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유행 이후 경기 호황에 대해 역사가 가르쳐 준 교훈

in #kr3 years ago

1830년대 초 콜레라 대유행이 프랑스를 타격했다. 한 달 만에 파리 시민의 3%가 콜레라로 사망했고, 소탕했고, 병원은 담당 의사가 설명할 수 없는 질환으로 찾아온 환자로 넘쳐났다. 콜레라가 종식된 후 다시 경제 호황이 찾아왔고, 영국에 이어 프랑스도 산업 혁명을 이루게 되었다.

하지만 "레미제라블"을 읽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듯이, 콜레라 대유행은 또 다른 종류의 혁명을 불러왔다. 콜레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도시의 빈민층은 전염을 피하기 위해 시골집으로 도망친 부유층을 맹렬히 비난했다. 그 후 몇 년 동안 프랑스는 정치적 불안을 겪었다.

오늘날, 코로나19가 가난한 나라들을 휩쓸고 있지만, 부유한 세계는 대유행 이후 경제 호황 직전에 있다. 백신 접종으로 확진자와 사망자 숫자가 줄어들면서 이들 정부는 자택 격리 명령을 해제하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올해 미국 경제가 6%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이는 대유행 이전 추세보다 적어도 4% 더 빠른 속도다.

다른 나라들 역시 이례적으로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아래 차트 참조). 이코노미스트에서 1820년 이후 G7 경제의 GDP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런 동시다발적인 경제 성장 가속화 추세는 거의 없었다. 1950년대 전후 호황 이후에는 한 번도 없었던 일이다.

image.png

이런 너무나도 생소한 상황에서, 경제학자들은 향후를 예상해보기 위해 역사로 눈을 돌리고 있다. 역사는 전쟁과 전염병 같은 경제외적 이유로 인한 엄청난 경제 붕괴 기간이 있은 후에 GDP가 다시 회복되었음을 보여주며, 세 가지 교훈을 가르쳐 준다.

첫째, 사람들이 나가서 돈을 쓰고 싶어서 열망하는 동안에도,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둘째, 위기는 사람과 기업 모두에게 일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도록 조장하면서, 경제 구조가 뒤바꾼다.

셋째, "레미제라블"이 보여주듯이, 종종 정치적 격변이 뒤따르며, 예측할 수 없는 경제적 결과를 초래한다.

소비자 지출부터 먼저 살펴보자.

대유행 초기에 나타난 증거를 보면, 급격한 확산이 일어날 때 사람들은, 지난해 코로나19 대유행 초기에 나타났던 것처럼, 지출할 곳이 줄어들면서 그 돈을 저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870년대 상반기에 천연두가 발병하는 동안, 영국의 가계 저축률은 두 배로 높아졌다. 1차 세계대전 동안 일본의 가계 저축률도 두 배 이상 높아졌다. 1919~1920년, 스페인 독감이 기승을 부릴 당시, 미국인들은 2차 세계대전이 있을 때까지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현금을 비축했다. 전쟁이 발발하자, 저축은 다시 증가했고, 1941~1945년 사이, 가계는 GDP의 40%에 해당하는 금액을 저축했다.

역사는 또한 일단 삶이 정상으로 돌아오면 사람들이 어떤 행동을 하는 지도 알려준다. 지출이 증가하고, 고용이 회복되지만, 과잉으로 이어진다는 증거는 많지 않다. 일부 역사가들이 추측하는 바와 같이, 사람들이 "격렬한 우상숭배"와 "발작적인 쾌락"으로 흑사병의 종식을 축하했다는 관념은 (아마도) 사실이 아닐 것이다.

1920년대는 적어도 초기에는 호황과는 거리가 멀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스페인 독감의 위협이 결정적으로 지나간 1920년 말일, "브로드웨이와 타임스퀘어는 거의 옛날의 모습"으로 돌아왔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병들고 지친 나라"라고 느낌을 주었다고 한다.

