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봇] 스팀봇 사용 방법 및 마케팅 활용 방안

in #sct5 years ago (edited)

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지난 1년간 스팀을 하면서 단 한번도 직접 봇을 사용한 적이 없었으나, 이번 Project Triple A를 진행하면서 해외에 홍보를 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트렌딩에 올려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해외에 프로젝트를 알리기 위해 봇 사용을 했습니다. 혹 아직 봇 사용을 안해보신 분들은 참조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0. 사용 이전의 말씀

봇 사용을 통해 수익을 볼 수 있다고 하는데, 쉽지는 않은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변동적인 시세와 옥션으로 진행되는 비딩에 의해 매번 차이가 나서 고정적인 수익을 확보하고 봇을 사용하기란 만만치 않은 작업입니다. 하지만 마케팅적인 용도로는 충분히 그 기능을 발휘하는 것 같습니다.

1. 사용방법

a. 접속 페이지

  • https://steembottracker.com/
  • 이 페이지도 @yabapmatt이 만들었네요.
  • 스팀상에서 등록된 대부분의 봇들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 이 페이지에 스몬이랑 크립토게이머스가 광고되어 있는데, 크립토가 야밥측에서 만든것이라는 생각을 할 수 있는 대목이네요.

홈페이지에 접속하시면 약간 스크롤다운을 하셔야 합니다. 그러면 여러 봇들이 보입니다.
image.png

가능 필터

image.png

순서대로 필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자동 환불
  • 스팀 지불 가능 (보통은 스달지원)
  • 보팅후 댓글 안남기는 봇
  • 일부 자금을 다른 프로젝트 펀딩에 쓰는 봇.

봇 게시판 간단 설명

  • Bot name: 봇 운영 계정이름
  • Vote Value: 맥스로 보팅했을때 찍히는 Value
  • Min/ Max bid: 최소 최대 비딩 가능 금액
  • Min/ Max ROI : 최소/최대 수익률
  • Min/Max Age : 포스팅 최소/최대 기간
  • Total Bids : 총 들어온 비딩의 합계
  • Max Suggested Bid : 최대 스팀봇트래커측에서 권장하는 금액
  • Last Vote : 마지막 보팅 시기
  • Next Vote : 다음 보트

봇 게시판 가능 액션

image.png

  • Details : 상세사항 보기 -> 여기서 이전 비딩들어온것이랑 현재 비딩의 상세사항을 볼 수 있음.
  • Send Bid : 실제 비딩을 하기 위해 참여할 수 있음
  • Favorite : 즐겨찾기 등록
  • Hide : 봇을 보기 싫을때 숨기기

2. 실제 비딩

봇비딩 게시판 액션을 클릭해서 Send Bid를 누르면 새로운 창이 뜨면서 비딩을 할 수 있습니다.
image.png

편한것은 현재 자신의 최신글도 같이 나열해주기 때문에 따로 어디가서 스팀잇 링크를 복사할 필요는 없고, 그냥 클릭만 하면 됩니다. 보내놓고 나면 이번 비딩 라운드가 끝날때 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이것은 봇마다 차이가 있더군요. Trending page에 스크롤 없이 상위권에 올라기 위해서는 100$ STU 이상이 찍혀있어야 할듯 해서 정말 여러군데의 봇을 사용했습니다.

image.png

정확한 사용 Data는 하기와 같습니다. 총 약 83.52USD/ 225 Steem 정도의 업보팅을 이용했고, 이는 총 114.22 STU $가 찍혔습니다.
여기서 큐레이션 보상 25%를 빼야하니까 약 85.665 STU $가 들어올것으로 예상됩니다. 문제는 STU $ 와 USD $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스팀 자체적인 가격의 차이가 있습니다. (7일후에 들어오니까요)

그냥 83.52USD 와 85.665 STU $ 가 같은 값이라고 했을때 약 2.5%의 이익이 될것으로 보입니다만, 실제 노력, 가격 리스크등을 감안했을때 순식간에 minus 투자가 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됩니다.

BotUpvoted %Upvoted STU $Bid SteemBid in USD (0.37)
@therising24%15.33011.1
@buildawhale69.85%19.543512.95
@appreciator76.95%32.226022.2
@upmewhale31.57%16.013011.1
@smartsteem11.09%7.68155.55
@minnowvotes16%1.75931.11
@rocky170.56%22.3452.73119.51
Total-114.849225.73183.52

3. 마케팅적인 효과

image.png

현재 Feature된 글 빼고 스팀잇에서 트렌딩에 최상단 5번째에 올렸습니다. 더욱더 많은 스팀을 쓴다면 그 위로도 올라갈 수 있겠지만, 이정도로 우선 만족을 합니다.이제는 트렌딩 탭도 사실상 많이 안쓰고 있다는 하지만, 그래도 아직도 스팀잇상에서는 해외에서 완전히 묻히지 않기 위해서는 아직도 댑들의 경우는 필수적으로 쓰는 마케팅 수단입니다. 실제 해외 유저들의 유입도 확인이 되고 있고요.

4. 개인적인 생각

스캇봇과 나이트로, 그 이전에 스팀헌트, 트립스팀, 테이스팀등과 같은 댑들로 이미 사용자들이 다른 종류의 컨덴서로 움직이고 있는 상황에서 봇을 이용해서 마케팅 효과를 보는것은 한계가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스팀 유저들이 스팀잇을 완전히 떠나지 않는 한은 아직도 어느정도 마케팅 효과가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실제 필자의 경우도 해외 뉴스의 경우 트렌딩을 부분적으로 참조하는 것도 있습니다. 신규 댑들이나 기존 댑들이 새로운 소식을 알리기 위해서 봇 사용을 통한 트렌딩에 글들을 올려놓기 때문입니다.

투자 가치로의 봇은 정말 봇 사용과 비딩에 능숙하며 STU가 스팀/스달로 전환되는 것 까지 고려해서 해야하는 관계로 이런 계산에 능한 분들께서 진행을 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Sort:  

이젠 봇까지 마스터하시나요~

필요에 의해 쓸 수 밖에 없어서 쓰게 되네요 ^^

어후.. 너무 부지런하신 거 아닙니까? ㅎㅎㅎ

ㅋㅋㅋ.. 열심히 해야죠 ㅎㅎ

스팀봇트래커에 대해서 첨 알게 됐네요
뭘 알아야지 써먹을텐데~ 정말이지 이젠 공부좀 해야겠습니다...

Thank you for your continued support towards JJM. For each 1000 JJM you are holding, you can get an additional 1% of upvote. 10,000JJM would give you a 11% daily voting from the 600K SP virus707 account.

Coin Marketplace

STEEM 0.18
TRX 0.12
JST 0.027
BTC 65181.06
ETH 3405.23
USDT 1.00
SBD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