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 여쭙기] 보팅봇 Vs 팁유, 어느 것을 이용하는 것이 '착한' 행동입니까?

in #kr7 years ago (edited)

연어입니다. 당분간 제가 세간의 논란에 중심이 될 것 같습니다. 어차피 겪을 일이라 생각해서 전면에 나서고자 합니다. 물론 제가 과감히 치고 나온 스달깡 서비스에 관련해서입니다. '과감히'이란 표현은 누군가는 생각해 봤음직 했을텐데, 스팀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때문에 자중했을 일이었을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일전에 어느 뉴비분께서 스팀잇에 있다보니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된 기분이라고 표현하신 것을 본 적 있습니다. 어쩌면 우리는 스팀잇이 제공하는 듣보잡 환경에 놓이면서 정말 이상한 나라에 와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자칫 길을 잃으면 '앨리스'가 아닌 '주화입마(走火入魔)' 되는 건 아닐까 걱정도 되는게 사실이지요. ^^


슬슬 스달깡 서비스에 대한 우려가 감돌면서 저는 오늘 아침 @oldstone 님의 글을 다시 읽어 보게 되었습니다. (https://steemit.com/coinkorea/@oldstone/6oym7d : "남한테 나쁜소리 하기 싫은데도 불구하고 표절과 부도덕성에 관대하면 안되는 이유") 여러 이해 관계가 얽혀 있는 스팀잇이지만 개인적으로 올드스톤님께서는 이런 현상, 그리고 이런 단계에 서 있는 스팀잇을 어떻게 바라보고 계신지 참으로 궁금합니다. 어쨌든 제 의견을 말씀드려야 하는 자리이니,

일단 이 글에서 여러분께 한 가지 의견을 여쭤보고 각자 어떤 생각을 하시는지 한 번 들어보고 싶습니다. 바로 두 개의 봇에 대한 평가입니다. 대체로 란도웨일이나 kr웨일같은 보팅봇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시고, tipU와 같은 팁봇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이십니다. tipU에 대해 언급하자면 거의 환호하는 수준이지요. 물론, 저도 팁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게 뭐랄까.. 윤리적 측면? 스팀 생태계의 미칠 긍정적 영향 측면에서 활용하기에는 의구심이 남습니다. 저는 보팅봇과 팁봇을 모두 유용성 측면에서 보고 있으며, 둘 다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사용자들의 활용에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사람들이 보팅봇에 대해 박하게 대하는 이유는 결국 셀봇의 우회 방식의 하나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물론 맞는 말씀입니다. 그렇다면 팁유는 그런 위험에서 피해갈 수 있을까요? 사실 제가 몇 일전 친구에게 부탁하여 함께 테스트를 진행해 본 것이 있습니다.

저와 친구는 각각 약 20 SBD씩을 팁유 계정에 입금시키고 서로 같은 수만큼의 포스팅에 댓글을 달며 무려 5 SBD씩 팁을 주고 받아 보았습니다. 친구는 제 글에 팁을 쏘고, 저는 같은 수만큼 친구의 글에 팁을 쏩니다. 그럼 서로 글 한 편에 팁을 쏠 때마다 5 SBD씩 팁유의 계정에서 서로의 계정으로 돈이 들어갑니다. 그럼 결과는 무엇입니까? 그냥 20 정도씩 팁유에 들어갔던 돈들이 결국 자신의 계정으로 돌아오는 겁니다. 돈은 그대로 돌고 돌고 팁주는 기분만 낸 것일까요? 아마 아닐 것입니다.

