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3 시대의 STEEM] 제3장 스팀을 활용한 DApp 개발 사례steemCreated with Sketch.

in Steem Dev5 months ago

이전글

[Web3 시대의 STEEM] 제2장: 스팀 기반의 수익 창출 모델 - 스팀을 통한 다양한 수익 창출 방법


스팀 블록체인 기반 DApp 개발 분야

스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DApp(Decentralized Application,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 개발은 스팀의 주요 특징을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 과거에 있었던 스팀 기반 DApp 개발의 주요 분야와 그 분야에서 대표적인 DApp을 소개한다.

1. 소셜 미디어 및 블로깅

  • 특징: 사용자가 콘텐츠를 생성, 공유하고, 커뮤니티의 투표를 통해 보상을 받는 플랫폼.
  • 대표 DApp: Steemit - 스팀 블록체인의 첫 번째 및 가장 인기 있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2.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 특징: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게임, 사용자의 참여와 기여를 기반으로 보상 제공.
  • 대표 DApp: Splinterlands - 스팀 기반의 트레이딩 카드 게임.
    • 현재는 Hive 체인 댑이며, 스팀에서는 서비스 중단되었음.

로그인 옵션을 보면 Hive와 다른 주요 지갑이 보이지만 스팀 지갑 옵션은 없다.

사람들은 블록체인 게임하면 단순할거 같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 게임이나 이보더 다 고퀄리티의 게임도 블록체인 기반으로 서비스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임 아이템을 NFT화하고 중앙에서 관리되는 계정대신 지갑/키를 사용하고, 거래 내용을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면 기존에 보던 다양한 게임 서비스가 블록체인에서도 가능한 것이다.

Web3 시대를 맞이하여 대부분의 게임 서비스가 블록체인 위에서 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3. 온라인 커뮤니티 및 포럼

  • 특징: 특정 주제나 관심사를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 구축, 토론 및 정보 공유.
  • 대표 DApp: SteemPeak -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팀 기반 커뮤니티 플랫폼.
    • 역시나 스팀에서는 서비스 중단하고 Hive 체인으로 이전하였음
    • 스팀잇 alternative 서비스

4. 탈중앙화된 금융(DeFi) 서비스

현재는 도메인도 팔아치웠나보다.

스팀 파워 임대 서비스

스팀 블록체인에서는 스팀 파워(SP, Steem Power) 임대 서비스가 여러 개 운영되고 있으며, 이 중 UPVU는 가장 주목받는 서비스 중 하나다. 아래에서 UPVU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UPVU 서비스의 특징

  1. 보상 시스템: UPVU는 사용자가 보유한 스팀 파워를 UPVU에 위임하면, UPVU가 이를 활용하여 큐레이션 활동을 수행하고 그 수익을 사용자에게 분배합니다.
  2. 일일 보상: UPVU는 매일 사용자에게 스팀 토큰 형태로 보상을 지급합니다.
  3. 수익률 최적화: UPVU는 큐레이션 활동을 최적화하여 스팀 파워 위임에 대한 최대 수익을 목표로 합니다.
  4.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UPVU 웹사이트는 사용자가 쉽게 스팀 파워를 위임하고, 수익을 확인할 수 있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UPVU 이외의 스팀 파워 임대 서비스

스팀에는 여러 개의 임대 서비스가 있다. 그 수는 적지 않으며 모두 비교하는 것은 어렵고 주요 서비스 3개만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 데이터는 2024년 1월 14일 기준이다.
(임대 수익률 계산은 간단하지 않으므로, 우선 비워둔다)

서비스임대량 (스팀파워)보팅 금액평균 임대 수익률(APY)추가 조건/특징
UPVU23.85M SP$217.9942%일일 보상 지급
AVLE6,36M SP$71.53?%누적 보상
UPEX3.18M SP$27.94?%?

과거 비교 자료 참고

https://steemit.com/hive-102132/@upvu/comparison-of-delegation-services-based-on-data

https://blog.nutbox.io/@timbae/08-16-tipu-upvu-nutbox-3

이러한 임대 서비스들은 스팀 블록체인의 고유한 특성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자신의 스팀 파워를 활용하여 추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가 커뮤니티의 순기능 역할만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임대 서비스는 개인 투자금에 대한 이익만을 극대화하기 때문에 커뮤니티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게 한다.

어떻게 이러한 수익을 얻을 수 있는지 설명한 영상을 공유하니 참고하면 된다. 단 해당 내용은 3년 전 영상이다.

이 밖에도 여러 임대 서비스가 있고, 임대 서비스이면서 운영 수익을 가져가지 않는 서비스도 있다. 또한 임대자가 누구에게 임대 혜택을 줄지 정할 수 있는 jsup 서비스도 있다.

스팀의 임대 서비스는 다른 블록체인의 스테이킹 서비스와 비슷하지만, 스팀만의 독특한 기능으로 스테이킹 서비스와는 차별화 된다.

Sort:  

잘 정리해주셨네요. 개인적으로 스팀기반 리워드형 만보기 디앱하나 만들었으면 좋겠어용...하이브기반 액티핏과 같은거요...

 5 months ago 

현재로서는 가장 유망한 서비스라고 생각되네요. 개발해보면 좋겠단 생각은 드는데 개발자가 없는게 아쉽네요. 안피곤님이 생각이 좀 있으신것도 같구요.

참 어려운 세상이지만 꾸역꾸역 가고 있습니다. ㅠㅠ

 5 months ago 

앞으로도 어떻게 갈지 알 수 없네요.

This post has been featured in the latest edition of Steem News...

정말 좋은 DApp들이 하이브로 넘어가서 너무 안타깝습니다.

 5 months ago 

넘어간 것은 넘어간거지만 스팀에 새로운 개발자 유입이 없는게 더 상황이 안좋네요. 하이브는 개발자 프로그램이라도 돌고 있어서 그나마 개발 동기부여가 되는데, 스팀은 그마저도 안되고 있으니 어렵네요.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1451.56
ETH 3442.58
USDT 1.00
SBD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