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rt: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뉴욕지하철 MTA를 보면 관리가 정말 부실하죠.
인건비 비싼걸 핑계삼아 개선의 여지가 없는게 결국 민영화에
원인이 있었던 겁니다.
이런 공공시설물의 성격이 강한 일수록 정부차원의 철저한 관리가
절실하다는걸 느낍니다.

어느정도 공감대를 가지는 영역에 대해서는 정부가 잘 운영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요.
그래야 시민들이 세금을 내는것에 대한 의미를 알게 될 것이구요.

좋은 글 잘 읽고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ublic 성격이 강한 종목은 공기업으로 유지하는게 안전과 지속성에서 용이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잘 읽고 갑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Bagus sekali ..hehe

  1. 기업의 기술개발 측면
    우리가 추앙하는 선진국은 자원이 많거나, 기술이 뛰어난 나라들이다. 그들은 처음부터 그러한 요소를 지니고 있었을까? 자원은 국가에 한정되어 있기에 그렇다고 말할 수 있지만, 기술의 개발과 가치 창출의 영역은 다르다. 선진국들은 처음에는 자국내 보호를 통해 기술 기반을 다지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를 강행했다.

이 말씀에 동의 합니다.
우리나라도 장기적인것을 보기를..
좋은글 읽고 갑니다!

우리나라는 신기술이 핫한 시점에 항상 비즈니스를 고려하지 않고 기술을 끼워맞추려고 여기저기 노력하다 어느새 잊혀지고 투자가 중단되는 사례가 많지않나 생각됩니다.

좋은 글 항상 감사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8
BTC 65355.67
ETH 3525.27
USDT 1.00
SBD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