제가 듣기론 (그리고 직접 본 바로는) 원래 팁유 계정은 팁을 쏘면서 자기보팅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게 랜덤한 것인지, 아니면 아직 보팅파워가 약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분명 셀프보팅을 하는 녀석입니다. 여기 커뮤니티에서 그렇게나 싫어하는 셀프보팅 말입니다. (변명 : 제가 셀프보팅을 옹호하는 것은 아닙니다) 팁유는 종종 또는 매번 셀프보팅을 감행하면서 발생하는 수익을 사용자에게 일부 쉐어하는 방식이라도 들었습니다. 그렇다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0.1 SBD정도의 기본팁을 줄 때 저는 50배씩, 그것도 무위험의 많은 회전률로 팁을 남발함으로써 다른 이용자들보다 수익 쉐어에 대한 비중을 크게 키울 수 있었을 것입니다. 제가 팁유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 것이 맞는지는 모르지만, 제가 이해하고 있는 것이 맞다고 하면 저는 그렇게나 '선량해' 보이는 팁유를 매우 '악용한' 셈이 됩니다. 그렇지요?

자, 그리고 방금 두 번째 테스트를 해 보았습니다. 방금 테스트임을 밝히고 스달깡 3회 서비스에 제가 댓글로서 셀프팁을 날려 보았습니다. 그리고 이 또한 가능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껏 환대 받고 있는 팁유 역시 악용할(누군가에겐 '활용할') 소지는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저는 일반 보팅봇보다 팁유가 더 얍실한 서비스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보팅봇은 적어도 임대든 뭐든 자본금 역할을 할 자기 파워라도 필요하지만 팁유는 그런 것도 별반 필요 없습니다. 과감히 이용자들에게서 현찰(SBD)을 입금받고 시작합니다. 물론 자기돈 자기가 빼서 팁주는 것이지만 1불 빼쓰면 1불 줍니다. Kr웨일 같은 경우에는 어떻게 하든 나름 이용자가 내는 돈 이상의 가치로 보팅해 보려고 애쓰기라도 합니다.

자, 사실 제가 말하고픈 논지는 좋다/나쁘다, 옳다/그르다가 아닙니다. 제가 엊그제 친구와 팁유로 팁을 서로 퍼주기 테스트를 해 본 가장 큰 이유는, 이것을 제재하는 봇이 있느냐 없느냐 알고 싶어서였습니다. 아직 없다면 분명 스팀잇 생태계에서는 비효율적인 구간임에 틀림 없습니다. 즉, 누군가는 이런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면서도 들키지 않고 있거나, 사람들이 묵인해 주거나, 경쟁자가 없다는 얘기입니다. 물론 저는 이런 활용 방식에 그리 메리트를 느끼지 못 합니다. 왜 일까요?

저는 많은 분들이 '가정'하는 방식에 의문을 품습니다. '모든 사람이 다 그렇게 한다면 결국.. '이라는 추정 방식입니다. 제가 @oldstone님의 의견을 깊이 경청하려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이미 이 스팀잇 시스템은 '모든 사람이(또는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한다면..'이라는 단계를 넘어서 있기 때문입니다.

자, 제가 어제 스달깡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같은 서비스를 연달아 두 번 냈습니다. 저에게는 이것도 테스트였습니다. 여러분의 우려에 따른다면, 1회차 서비스가 호응을 얻으며 2회차 서비스도 그래야 했습니다. 왜냐하면 '자기 보팅파워에서 돈 빼먹는 것'이니 적어도 열 번 정도는 무난히(?) 빼먹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2회차 서비스는 호응이 반감됩니다. 물론, 이것은 제가 예상한 바입니다. 많은 이유가 있었겠죠. 호기심에 1회차에 참여해 본 분들은 '그런가보다. 재미있네'로 끝냈을 수도 있고, 생각보다 미미한 깡값에 실망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내가 이렇게 하는게 어떤 악영향이 있는건 아닐까?'하는 우려심도 분명 영향을 미쳤을 것입니다. 남들의 시선도 생각해야 하고요. 또 누군가는 이런 악덕(!)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따른 악영향도 우려했을 것입니다. 이용자에게도 가할 수 있는 다운보팅 같은 것 말입니다. 다행히 아직까지 그런 일은 없었지만, 이 또한 서비스를 시작할 때 이미 예상해 둔 반응이긴 합니다.

