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워린버핏의 관점으로 본 한국 주식시장의 고점은?

in #kr7 years ago

주식시장이 뜨거울 때마다 고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투자자들 입에 오르내리는 지표 하나를 소개해 드리고 싶은데요, 바로 워렌버핏의 "GDP 대비 시가총액의 비중"입니다.

워렌 버핏이 약 17년 전 잡지사와의 인터뷰에서 국내총생산(GDP) 대비 시가총액의 비율이 주가의 벨류에이션을 판단하는 좋은 장기지표라 밝히면서 이 지표는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습니다.

약 6년 가까운 박스권을 작년에 멋지게 돌파한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GDP대비 비중은 어떻게 될까요? 또한, 장기 시계열로 놓고 봤을 때 우리나라의 증시를 고점으로 봐야 할까요?

아래 차트를 같이 보시죠

스크린샷 2018-02-20 오후 4.07.48.png
(출처: IMF, 한국거래소)

IMF가 발표한 GDP 데이터와 우리나라 증시의 시가총액의 비중을 1980년부터 그려보았습니다.

위의 차트를 보시면 1980년부터 GDP 대비 주식시장 시가총액 비중은 지속해서 상승을 해오다가 1999년에 큰 진폭을 보였는데, 이는 IT버블로 인한 코스닥 시장의 폭등 때문입니다. 이후 코스닥 시장의 거품이 빠지면서 해당 비중은 0.5수준으로 회귀합니다.

그러다가 다시 점진적으로 상승해 0.9수준에 도달한 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면서 다시 0.6수준으로 하락한 후, 2010년 초부터 1.0 이상을 기록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약 6년간의 박스권 장세가 지속되면서 GDP대비한 시가총액의 비중은 0.9에서 1.0 수준의 등락을 반복하다가 최근 코스피 시장이 한 단계 레벨업 하면서 1.2수준까지 올라온 상황입니다.

자, 그럼 지금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버블상태라고 볼 수 있을까요?


물론, GDP대비 시가총액 비중이 120%까지 올라왔고,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수준이니 버블이라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만, 두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이 있습니다.

첫 번째로 주식시장의 태동기인 1980년부터 지금까지 GDP대비 시가총액 비중은 계속 상승해왔다는 것입니다.
경제의 발전으로 인한 산업 고도화와 주식시장에 상장되는 기업의 수와 규모가 늘어나면서 시가총액의 비중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는데, 미국 같은 경우는 약 150% 정도입니다. 즉 이 비중이 상승한다고 해서 무작정 버블로 봐서는 안 된다는 얘기입니다.

두 번째는 다른 국가의 GDP 대비 시가총액 비중과 비교해서 보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17년 기준 홍콩 같은 경우 GDP 대비 시가총액 비중이 1,600%가 넘습니다. 글로벌 가장 선진국인 미국의 약 10배 수준인데요, 그럼 홍콩 증시는 엄청난 버블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이는 홍콩의 전략적 선택에 기인한다고 생각합니다. 홍콩은 증시에 외국인이 직접 투자하기 어려운 여러 중국 본토 대기업들을 입성시키며 금융의 허브로 거듭나기 위해 전략적 선택을 했기 때문에 GDP대비 홍콩 증시의 시가총액 비중이 매우 높습니다.

그럼 GDP 대비 시가총액 비중으로 봤을 때 어느 정도 수준이 되면 고점에 가까워 졌다고 생각해볼 수 있을까요?


저는 우리나라와 같이 수출 비중이 높고, 한국이 일정 기간을 두고 따라가고 있는 일본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17년 기준 일본의 GDP 대비 시가총액 비중은 약 130% 수준입니다. 즉, 우리나라와는 약 10%가량의 차이가 있습니다. 만약 우리나라의 GDP 대비 시가총액 비중이 10%포인트 상승한다고 가정한다면, KOSPI 지수가 2,700포인트가 됩니다.

우리나라의 GDP 성장률을 3%로 고려했을 때 18년 예상 GDP는 약 1,650조원이고, 이의 130%에 해당하는 시가총액 수준은 약 2,140조원입니다. 이를 지수로 환산 시 약 2,700포인트 수준입니다.

2월 20일 종가 기준 KOSPI 지수는 약 2,415포인트이기 때문에, 2,700포인트까지는 약 12% 정도 상승 여력이 남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추론에 근거한 계산이고, 산업의 고도화로 인해 GDP대비 시가총액의 비중이 변화해 정확하지는 않겠지만, 어느 정도 증시 고점에 대한 감을 잡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Sort:  

스스로 홍보하는 프로젝트에서 나왔습니다.
오늘도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오늘도 여러분들의 꾸준한 포스팅을 응원합니다.

오오.... 기대가 되네요. 정작 저는 빅이벤트 때문에 주식 총액을 줄이고 있다는 ㅠㅠ @홍보해

그냥 단순하게 계산해본거니 참고 정도로만 보시면 좋겠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

@vixima7님 안녕하세요. 아리 입니다. @joeuhw님이 이 글을 너무 좋아하셔서, 저에게 홍보를 부탁 하셨습니다. 이 글은 @krguidedog에 의하여 리스팀 되었으며, 가이드독 서포터들로부터 보팅을 받으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아리님 :)

앞으로 더 상승가능성이 있기는 하네요. 정보 감사합니다.

댓글 고맙습니다 :)

매일매일 통찰의 공유 감사드립니다.
@vixima7 님의 포트폴리오도 궁금하네요. (:

통찰이라 하시니 굉장히 부끄럽습니다. 댓글 고맙습니다 !!

20일 동안 열심히 활동해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스팀 임대 회수 일주일 뒤에 하겠습니다~!!

vixima7 님 제 실수로..일주일 먼저..회수해버렸습니다ㅠㅠ
저는 회수하는데 일주일 걸리는줄 알고..
ㅠㅠㅠ죄송합니다ㅠㅠㅠ

괜찮습니다. 그동안 정말 큰 도움되었습니다 :)

크으 .. 정보 주식글은 역시 @vixima7님이 ...

과찬 이십니다. 댓글 감사드립니다 :)

과찬 아닙니다 :)!!!

2018년에는 두루 평안하시길!

감사드립니다 :)

얼마전에 읽어놓고 댓글을 달아야지 하다가 이제서야 답니다. 저 같은 사람은 이렇게 심플한 요소로 해석하는 것이 좋더라구요. 독일도 제조업 기반과 수출비중이 높지요? 수출비중, 제조업 기반, 인플레이션 고려로 몇몇국가를 선정해서 비교한다면 사태 파악이 좀더 정교해 질것도 같네요. 그리고 홍콩, 영국 등 금융허브 국가에서 추출된 그래프의 기울기, 변동성을 파악하면 돈 흐름이 어딘가 부자연스러운지 파악도 할수 있을것 같은데 제 이해가 맞는지요?

가능하면 조금은 간단하게 보는 것이 명확하게 이해하기 쉬울때가 있더라고요.
그리고 밑의 말씀은 저도 동의합니다. 조금 더 경제구조나 금융시장의 의존도가 비슷한 국가끼리 비교하면 유의미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지 않을까요 ? :)

의자뺏기 놀이가 떠올랐습니다.
언제 어떻게 할지를...

고심하게 만드네요

잘 보고 갑니다.

참고 정도로 보시면 되실 것 같아요 :)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5
JST 0.029
BTC 63396.80
ETH 2615.51
USDT 1.00
SBD 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