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콥스키 P.I.Tchaikovsky의<호두까기 인형 The Nutcracker> I

in zzan3 years ago (edited)

<호두까기 인형 The Nutcracker>(1892)는 러시아의 위대한 작곡가 차이콥스키 P.I.Tchaikovsky(1840-1874)가 작곡한 <백조의 호수 Swan Lake>(1876) 그리고 <잠자는 숲속의 미녀 The Sleeping Beauty>(1889)와 함께 그의 3대 {발레 작품} 중 마지막 작품이다.


독일의 후기 낭만주의 작가인 호프만 Ernst Theodor Wilhelm Hoffmann(1776-1822)의 동화 <호두까기 인형과 생쥐 왕 Nussknacker und Mausekönig>(1816)을 모델로 하여 만들어진, 매년 “크리스마스 시즌”이면 전세계적으로 공연되며 대대적으로 큰 사랑을 받는 발레극이다.

<호두까기 인형>은 {발레 음악}이자, 무대에서 ‘발레 Ballet’를 통해 스토리가 있는 ‘극劇’으로 공연되는 {발레 작품}으로 불리며, 작품에 비현실적인 ‘환타지 Fantasy 캐릭터 Character(등장인물)‘와 간혹 그것을 위한 ’기술적 효과'를 포함하고 있기에 쟝르상 {페어리 발레 Fairy Ballet}로 분류된다.

{러시아 고전 발레}를 완성시킨 프랑스 출신 발레 무용수이자 전설적인 안무가 프티파 Marius Ivanovich Petipa(1818-1910)가 <호두까기 인형> 대본 각색과 안무를 맡아, 사실상 무용수들의 동작과 호흡 등을 가장 정확히 꿰뚫고 있는 “무용가 출신의 안무가”로서, 심지어는 음악의 템포와 마디 수의 구성에까지 작곡가 차이콥스키에게 상세한 지침을 주며 세부적으로 의논하는 등 창작 과정에 적극 참여하였다고 한다.

차이콥스키가 1891년 <호두까지 인형>을 작곡 중이었던, 당시 기준으로 5년 전인 1886년에 프랑스에서 발명-제작되어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한 ‘건반 악기’, "첼레스타 Celesta".

들으면 누구나 알 듯한.
아! 이 소리?!!

이 달콤하고 맑은 악기 소리에 완전히 매료된 차이콥스키가, 아직 당시에는 그다지 많이 알려지지 않았던 ‘첼레스타 Celesta'를 작품 곳곳에 편성-배치하여 환타지 Fantasy적인 사운드와 동화적인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연출해내는 데 성공한다.

하지만, 아름답고 영롱한 “첼레스타”의 소리를 자신의 공연에서 짜잔~ 하며 들려주기 전에 혹여라도 다른 작곡가가 먼저 사용할까봐 노심초사하며 악기상 등 관련자들의 비밀 유지에 무척이나 신경 썼다는 후일담.

그리고 또 다른 "장난감(효과) 악기들 Toy Instruments"인 '래틀 Rattle'과 뻐꾸기 Cuckoo, 장난감 나팔 Toy Trumpet 등을 사용하여 개구장이 꼬마들과 장난감 선물들을 상징하는 사운드 효과, 그리고 동심을 느낄 수 있는 매개로써의 아이디어를 더했다.
뿐만 아니라 "발레 작품"에 '여성 합창'(또는 어린이 합창- 1막 마지막)을 편성한 점도, 당시로써는 매우 독특한 시도라 할 수 있다.


줄거리 Synopsis

〔제 1막 Act I〕
제 1장 Scene i> 어느 크리스마스 밤.
소녀 클라라 슈탈바움 Clara Stahlbaum네 집(다른 버젼에서는 클라라 대신 마리 Marie 또는 마샤 Masha라고도 함).

크리스마스 파티가 시작되고 행진곡이 울려 퍼진다. 괘종시계가 여덟 번 울리자 신비로운 인물이 등장한다.
마법사이자 지역구 의원 그리고 클라라의 대부代父이기도 한 드로셀마이어 Drosselmeyer 아저씨가, 아이들을 위해 직접 만든 장난감들을 선물한다. 그중에는 마치 살아있는 것 같이 움직이는 인형들을 포함하여 멋진 선물들이 많았고 아이들은 각자 몇 가지씩의 선물을 받는다.