그렇지만 가장 큰 저해 요소는 바로 '기회비용'이라고 생각합니다. 저에게는 여러분들의 우려와 달리 셀프보팅, 보팅봇, 팁봇 등이 그냥 적정한 선에서 유지되고 (심하면 소멸될 수도) 말 것이라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입니다. 저는 착한 마음이 아니라 이기적인 마음으로서 계산기를 두드려 보더라도 셀프보팅에 큰 메리트를 느끼지 못 합니다. 계정을 숨기고 하루 10번의 풀봇 기회를 셀프보팅에 쓰느니 제 스스로 컨텐츠를 생산하거나 좋은 컨텐츠에 보팅하고 더 좋은 아이디어를 얻어가는 것이 훨씬 남는 장사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어제 스달깡 서비스를 이용하신 분들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일부 뉴비 분들은 제가 최소 0.1 SBD의 팁을 날려드린 이유때문에 하루 10번이라도 이용할 의사가 있으시겠지만, 대부분의 유저분들에게는 하루 한 두 번이면 모를까, 모든 풀봇의 기회를 써먹어 버리기엔 더 좋은 기회들이 널려있습니다. 설마 @leesunmoo님 같은 분이 저의 스달깡 서비스를 하루 10번 이용해서 급전 땡겼다고 좋아하고 그러시지는 않겠지요? 그 분에게는 보팅파워를 이용할 수 있는 길이 얼마나 많은데 말이죠? 저는 그렇기 때문에 스달깡 서비스가 "혹시 저런 식으로 사람들이 보팅파워를 빼먹고, 그런데 익숙해진 사용자나 운영자가 스팀 생태계에 만연하면 전체를 망가뜨리는 것은 아닌까"하는 우려는 잠시 접어두셔도 되지 않을까 생각하는 바입니다.

제가 이 서비스를 기획하고 실천에 옮긴 것은 실상 다른 의미가 있어서입니다만, 다른 모든 요소를 떠나 이러한 상품, 이러한 행동, 이러한 기류가 스팀 생태계를 공멸시키는 쪽으로 가지는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스팀잇은 이미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는 (보이지 않는) 자체 대응력을 갖추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어쨌거나 진짜 한 번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보팅봇 Vs 팁유

어느 것이 착한 봇인가요? '착한 봇'이란 우리가 잘 활용해도 된다고 독려할만한 합의를 이룰 수 있는 봇이라고 한 번 정리해 본다면 말이죠.

Sort:  

Hi @jack8831! You have just received a 2.0 SBD tip from @clayop!

@tipU - send tips by writing tip! in the comment and get share in service profit :)
If you wish to learn more about @tipU sharing profit feel free to click here.

연어님 모든일은 주관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본인의 생각에 옳다고 생각하시면 추진하시면 됩니다.
다만 직접적인 피해가 타인에게 발생되면 안되겠지요..
저도 스달깡 대단한 아이디어라고 생각합니다.
연어님이 하시는 스달깡 서비스는 타인에게 직접 피해가 없습니다.
그냥 진행하시면 됩니다.
반대하시는 분들은 참여 안하시면 됩니다.

굳이 본인들의 주관적 판단을 타인에게 강요할 필요는 없어 보이네요..
성인이 다들 알아서 하시면 되는 것이 아닐런지요...
이것 말고도 더 신경써야 할일이 많습니다.
건승하시길 기원합니다.

