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잇 생태와 활동 분석] 이 곳 스팀잇에서도 역시 빈부의 차가 심하군요!steemCreated with Sketch.

in #kr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저는 스팀잇 27 일차 @ranesuk 입니다.
steemit post.png

스팀잇 생태와 활동에 관한 두 번째 분석 내용을 post 합니다.

스팀 백서를 상기하며 스팀잇 생태계가 반칙 없이 건전하게 성장 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해당 기간내의 스팀잇 활동 내역이 정리된 도표와 챠트입니다.

  1. 명성도 (평판) 별 현황 집계표
  2. 포스트 수
  3. 포스트 한 건 당 받은 평균 보팅 수
  4. 포스트 한 건 당 받은 평균 보팅 금액
  5. 포스트 한 건 당 받은 댓글 수
    ...

    ...

보시는 바와 같이 이곳 스팀잇에서도 빈부의 차는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명성도가 낮고 파워가 약한 저와 같은 뉴비들은 관심과 보팅을 아주 적게 받게 됩니다. 여기서 스팀잇 활동 생태계에 큰 문제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의욕과 정성을 다해 포스팅한 글이 거의 읽혀지지 못하고 어디론가 빨려 들어가 사라져 버리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때는 스팀잇을 고민하게 됩니다..... 물론 보상 금액도 아주 작습니다. 굳이 비율로 따져 보면 대략 8 : 24 : 68 로 분배 되었습니다. 만약 포스팅 수를 감안한다면 분배의 차이는 훨씬 더 벌어질 것입니다. 물론 분배에는 기여도, 충성도, 투자 등 많은 요인들이 작용하겠지만, 지금의 스팀잇 생태계가 공정하다고 볼 수 있는지 고민하게 됩니다.

스팀잇 백서 (20170901 steem white paper) 에서 밝히고 있는 스팀잇의 창시자 댄 라리머(Dan Larimer)의 디자인 컨셉인 "커뮤니티 구성원의 기여도를 일관되게 반영할 수 있는 공정한 회계 제도이다. Steem은 수많은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개인 기여도를 정확하고 투명하게 보상하고자 하는 최초의 암호화폐다." 가 변색되지 않도록 증인들과 더불어 서로 서로 독려하며 건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습니다. 의견 많이 올려 주세요! Thanks.
..

명성도별로 집계한 기초 자료입니다.

Sort:  

저는 빈 입니다. ㅎㅎ 열심히 노력하면 과연 극복할 수 있을까요

일단 배분 기준을 조정하는 것 부터 ..

스팀잇에서 뉴비의 활약을 기대해도 되겠죠?
뉴비가 언제나 죽어지내라는 법은 없으니까요.

사실 어느 조직이든 중간층이 튼튼해야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습니다.
많은 뉴비가 중간쯤 보팅파워를 갖게 된다면 그만큼 다양한 콘텐츠에 대해서 적절한 보팅이 이루어질 겁니다.

채굴되는 스팀의 배부 기준부터 조정이 되야할 것 같습니다

정말 유익한 정보네요. 이런 통계자료는 어떻게 산출하나요?^^
대단하십니다. 차트를 보니 저는 다행히 평균은 하고 있는 것 같군요.
말씀하신대로 어디든 다 그렇겠지만 뉴비가 초반에 성장하기엔
쉽지않은 환경이긴 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짱짱맨이랑 각종 이벤트
그리고 댓글등을 통해 시간을 투자하면 점점 재미와 흥미도 생기고
친분도 생기고 하는 것 같아요. 저도 아직 한달된 뉴비이지만 처음엔
높은 벽이 가로막고 있는 느낌이었고 지금도 사실 좀 그래요...ㅎㅎ
말씀대로 배분기준을 조정하는 것도 뉴비에게 동기부여도 되고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네요.

뉴비들에겐 명성 높으신 분들의 관심이 많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오늘 가상 화폐 시장이 많이 흔들리는 군요. 스팀도 낙폭이 큽니다. 이럴 때를 대비해서 스팀잇 활동 침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증인들 중심으로 세워 나가야 할 것 같습니다.

중간 계층이 더 탄탄해졌으면 좋겠는데 쉽지 않아보입니다

많은 토의와 분석을 통해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하겠지만 일단, 보상의 차를 조금이라도 조정해 보는 것이 어떨까 하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꾸벅-1.png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2
JST 0.028
BTC 63764.77
ETH 3430.37
USDT 1.00
SBD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