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에 관심들이 많네요.
요즘 주변 분들에게서 코인 관련 문의가 참 많이 옵니다.
근데 사실... 디파이 일드파밍 같은 경우 설명하기도 어렵고 오래 걸리고,
결정적으로 이걸 한다고 해서 내게 떨어지는것도 없는데 왜... 라는 생각이 들게 마련이죠.
그래도 같은 이야기를 n번 반복해보다 보니 나름의 요령이 생겼습니다.
디파이 일드파밍 원리를 설명해드리면 상당수의 분들이 매우 신기해 하시더군요. 이게 그냥 홀짝 도박맞추기나 묻지마 투자가 아니라 나름 비즈니스 모델이 있는거구나.
그러나 그 다음 지갑 세팅 등 까지는 솔직히 설명을 다 할 자신이 없었습니다. 메타마스크나 트러스트월렛 등에 쓰이는 seed 구문의 경우 초보자분들이 보관을 잘 하실 수 있을지도 의문이고...
나중에 이걸 비공개자료라도 뭔가 딱 한번에 따라하면 되는 매뉴얼로 만들긴 해야겠습니다.
디파이는 사실.. 본인스스로 찾아보시는 분들이 아닌이상 설명하기 참 애매한 것 같습니다. 신규파밍진입해서 손해볼것 같기도 하고..
BNB-BUSD급의 근본(?) 파밍만 소개한다해도... 이게 시작이 정말 어렵네요.
오..!
정리 되시면 저도 좀..
디파이 관련 여쭤보고 싶은 것들이 많았는데 실례가 될 거 같아 그냥 포스팅 해주시는 것들만 봐와었습니다. ~.~;
앗 문의사항 있으시면 저 등도 괜찮지만 @donekim 님 글이 제일 잘 설명해주실듯합니다. 아니면 댓글로 문의 남기심이!
매뉴얼이 있으면 좋기는 할 거 같아요^^
그렇겠지요? 한번 작성해 봐야겠습니다.
저도 지인이게 설명을 해보니... 엄청 어렵더라고요.
그나마 지인이 센스가 있고, 워낙 하려고하는 의지가 강해서 성공했습니다.
결국 본인이 얼마나 하고 싶어하느냐가 관건인 것 같습니다.
지인분이 센스와 의지가 있으셨던듯합니다. 둘다 있어야 제대로 이 판에 참여 가능한듯.
유니스왑 설명하는것도 생각보다 꽤 어렵더라고요. 미리 배워놔서 얼마나 다행인지.. 여기 계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이게 새로운 개념이다보니 설명하는게 확실히 어려운 것 같습니다.
메타마스크와 디파이는 저도 주변 지인들이 물어도 하지 말라고 권유 합니다.
나중에 비번 관리 못하거나 해킹당한거 해결해 달라고 할까봐 그냥 하지 말라고 합니다...
레오님도 주변에서 수많은 문의를 받으셨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역시 그냥 하지 말라고 하는게 답인듯합니다. 잘되면 자기덕 안되면 내탓, 이 확률이 너무 높아서요.
제게, 비트코인이 뭐냐고 묻는 분들이 많네요
제가 약간 old fashion 이라 DEFI 입문을 주저했는데,,,
복잡하다고 생각했고,,
이걸 언제 어떻게 배우나 생각했는데,
큰 맘먹고 하루정도 투자해서 배웠더니,
지금은 편하게 잘 하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MetaMask 자체를 trust 못해서 ㅋㅋㅋ.
곡갱이 가격이 적당할때(?) 들어가는게 좋은것 같고,
저는 BNB를 다른걸로 바꾸는걸 안좋아해서,
되도록이면 이자가 낮더라도 BNB 로 할수있는 LP 를 선호합니다~
제 방식이 맞는건지는 모르지만 ㅎㅎ
잘 배우셨네요. bnb, cake이 bsc에서는 main인듯요
@glory7 님, @tradingideas 님, @donekim님께서 올려주신 포스팅 보고 많이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제 주변에 코인바닥에서 좀 놀아봤다는분들도,
거의 다 DEFI 가 뭔지 모르시더라구요. ㅎㅎ
덕택에 좀 아는체 좀 했습니다 ㅋㅋ.
역시 고수십니다!
@deer3 transfered 25 KRWP to @krwp.burn. voting percent : 20.10%, voting power : 74.70%, steem power : 1756323.27, STU KRW : 1200.
@glory7 staking status : 2500 KRWP
@glory7 limit for KRWP voting service : 7.5 KRWP (rate : 0.003)
What you sent : 25 KRWP
Refund balance : 17.5 KRWP [53240085 - d69db38b622655f8a16e4c8e54ab2feb0acb4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