@skt올림

네, 뭐 저도 왠만하면 다운보팅 안 당해보려고 하는데 ㅋ 다른 분들의 의견과 기분은 어떤지 알 수 없는 법이라서요. 말이 '연어'지 자칫 잘 못하면 물가를 흐리는 송사리가 되는 것 아닐까 모르겠네요. ㅎㅎ 적어주신 말씀은 격려의 의미로 크게 받아들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연어님, 여러모로 논란의 중심이 되시겠네요~ 이미 되셨는지도 모르겠구요~ 근래 이와 같은 얘기들이 스티밋에 많이 회자되는 듯 합니다. 셀프 보팅 이슈부터 시작해서~ 그런데, 이런 내용들이 논란이 되어야 하는게 맞을까요? 각자의 생각과 의견이 있으실테고, 그게 상업적이거나 좀 더 이익을 챙기려는 측면이든, 전체의 조화로운 시스템과 윤리적인 측면에서의 의견이든, 각자의 생각은 대체적으로는 모두 존중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싫으면 보팅하지 않으시고, 사용하지 않으시고, 관심 갖지 않으시면 될일 아닐까요? 모두가 어떤 기준의 "착한" 을 지향해야 한다는 건, 애초의 블록체인이 원하는 시스템은 아닐겁니다. 분권형이라는 건, 모두가 제 목소리를 내면서도 일정 이상 존중을 받는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고, 아직 스티밋 서비스가 완숙되지는 않아서, 여러 부작용이나 반작용들도 있으리라고 보지만, 분명히, 자정되리라는 믿음이 있습니다. 어떤게 착한봇이고, 어떤게 나쁜 봇일까요? 오른쪽, 왼쪽도 앞에서 볼때와 뒤에서 볼때, 서로 달라지게 됩니다. 나 이외의 누군가에게 관심을 받는 다는 건, 필요성과 적어도 그 분들에게는 유용(?)할수도 있는 서비스라고 봅니다. 내 선택만 옳거나 그르지 않습니다. 우리는 최소한 스티밋안에서 스티미언으로 얘기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용기 있게 목소리 내주셔서 작지만, 마음은 크게 응원드립니다.

오웃.. 글 한편을 적어주셨네요. 그냥 댓글보다는 한편의 포스팅으로 올려주셔도 될 분량이었는데 말이죠. ^^ 말씀 감사합니다. 사실 저는 좋고 나쁘고를 생각하지 말자는 건 아니고 스팀잇이라는 이 오묘한 생태계에서 가치 판단을 내릴 때 이전 세계와 똑같이 적용하기 전에 한 번쯤 더 생각해 봤으면 하는 것이 첫 번째 바램이고, 이미 여러 역학관계로 얽혀 살아 움직이기 시작한 생태계 안에서 어떻게 활동해야 할지, 그리고 어떤 관점에서 그 흐름을 읽어야 하는지 복합적인 것들을 고려해 보던가, 아니면 이것저것 신경쓰지 말고 적절히(?) 활동해나가다 보면 순기능과 역기능을 알 수 있으리라 보는 입장입니다. 여기 계신 분들 중에 많은 분들이 (저도 포함해서) 투자를 감행하신 분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생태계를 어떻게 이해하고 다뤄가야 하는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일 수 있어서 이견의 차이나 충돌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바입니다. 스달깡도 그 선상에 있는 부분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 응원 감사드립니다.

연어님의 대댓글도 만만치 않으시네요~ 저는 스티밋 댓글의 문화도, 다양해지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모두가 일정 이상의 글은 포스팅을 통해 보팅을 받고자 하시는데, 그냥 편하게 댓글로 소통하면서 가치가 인정된다면 그것보다 더 좋은 게 어디있겠습니까~~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에잇. 풀봇 드립니다 ㅋ 근데 파워가 많이 소진되어서 ㅋ

