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mo\ 결여 (20211022)

in #rnresearchnote3 years ago

프랑스의 정신분석학자 자크 라캉의 핵심 개념으로, 욕망을 일으키는 원인을 말한다.
원어명 manque (à être)
1955년 이 개념이 처음 등장했을 때 사르트르의 《존재와 무》를 참조하여 ‘존재 자체의 결여’를 뜻했다. 이 존재와 결여가 맺는 관계를 가리키는 것이 곧 욕망이고, 욕망의 대상은 이러저러한 구체적 대상이 아니라 존재 그 자체가 된다는 말이다.

1956년 라캉은 《세미나 4: 대상관계》에서 이 개념을 존재의 결여에서 더 나아가 대상의 결여를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즉 결여된 대상의 본질에 따라 세 종류의 대상의 결여를 구별하는데, 이는 아래 그림과 같다. 이 가운데 '거세'(castration)가 분석 경험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결여이고 때로 결여는 거세와 같은 것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결여 [lack (of being), 缺如] (두산백과)


결여[ 缺如]

인간 존재는 사르트르에 의하면 하나의 결여이다. 인간에게 욕망이 있는 것이 그것을 증명해 보여준다. 대자로서의 인간 존재는 자기 자신과의 일치를 결여하고 있다. 대자란 그것인 바의 존재가 아니라 그것이 아닌 바의 존재인 것이다. 요컨대 대자존재는 무를 분비하는 무화작용, 부정작용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무화작용이 대자를 존재 결함이게끔 한다. 대자존재의 본질적 구조를 이루는 내적인 부정관계란 '우리가 부정하는 것'과 '우리가 무언가에 대해 그것을 부정할 때의 그 무언가'와의 사이에 설정되는 부정관계이다.

이것은 '부정이 무언가에 대해 부정할 때의 그 무언가의 존재'와 '부정이 부정하는 존재'를 자기의 존재에서 구성하는 부정이다. 요컨대 결여는 다음과 같은 3원적 구조를 지니게 된다. 즉 (1) 결여하고 있는 몫, 요컨대 결여분, (2) 결여분을 결여하고 있는 자, 요컨대 결여자 또는 현실존재자, (3) 결여에 의해 분해되어버리지만 결여분과 현실존재자의 종합에 의해 복원될 하나의 전체, 요컨대 결여를 받는 것, 이 3자이다. 인간이란 이와 같은 구조를 지닌 현실적 존재자이자 결여자인 까닭에 인간은 하나의 전체를 지향하여 자기를 미래로 기투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전체란 <즉자-대자>, 결국 신이다. 인간은 이러한 신이고자 하는 욕망이지만, 이러한 기도는 언제나 좌절로 끝날 수밖에 없다. 인간은 무익한 수난인 것이다. 현상학 사전. 하코이시 마사유키(箱石匡行) [네이버 지식백과] 결여 [缺如, manque] (현상학사전, 2011. 12. 24., 노에 게이이치, 무라타 준이치, 와시다 기요카즈, 기다 겐, 이신철)



Sort: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default.jpg

Coin Marketplace

STEEM 0.16
TRX 0.16
JST 0.028
BTC 69517.21
ETH 2432.96
USDT 1.00
SBD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