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경제] 자산 배분

in Avle 경제와 투자11 months ago

100세 시대입니다.
많은 생각이 들게 하는,
시사점이 많은 통계가 있습니다.

인생에서 흑자 시기는 겨우 33년.
나머지 기간은 적자입니다.
그렇다고 적자 시기를 메울만큼
흑자 폭이 크지도 않습니다.

<통계청 2022년 국민이전계정>




17세, 고등학교 때 -4000만원이 최대 적자이며,
43세, 사회에서 허리에 위치하는 1753만원이 가장 큰 흑자입니다.

이를 보면 28세 첫 흑자 전환까지는
부모의 도움으로 살아가는 것이고,
28세부터 61세까지 번 흑자로 평생을 사는 것입니다.
흑자가 높지 않은 건 자녀양육에 많은 비용을 할애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생애주기에 따라 자산 배분을 해야합니다.
투자가 꼭 필요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단순 저이율의 예적금 만으로는 평생을 살아갈 수 없기에,
흑자를 극대화 하면서 적자 시기를 미리 준비해야합니다.

고로 이전에 작성한 금융상품인
ISA, IRP, 연금저축이 생애주기적자를
길게 늘려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포스팅+큐레이션 대회

#1 Intro - [삶과 경제] 인생의 장기 생활설계
#2 1인가구- [삶과 경제] 1인 가구_둥지를 떠나니 춥다
#3 1인가구- [삶과 경제] 목돈 모으기=주거비 줄이기
#4 1인가구- [삶과 경제] 목돈 모으기_정부 정책 활용
#5 1인가구- [삶과 경제] 1억의 의미
#6 1인가구- [삶과 경제] 1인에서 2인으로
#7 2인가구- [삶과 경제] 부부는 경제 공동체
#8 2인가구- [삶과 경제] 지출·관리 소통부터 시작
#9 2인가구- [삶과 경제] 결혼 페널티
#10 번외편- [삶과 경제] 돈 모으는 생활 패턴
#11 번외편- [삶과 경제] 세금을 돌려받자
#12 번외편- [삶과 경제] 불확실한 미래_보험
#13 번외편- [삶과 경제] 다인가구로의 길_자녀
#14 금융지식- [삶과 경제] 금융문맹
#15 금융지식- [삶과 경제] 목돈을 모으자
#16 금융지식- [삶과 경제] 예금과 적금 금리
#17 금융지식- [삶과 경제] 소비_카드 활용
#18 금융지식- [삶과 경제] 통장 쪼개기
#19 금융지식- [삶과 경제] ISA 만능통장
#20 금융지식- [삶과 경제] 개인연금

Posted through the ECblog app (https://blog.etain.club)

Sort:  

늘 미래를 위해 살다가 현재가 어느덧 다 늙어버렸네요

팩폭 그만요 ㅠㅠ

100세 시대라고 해도 70~80세 정도만 되어도 거동이 불편해지죠ㅠ;
그러니...
70에 맞춰서 삶의 시계를 맞추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그쵸 병원비때문인지 나이 먹을 수록 마이너스가 더 심해집니다...

적자폭을 조금 이라도 메우기 위해
스팀이 1달러 대에 고정 되면 정말 정말 좋겠습니다 !!

행복한 상상입니다 ^^

Coin Marketplace

STEEM 0.08
TRX 0.29
JST 0.036
BTC 101749.56
ETH 3381.32
USDT 1.00
SBD 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