헛~ 댓글에 풀봇을 해주셨네요~ 이제 스티밋 시작한지 한달 정도 지난 피라미에게는 큰 힘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무엇이 문제인가요?
내가 보기에는 문제를 만들기 위한 문제 제기만 없다면 문제 될 것이 없다고 봅니다. 이것도 안되고 저것도 안되고가 아니라 끊임없는 시도로 연구를 하고 이렇게 저렇게 해보면 이게 좋더라 저게 좋더라 가 나오고 하는것이지
하는일 없이 누군가 부쳐주는 빈대떡 나누어 먹듯이 하는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예를 들어 셀프 보팅이 각종 방법중에 제일 수익율이 적다면 그거 하겠습니까? 반대로 스팀이 멋있어 보여서 투자를 했는데 할줄 아는거라고 셀프 보팅밖에 없다면 어쩌겠습니까. 스팀잇의 활성화는 크게 두가지로 봅니다.
첫째가 끈임없는 유저들의 유입입니다. 그리고 그들이 정착을 해야 합니다. 뿌리를 내려야 합니다.그러기 위해서는 재미도 있어야하고 수익도 한주일에 한번정도는 막걸리 값이 되었든 친구들과 커피값이 되었든 퇴근길 부모님이나 자녀들 간식 값이라도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그거 몇사람 빼어 놓고는 어림도 없습니다. 그것을 어떤 방법으로던지 해결을 하여야 합니다.

두번째 투자를 계획하는 사람들에 입장에서도 생각을 해봐야 합니다.
스팀을 하다보면 나같이 나름의 목적을 가지고 투자 게획을 세울수도 아니면 묻지마 투자를 할수도 있습니다. 막대한 부를 지닌 사람이 묻지마 투자를 한다면야 반대할 일없이 환영을 해야 하지만 스팀잇에서 어느정도 뿌리를 내리고 구상하는 바가 있어서 투자를 계획하는 사람들을 적극 환영하고 배척해서는 안된다는 생각 입니다. 아직까지 크게 투자가 진행되지 못한 상태이니 말하기가 부담스럽지만 요즘의 분위기를 봐서는 투자가 무척 조심스러울수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왜 내돈들여 투자하고 좋은일 하면서 욕을 먹어야 합니까? 스팀잇 정신에 존중이란것이 있기에 참 좋아 했습니다. 그런데 존중은 자의적인 해석으로 점철되어 있습니다.
자본주의 가 기본바탕이라는 스팀이면 자본주의 정신도 들어 있고 행하여 져야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자본주의 성장은 군림에서 오는게 아니라 배려와 사랑에서 성장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스팀잇 전체 커뮤티에서 어려우면 kr컴뮤니티에서라도 자생적 기반을 만들어야 된다고 봅니다.
나처럼 호들갑 떨지 않아도 3개월정도는 뭔가 재미를 느껴 가면서 활동을 하고(여기부터는 음주 쓰기이니 )뿌리를 내리게 하는 도움을주던지 그것도 어려우면 스팀잇 스타를 만들어서 이목을 집준중시켜야 합니다. 길어지면 jack8831님에게 도움이 되지않을터이니 줄이겠습니다. 누가 무엇을 하던 일단 두고 봅시다. 이의를 제기하려면 석달을 두고 봅시다. 보팅봇 Vs 팁유 모두가 순기능이 있을터이니 너무 흑백논리로 가지 맙시다. 내가 세상에서 두번째로 존경하는 고 정 주영 회장님의 말씀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해보기는 했어 해보지도 않고는 안된다는 말은 집에 가서 마누라 한테나 해...

이런 써비스가 문제 없다고 판단한다면
왜 댓글 셀프보팅은 왜 호들갑을 떨고 반대들을 했를까요
왜 잣대는 동일하지 않고 후렉시블한건지....
기준은 동일해야 합니다

어려운 문제네요......

이 칼과 저 칼 중 어떤 게 착한 칼이고, 어떤게 나쁜 칼인가요?

결국은 어떻게 쓰느냐에 달린 문제겠죠.

정확하게 말하자면 칼이 착하고 나쁜 것이 아니라, 쓰는 사람의 문제가 아닐까 합니다 :)

네. 다만 칼을 어떻게 써야할지 고민하는 과정에서 칼을 다뤄볼 필요는 있지 않을까 합니다. 스달깡 서비스도 그 일환임은 분명합니다.

