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

in #kr6 years ago (edited)

*스포일러 없습니다.

[1987]은 역사를 기반으로 한 영화이기 때문에 굵직한 스토리라인은 정해져 있다. 시기는 제목에도 나와있듯 1987년 전두환이 정권을 잡았을 때, 대공수사처가 자행한 고문사건을 다루고, 특히 "탁 치니 억 하고"죽었다고 발표했던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 사건과 이에 분노한 시민들의 이야기, 2시간이 조금 넘는 영화를 아주 짧게 요약하면 이렇다.

2.jpg

영화는 균형을 잘 잡았다.

영화는 균형을 잘 잡았다. 팩트와 픽션의 균형을 잘 잡았고, 가벼움과 무거움의 중심도 잘 잡았다. 그리고 배우들의 분량도 골고루 분배했다. 영화를 보면서 눈을 의심할 정도로 상당히 많은 배우들이 등장한다. 이 영화의 도입부에서는 김윤석과 하정우의 연기대결을 기대했다.

5.jpg

[추격자], [황해]를 통해 이미 검증된 둘의 연기 합은 영화를 내내 주도해나갈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극은 둘의 주도로 이어지지 않는다. 김윤석이 거대한 악을 담당하고 하정우는 그에 대항하는 작은 역할만 했다. 오히려 유해진이 주연이 아닐까 생각이 들 정도였다. 의도를 추측해보자면 '6월 항쟁의 주연은 없다', '주연은 시민들'이라는 것을 말하고 싶었던 것 아닐까. 학생, 검찰, 언론, 종교, 교도소(공무원), 의료계, 그리고 수많은 일반 시민이 민주화를 이뤄냈다는 것을 말하는 듯하다. 그래서 오늘은 각 배우들의 연기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한다.

10.jpg

이 영화에서 가장 눈에 띈 배우는 김태리였다. '중년 남자'들 위주로 우중충하게 진행하던 극의 분위기를 반전하는 역을 하기도 하지만 가장 입체적 인물이기도 하다. [아가씨]에서 김민희와 합을 성공적으로 맞췄듯, 이번에도 쟁쟁한 배우들과 호흡을 맞췄다. 캐릭터가 입체적인 만큼 연기하기 어려웠을 수 있는데 본인의 역할 이상으로 잘 해냈다.

7.jpg

다음은 유해진이다. 악역인 김윤석에 맞서 하정우가 대항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오히려 유해진이 더 중요한 역할을 했다. 김태리의 삼촌역으로 나왔는데, 두 배우는 어쩌면 안 어울릴 것 같기도 했다. 하지만 연기를 보며 유해진은 어떤 배우와도 결이 어긋나지 않게 자연스러운 연기를 소화해내는 능력이 있는 배우라고 생각했다.

3.jpg

다음은 믿고 보는 배우 김윤석이다. 말 그대로 미친 존재감을 드러낸다. 김윤석의 발성은 스크린 너머로 보는 관객들을 서늘하게 하는 경지에 이른 것 같다. 낮은 목소리로 말하는 평안도 사투리의 중압감이 어마어마했다. 평하는 게 의미없는, 존경을 표할만한 연기였다.

박희순, 이희준이 조금 더 중요한 역할을 했을뿐 설경구, 김의성(왜 당연히 악역일 거라고 생각했지), 오달수, 문성근, 고창석, 우현이 각각 한 영화의 주연이나 조연을 했어도 의심하지 않았을텐데, 이들이 한 영화에 나온다. (Feat. 조우진, 여진구, 강동원)

2017년 3월 10일을 우리는 기억한다. 추운 겨울이 끝나고 봄이 왔던 날이다. 이렇게 많은 배우들이 블랙리스트 걱정 없이 이런 영화에 나올 수 있는 것은 작년의 촛불이 있었기 때문이겠다. 2017년이 3월 10일이 없었으면 [1987]이 없었을 것이고, 동시에 1987년이 없었으면 2017도 없었겠지.

Sort:  

여운이 많이 남은 영화였죠,
이런영화들을 더 볼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맞아요, 점점 더 나오고 있는 것 같아서 좋아요 ~

한국 영화를 다시 보게해준 수작이라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것처럼 참 균형이 잘 잡힌 영화인것 같아요.
영화 리뷰 포스팅 잘 보고 있습니다^^

맞아요, 한국영화가 점점 발전하고 있다는 걸 느꼈어요 !

5월 다시 파이팅해요!
호출에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오치님 !!!!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2
JST 0.027
BTC 64828.66
ETH 3511.22
USDT 1.00
SBD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