골드만 삭스의 최근 논문에서는 1946~1949년 미국 소비자들은 초과 저축액의 약 20%만을 소비했다고 추정한다. 비록 1940년대 말 정부의 월간 "기업 상황" 보고서는 경기 침체가 임박했다는 우려로 가득 차 있었지만(실제로 미국 경제는 1948~1949년 경기 침체로 이어졌다), 그러한 추가 지출이 전후 경기 호황으로 이어지는데 일조했다. 맥주 소비량은 실제로 감소했습니다. 대유행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급등했다는 증거가 거의 없는 이유는 소비자들이 경계심을 가졌기 때문일 수도 있다(아래 차트 참조).

image.png

대유행 이후 경기 호황이 가르쳐 준 두 번째 교훈은 경제의 "공급 측면", 즉 재화와 서비스가 생산되는 방법과 장소와 관련이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대유행 이후 사람들은 더 조심성을 보이지만, 일부에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새로운 방법으로 돈을 벌려고 시도할 수 있다. 역사학자들은 흑사병이 유럽인들을 더 모험적으로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많은 사람들이 집에서 죽고 있을 때, 차라리 배에 올라타고 새로운 땅을 향해 떠나는 편이 덜 위험해 보였다.

예일 대학의 니콜라스 크리스타키스 교수가 최근 펴낸 “Apollo’s Arrow”에서는 스페인 독감 유행이 "위험 감수라는 표현"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실제로, 1948년에 발표된 미국 국민 경제 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1919년부터 신생기업 창업 사례가 급증했다고 한다. 오늘날에도 기업가들이 시장의 공백을 메우려고 하면서, 선진국에서 신생기업의 출현이 다시 한번 급증하고 있다.

다른 경제학자들은 대유행과 경제의 공급 측면에서의 다른 변화, 즉 노동절약 기술의 사용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에 주목한다. 기업은 질병의 확산을 막고 싶어 하고, 로봇은 질병에 걸리지 않는다. IMF의 한 연구에서는 에볼라와 사스 등 최근 발생한 전염병 사례를 조사한 결과, "대유행 사태가 로봇 사용을 가속화시켰고, 특히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고 심각한 경기 침체와 관련이 있을 때 더욱 그랬다."라고 한다.

또한 1920년대는 미국에서 급속한 자동화 시대였고, 특히 1900년대 초반의 젊은 미국 여성들에게 가장 흔한 직업 중 하나가 전화 교환원이었다. 흑사병과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의 인쇄기를 연결하는 이들도 있다. 비록 사례가 풍부하긴 하지만, 코로나19 때문에 자동화가 급증했다는 확실한 증거는 아직 거의 없다.

하지만 자동화가 사람들의 일자리를 빼앗는지는 또 다른 문제다. 일부 연구는 실제 대유행의 여파로 노동자들이 더 대우를 잘 받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샌프란시스코 연준이 지난해 발간한 한 논문에서는 실질 임금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어떤 경우에는 황당한 메커니즘으로 인해 나타나기도 한다. 대유행이 노동자들을 도태시키고, 살아남은 이들이 협상에서 더 강한 위치로 올라선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유행 이후 경기 호황이 가르쳐 준 세 번째 교훈은 임금 인상이 정치적 변화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사람들이 엄청난 고통을 겪었을 때, 노동자들의 태도가 강해질 수 있다. 이번에도 그런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전 세계 정책 입안자들은 공공 부채를 줄이거나 인플레이션을 막는 것보다 실업률을 낮추는 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런던 정경 대학 연구진의 새로운 논문에서는 코로나19가 유럽 전역에 불평등에 대한 더 큰 반발을 만들어냈음을 발견했다.

일부 사례를 보면, 그러한 압력이 정치적 혼란으로 폭발했다. 대유행은 기존의 불평등을 내어 보이고 부각시켰으며, 불리한 쪽에 있는 이들에게 해결책을 찾도록 유도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2013~2016년 에볼라는 서아프리카에서 시민 폭력을 40% 증가시켰다고 한다.

IMF의 최근 연구는 2001년 이후 133개국에서 에볼라, 사스, 지카를 포함한 다섯 가지 대유행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대유행이 사회적 불안을 크게 증가시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논문에서 연구진은 "대유행이 사라짐에 따라, 이전에 있었던 곳에서 사회적 불안이 다시 나타날 수 있다고 기대하는 것이 타당하다."라고 밝혔다. 사회적 불안은 대유행이 종식된 지 2년 만에 최고조에 달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가올 경기 호황을 지속될 때까지 즐겨야 할 것으로 보인다. 머지않아, 이야기에 반전이 있을지도 모르니까 말이다.

자료 출처: Economist, "What history tells you about post-pandemic booms"

Coin Marketplace

STEEM 0.18
TRX 0.15
JST 0.028
BTC 62943.85
ETH 2464.43
USDT 1.00
SBD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