그중에는 나무로 된-다소 투박해 보이는 “호두까기 인형”도 있다. 다른 아이들은 거의 관심도 보이지 않는 인형이었지만 클라라에게는 다른 근사해 보이는 선물들보다 “호두까기 인형”이 가장 마음에 든다.

브라더 (남동생 또는 오빠) 프릿츠 Fritz가 클라라의 ‘호두까기 인형’을 빼앗아 장난을 치다가 인형을 망가트리자 클라라는 무척 상심하지만 드로셀마이어 아저씨가 계시는 한 걱정 없다. 아저씨가 부러진 인형을 바로 고쳐준다.

밤이 되자 파티에 초대받았던 손님들은 모두 돌아가고, 클라라도 자신의 방으로 돌아와 호두까기 인형을 꼭 안고 잠자리에 든다.
때마침 시계는 열두 번을 울리며 자정을 알린다.

그러자 갑자기, 쥐들이 방을 가득 채우기 시작하고 크리스마스 트리는 어지러울 정도의 높이로 마구 자라기 시작한다. 방안의 쥐들과 인형들 그리고 장난감들도 커지고, 호두까기 인형도 진짜 사람의 크기로 커졌다. 클라라도 숙녀로 변신한다.

“생쥐 대왕”(또는 쥐 마왕 /생쥐 왕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이 이끄는 쥐들이 마구잡이로 장난감 병정(틴 솔져 Tin Soldiers)들을 습격하기 시작하고, 그 두 무리들 사이에 전투가 벌어진다. '호두까기 인형'이 지휘하는 '장난감 병정의 군대'와 '생쥐 대왕'이 이끄는 '쥐 군단'의 전투이다.


격렬한 전투 중에 호두까기 인형이 생쥐 대왕의 공격으로 위험에 처하자 클라라는 용감하고 순발력 있게 생쥐 대왕에게 신발을 던져 그를 넘어뜨리고 그틈을 타 호두까기 인형은 생쥐 대왕을 무찌른다.
생쥐 대왕이 쓰러지자 나머지 쥐들은 모두 도망쳐버리고, 그리하여 전투는 끝이 난다.

제 2장 Scene ii> 대나무 숲 속
클라라 덕분에 목숨을 구하고 승리한 호두까기 인형은 곧, 멋진 왕자로 변신하고, 최선을 다해 자신을 힘껏 도와준 클라라를 자신의 왕국인 {과자(스낵 Snack)의 나라}로 안내한다.

그는 {과자의 나라}로 가는 길에 달빛이 비치는 밤을 통과하여 “눈꽃 Snowflakes 요정"들이 춤추는 소나무 숲으로 클라라를 이끌고, 그들의 아름답고 화려한 군무群舞 Group Dance로 환송을 받으며 {과자의 나라}로의 여정을 이어간다.

↑YouTube로 보기↑

<호두까기 인형 Nutcracker> 전체 공연이지만
오늘은 1막 위주로.


2막은 내일을 위해 남겨두기 :) 📚



Posted through the AVLE Dapp (https://avle.io)

Sort: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항상 감사드립니다!
따뜻하고 건강한 연말 보내세요~ :)

휴~ 내용을 줄이는 데 한계가 있네요;
짬짬이 쓰느라 정말 쉽지 않았답니다ㅜ 😅

3494E832-977E-4169-B89E-40FFC3266665.jpeg

모든 스티미언 님들~❤️‍🔥
즐겁고 행복한 🎄크리스마스 되시고
건강하고 따뜻한 연말 보내세요~! ☃️

7FEDDC7C-905F-4173-9587-80359DCD6A18.jpeg

C4E27BEE-C2AC-4A66-8390-DAD9476709FE.jpeg

Coin Marketplace

STEEM 0.09
TRX 0.32
JST 0.033
BTC 110566.52
ETH 3976.14
USDT 1.00
SBD 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