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mit Token LAB - KIN 2회

in #token-lab6 years ago (edited)

SteemitTOKENLAB.jpg

KIN

  • 킨(Kin)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킥(Kik)의 블록체인 플랫폼
  • 발행량 : 10,000,000,000,000 KIN (10조), 공급량 : 756,097,560,976 KIN (7561억)
  • 2017년 ICO를 통해 9,800만 달러(원화 약 1,040억원) 모금
  • 3D 게임 개발 플랫폼 유니티Unity와 파트너십 발표
  • 게임 업계는 Kin의 생태계를 만드는데 있어 첫걸음에 불과, 다음 파트너는 아직 공개할 수 없으나 "이용자들이 수익을 올리고 그 수익을 사용하기 정말 편리한, 커뮤니티를 위한 앱"과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고 했으며, 향후 몇 주 안에 공개할 예정 source

이용자간 송금을 넘어, 피자 주문이나 프리미엄 콘텐츠 구매까지 모든 것을 킨 토큰 Kin token을 통해 가능하게 만들겠다는 더 원대한 목표를 갖고 있다. source

유니티

  • 유니티는 게임을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자들에게 제공해주는 유명한 게임 엔진
  • 2017년 공개된 모바일 게임 중 절반 이상은 유니티로 개발된 게임
  • 유니티를 이용하여 제작한 게임 : 컵헤드, 포켓몬 고, 커벌 스페이스 프로그램 등
  • 게임 개발자들은 킨 게이밍 SDKKin Gaming SDK, Software development kit를 이용해 게임 안에 킨 플랫폼 기능 추가 가능
  • 킨은 유니티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모바일 게임 시장을 잡으려는 의도

SDK로 할 수 있는 일

  • SDK는 베타 단계를 거친 다음 오픈소스로 애셋 스토어에서 다운받을 수 있으며, 깃허브에도 공개할 계획
  • 게임 공략법이나 레벨 업 방법 등의 정보를 공유한 사람에게 보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출 수 있음
  • 게임 버그를 신고하거나 개발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평가를 남기거나 설문조사에 응한 이용자에게 보상 가능

사이트

스티미언 의견

@heonbros : 모바일 게임끼리 재화 역할을 공유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는 좋아 보입니다만, A게임에서 통하던 재화를 B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다면, 게임 개발사 입장에서는 LOCK-IN effect가 없어지는 역효과가 있겠습니다. 물론, 시리즈물을 제작하는 등의 특수한 케이수를 제외한다면요. 또한, in game charge 또한 플랫폼 제공자apple, google의 수입원이었는데, 그들도 크게 태클을 걸 것 같네요. 어떤 청사진으로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지 궁금하군요.

Steemit Token LAB

  • 코인/토큰에 대해 의견 교류를 하는 장입니다.
  • 정보 및 의견 댓글(다른 글/기사 링크도 가능)에 대하여 10~100% 보팅해 드립니다.
  • 저자수익 중 STEEM 90%, SBD 85%를 투자하며, SBD 5%는 STL에 적립합니다. 투자금액 중 80%는 개인 기여도 대로 분배, 20%는 공동 분배합니다.
  • 적립금은 향후 코인/토큰 백서 번역 등을 위해 사용합니다. (백서 번역 글에 Steemit과 기여자를 넣을 계획입니다)
Sort:  

해커눈 리뷰
그냥 토막번역 해봤습니다

퍼블릭 ICO로는 117개국 10,026이 참가하여
168,732 ETH 5000만 달러의 판매고
여기에 추가적으로 기관투자자들을 상대로 이뤄진 프리세일로 5000만달러의 판매고USD
하드캡인 1억 2500만 달러에는 약간 못미침
(규제 관련으로 인하여 캐나다 국민은 제외된 체로 진행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

2주간의 퍼블릭 ICO를 통해 1조개의 Kin토큰이 분배
그리고 3조개의 (총 발행량의 30%)토큰이 Kin 재단의 창립맴버에게 할당됨
이 물량은 1분기 마다 10%식 총 10분기에 걸쳐서 풀림.

나머지 6조개는 Kin재단자체이 관리하게 됨.
Kin Rewards Engine Schema에 의해 잠겨있는 물량이며 1년마다 잠긴 물량의 20%가 생태계 파트너들에 대한 보상을 위해 풀림.
이 보상들은 투명하고,감사가능하고,안전하게 사용될 예정.
향후 Kin 생태계의 성장과 재단의 활동에 사용되어질 예정.
Kin재단은 이 물량의 5%를 사용가능하며 (총 물량의 3%에 해당하는 분)
파트너들의 유저유치와 추가적인 파트너를 참가시키기 위한 각종 활동 및 마켓팅용도로 사용될 예정.

창립멤버 할당량 비중이 꽤 크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창립자와의 Q&A 12분 25초 부근의 내용인데 2018년 2분기를 목표로 이더리움에서 스텔라 루멘 블럭체인으로 이전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하는군요.
이게 어떻게 작용할지는 모르겠습니다.

현재 스텔라 네트워크에서도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 정보 감사합니다.

Loading...

Your post is golden..i think post might have its advantages as well as thanks for sharing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1740.86
ETH 3453.31
USDT 1.00
SBD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