우와... 연어님 팬이 될 것 같습니다. 말씀하나하나에 무한 공감하고 갑니다.
기회비용에 관한 말씀은 정말...
만약 제가 스파가 고래급이고 셀프보팅에 대해 아무런 규제나 부정적 인식이 없다해도 그 아까운 보팅파워를 셀프보팅으론 쓰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 생각을 덧 붙이자면, 셀봇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는건 그건 그사람의 문제도 있겠지만 스티밋커뮤니티 문제라고 봅니다. 얼마나 커뮤니티안에서 보팅파워를 쓸데가 없으면 셀봇을 할까...생각됩니다.

앗, 정곡을 찔러주셨습니다. 차마 여기에 말은 못했지만, KR이 스달깡 서비스를 이겨내지 못할 컨텐츠만 수북하다면 그것도 문제겠죠. 하지만 그럴 염려는 없겠습니다. 이미 KR 컨텐츠들의 퀄리티를 알고 시작한 것이니까요.

뉴비로써 아직 많은 내용이 이해되지는 않지만 보다나은 발전을 위한 깊은 고민거리 인것 같습니다.
앞을로 자주 들러 도움받겠습니다.^^

뭐, 서비스 시작 전에 고민한 것은 사실인데, 기존의 고민을 덜어볼 목적도 있기 때문에 고민의 형태가 좀 바뀐 것 같습니다.

완전체가 된 스티밋을 생각하면(물론 이런 과정을 다 지나왔겠지만...)
저는 이런 걱정 자체가 필요 없는 모습이 되어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그때도 두 형태의 서비스는 존재 할 것이라고 보구요.
하지만 그것을 이용하는 계층은 딱 특정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날이 오면 누구나 소통을 하고 보팅을 하고 관계를 맺고
나의 글을 쓰는 것이 더 나은 결과가 나오는 사람들이 더 많을 것이라고 봅니다.

지금은 베타 서비스이니
여러가지 테스트가 되어지고 실험되고 해야하는 시점이 아닐까 합니다.
그 기간 중에 좋은 것은 살아 남고 아닌 것은 도태되겠죠...

즐거운 하루 되세요~ 휴일인데 비가 주룩주룩 내리네요

베타 서비스란 말에 좀 위안이 듭니다. 물론 여기는 실제 투자를 감행하고 있는 분들도 많기 때문에 '실전'임은 분명합니다. 그래서 제가 만약 이러한 투자자면서 이용자인 분들에게 심히 거슬리는 부분이 있다면 그 또한 숙고해봐야 할 문제라고 봅니다. 하지만 제 글에 옮겨냈듯이 그리 큰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그보다는 스달깡 서비스가 1차 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의미와, 그로 인해 파생되는 2차, 3차 효과까지 한 번 검증해 봐야하는 것 아닌가 생각하는거구요.

today i canot read ur post bcz my translater not working today bcz off some error @salmon...and which links give in post thats already in korean

I've just suggested to discuss about "Which bot is valuable in Steemit-ecosystem between @randowhale and @tipu". and this means we are talking about "What kind of behavior is more harmful for us" in KR community.

but how they bot upvote on ur posts i dont have any upvote from randowhale and tipu @salmon

개인적으로 이런 시도 재미있습니다.
사회심리학이나 경제학 관련 학생들에게 스팀을 홍보해보고 싶습니다.

저는 지금껏 하나의 생태계가 신생 발전 유지 소멸해가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어떤 부류가 승자가 되거나 우위룰 유지하 나가는지... 이러한 점에 매우 관심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한동안 정치권과 금융권에 몸 담았구요. 정치궈과 금융권은 승자, 우위를 확보하는자가 권력과 금력을 얻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헌데 이 곳 스팀잇은 그보다 더 역동적이고 전체적인 시스템 성장발전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그래서 작년에 막 가입했을 때 보다 지금 더 재미를 느끼고 있습니다. 분명 스팀잇, 특히 KR은 한 단계 발전해온 곳만은 분명합니다. 정말 @soyo님의 말씀처럼 학생들에게 이마한 교육거리이자 참여 현장이 있을까 싶습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3
JST 0.029
BTC 61016.36
ETH 3388.27
USDT 1.00
SBD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