조심
- [조심 #1] 중국산 IP 카메라로 해킹한 영상들이 불법 사이트에 유포되고 있다!!!
[조심 #2] 부산 아파트 단지 내 들개에게 물리는 사고 발생
[조심 #3] 해외에서 카드 사용 시, 도난 및 위변조 조심!!!
[조심 #4] '압류금지 생계비 통장법' 국회 본회의 통과... 개인 간 돈거래 하지마세요!!!
24.01.29 상품 후기 작성 알바 '스미싱 문자'가 오다~
24.01.23 영수증 리뷰 믿었다가 당할 수 있다!!!
23.11.23 사채 100만 원이 2달 뒤 4천만 원으로 늘어나다23.11.21 [울산 전청조 사건] 7명 남성들에게 30억 원 뜯어낸 40대 여성
23.09.26 딥보이스(AI 음성) 신종 보이스 피싱~
25.06.06
.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Wow, @blackeyedm! Your consistent dedication to exposing and educating us about fraud is truly impressive! This post, highlighting the potential for publicizing scammers' identities, is incredibly timely and important. The statistics you've presented paint a stark picture of the growing problem of fraud, and the fact that the government is considering this measure is a huge step forward. I especially appreciate you breaking down the specifics of who might be targeted by this new policy, like the 악성 임대임, 보이스피싱, 리딩방, 가짜 공모주! This kind of transparency could be a real game-changer in deterring future crimes. Thanks for keeping us informed and safe on the blockchain and beyond. Definitely resteeming and sharing this vital information! Let's hope this goes into effect soon!
해야죠 이 나라는 범죄자들에게 너무 관대합니다.
범죄자들에겐 한국이 천국이죠ㅎ
누가봐도 번죄자면 공개가 맞죠.사짜넘들은 진자악질이라 찬성임요
사기꾼들은 감옥에서도 사기 어떻게 칠까 생각한다고 하니까...
얼굴 공개는 괜찮은 것 같아요 @.@
저는 범죄자들에게는 인권이 없다는 입장 입니다
흉악범들을 왜 모자이크 처리 하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조금씩 바뀌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