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공부1

in #zzan2 months ago (edited)

도덕경 공부1/cjsdns

제1장

道可道非常道(도가도비상도) :
도라고 말 할 수 있는 것은 항구적인 도가 아니고

名可名非常名(명가명비상명) :
이름을 붙일 수 있는 것은 항구적인 이름이 아니다.

無名天地之始(무명천지지시) :
무는 천지의 시작을 일컫고

有名萬物之母(유명만물지모) :
유는 만물의 어머니를 일컫는다.

故常無欲以觀其妙(고상무욕이관기묘) :
항구적인 무로는 도의 오묘함(원리)을 보고

常有欲以觀其徼(상유욕이관기요) :
항구적인 유로는 도의 경계(형태)를 본다.

此兩者同出而異名(차양자동출이이명) :
무와 유 이 두가지는 같은 것(도)에서 나왔지만 다만 그 이름이 다를 뿐이다

同謂之玄(동위지현) :
무나 유 둘 다 도의 넓고도 깊음을 일컫는다.

玄之又玄(현지우현) :
넓디넓고 깊디깊으니

衆妙之門(중묘지문) :
모든 오묘한 것들이 드나드는 문이로다.

같은것이고 같은 내용이나 그래도 다른 입을 통해 들어 보면

제1장 원문/
道可道,非常道;
名可名,非常名。
無名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故常無欲以觀其妙;
常有欲以觀其徼。
此兩者 同出而異名 同謂之玄。
玄之又玄 衆妙之門。

제1장 번역/
'도'는 '도'라고 불리우지만 일상적인 '도'는 아니다.
그것을 이름 지을 수 있으나 늘 그러한 '이름'이 아니다.
'무'는 천지의 시작을 이름지은 것이고
'유'는 만물의 어미를 이름지은 것이다.
따라서 '무'와 '유'는 늘 그러한 이름이 아니다.
그러므로,늘 그러한 '무'는 그 묘한 영역을 나타내고 늘 그러한 '유'는
그 경계를 나타낸다.
이 두가지가 함께 일컫는 그것이 현묘하고 현묘하다.
온갖 묘함이 나오는 문이다.

나의 생각/
세상의 모든 것은 각기 제 위치가 있으나 결국 하나이며 조화롭게 어울려야
그 어울림이 세상의 도움이 된다, 이런 느낌 혹은 울림이 온다.
다만 그것을 알 것 같기도 하고 모를 것 같기도 하여 조화로운 어울림이 어려울 수 있으나 기다림과 이해가 답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자칫하면 그 말이 그 말이기를 왜 이리 어렵게 이야기 하나 할 수도 있는 말장난으로 보일 수도 있어 더욱 어렵고 아쉬움이 있다.

무,는 천지의 시작을 이름 지은 것이고 유,는 만물의 어미를 이름 지은 것이다. 이 말은 마치 창세기 그 훨씬 이전에 말 같이도 들린다.
여하튼, 끝까지 공부하다 보면 뭔가 얻는 것이 있겠다 싶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요즘 마음공부가 많이 고프다 싶어 이렇게 하여도 하다 보면 아니함보다는 나을 것 같다.

매일매일 조금씩이라도 함께할 동무가 있다면 더욱 고마운 일이지 싶어 손을 내밀기는 하나 그 손을 잡고 안 잡고는 네 맘이니 손 잡는 분이 있으면 고마운 일이고, 설령 없다 한들 실망할 일 아니라 생각하며 일단 출발해 본다.

감사합니다.

도덕경 해설집 인용 및 출처:
네이버 블로그
노자 <도덕경> 원문해석
https://m.blog.naver.com › chamnet21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번역:도덕경
https://ko.wikisource.org › wiki ›

2024/10/13
천운

Sort: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Coin Marketplace

STEEM 0.22
TRX 0.25
JST 0.039
BTC 95759.82
ETH 3324.32
USDT 1.00
SBD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