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포크가 가져 올 놀라운 변화(스팀을 사야하는 것 아닐까?)

in #steem7 years ago (edited)

19포크의 흥분이 채 진정되기도 전에 스티밋 재단에서는 놀라운 내용의 20 포크안을 내놓았습니다.
많은 분들이 번역을 해주셨고 저는 덕분에 짧은 영어능력에도 불구하고 20 포크안을 명확히 이해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https://steemit.com/kr/@maa/0-20-0
https://steemit.com/kr/@slay/20-proposing-hardfork-0-20-0-velocity
https://steemit.com/kr/@daystar/0-20-0-velocity

@maa 님과 @slay 님 그리고 @daystar 님께서 번역해서 올려주신 게시글들입니다. 세 분의 글 모두 잘 번역되어 있기에 어느 게시글이던 선택하셔서 읽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20포크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다음 부분입니다. @daystar 님의 번역글 중 일부를 캡처한 것입니다.

아래는 @maa 님의 게시글을 캡처한 것입니다.

그 외 기술적으로 언급된 부분은 @slay 님 게시글을 참조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위에 언급된 부분은 20포크가 19포그를 넘어서는 엄청난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20포크가 스팀의 생태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측해 봅니다.

(1) 스팀은 20포크를 통해 회원이 늘어날수록 가치가 자동으로 오르는 효과를 가지게 됩니다. 왜냐하면 회원이 늘어날 때 마다 작은양이지만 스팀이 계속해서 소각되기때문 입니다.

(2) 스팀의 1차목표인 레딧(Reddit) 수준의 회원을 확보하게 된다면(4억6천만명) 9,630만개의 스팀이 소각된다고 합니다. 현재 스티밋 재단(@steemit)이 가진 대부분의 스팀이 소각되는 것 같습니다.

(3) 이는 16포킹 시점(2016년 12월) 20년후인 2036년에 스팀의 발행 총량이 5억5천만개 임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 프로모션으로 소각되는 스팀달러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기에 최종 발행량은 더 줄어 들어 실 발행량은 4억개를 전후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4) 스팀의 약점이라고 공격받았던 수익 모델의 부재 문제가 말끔히 해소되는 것이 20포크입니다. 물론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쪽에서 이야기 하는 비트코인의 이체 수수료 징수나 이더리움의 개스비도 소각되는 것이 아니라 채굴자를 통해 다시 시장에 풀리는 것이기 때문에 완벽한 의미의 수익 모델이라고 하기 어렵습니다.

(5) 스팀 블록체인이 가진 프로모션 기능과 신규 계정 등록에 따른 스팀 소각은 발행된 스팀과 스팀달러의 일부가 영구적으로 소각되는 것이므로 다시 시장에 출회될 수 없기에 진정한 수익모델이라 할 수 있습니다. 20 포크는 스팀의 가격 상승을 견인하게 될 것이며 그 견인력은 지금 상황에서는 예측조차 불가할 만큼 크지 않을까 싶습니다.

면책

이 글은 투자권유를 위한 글이 아닙니다.

기타

20포크안이 19포크 성공 후 바로 발표된 것은 20포크가 미칠 향후 상황을 충분히 검토해 볼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스티밋 재단의 배려가 아닌가 싶습니다.

대문 이미지를 제작해 주신 @leesol 님에게 감사드립니다

Sort:  

19포크도 대박인데
20포크는 더 기대 되네요^^

스팀의 바다로 나아가는데 늘 항해사가 되주시고 계십니다^^
천리길도 한걸음부터라고 올해안에 50만 100만계정부터 달성되는걸 지켜보렵니다.

4억 6천만은 가슴이 뛰기도 하지만 아직은 잘 안와닿습니다ㅎㅎ

옙. 올해안에 100만을 넘을수 있을지 흥미진진입니다.

Fork 20 sounds awesome. New follower here, @leesunmoo.

Thanks!
@abn

Hi my friend in steam please follow and vote me yes at @ herman2141

좋은 콘텐츠가있는 멋진 게시물. 나는 이미 너에게 너의 포스트를 100 % upvote 준다.

Art Post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이 사진을 원하십니까 :)

레딧을 언급한 것은 적어도 레딧만큼은 이용자를 늘릴 계획이지만, 현재 스팀파워 임대 수준을 유지한다면 그만큼의 인구가 유입될 경우 135억 스팀파워가 필요한데, 현재 2억 5천만스팀밖에 공급되어있지 않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드포크 20 이후로는 신규가입자에게 스팀파워를 '0'을 주고 최소한의 '필수자금(bandwidth)'을 준다고 하네요.
https://steemit.com/kr/@inverse/steemit-0-20-0

번역이 매끄럽지 못하지만 어제 새벽에 주요내용만 번역해놓은 글입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옙. 감사히 보았습니다.

@leesunmoo
you became rich ;)

도대체 뭔일이 벌어지고 있는 건가 싶었는데 이런 의미가 있는거였군요. 설명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스팀 앞길이 창창한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진짜 번역본으로는 이게 뭘 뜻하고 무슨 의도일까 에라 모르겠다~ 싶었는데 이걸보거 아.. 이런거구나 싶네요 ㅎㅎ 감사랍니다

괭이 사진 짱입니다 ㅋ

좋은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2
JST 0.027
BTC 62876.86
ETH 3399.50
USDT 1.00
SBD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