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이야기 - 출산율 3.16명인 나라, 우리와 무엇이 차이일까?

in #kr6 years ago (edited)

아내와 전화통화중에 이스라엘 사람들의 출산과 육아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좋은 포스팅 주제가 되는 듯 하여 아내에게 글 작성을 부탁하였고, 제가 대신 글을 올립니다.


이스라엘은 OECD 국가중 가장 출산률이 높은 국가로 2016년 이스라엘 통계청에 따르면 평균 출산률은 3.16명입니다. 세계 평균 출산율은 2.5명이며, 우리나라의 출산률은 1.3명입니다.

놀라운 점은 2015년 처음으로 유대인 출산율(3.16명)이 아랍 출산율(3.11명)을 넘었다는 것 입니다. 1948년 이스라엘이 건국된 이래 4차례의 중동 전쟁, 두 번의 가자 전쟁(Gaza war)을 거쳐 영토를 확장하면서 이스라엘이 가장 두려워했던 것 중 하나는 아랍인들이 아이를 많이 출산하여 수적으로 우세해져 이스라엘을 잠식하는 시나리오였습니다.

높은 출산율에도 불구하고, 25-54세의 일하는 여성의 비율은 OECD 평균에 비해 7% 높다
(출처: Taub Center)
 

이렇게 된데에는 세 가지 요인이 있는데, 첫째는 성서학적(biblical) 관점이고, 둘째는 홀로코스트에 대한 기억, 그리고 셋째가 출산에 대한 이스라엘 사람들의 인식과 문화입니다.

성서학적 관점에서 자손을 번성시켜야 한다는 믿음(창세기 구약 관련)이 있고, 홀로코스트를 거치며 유대인 인구가 전체의 1/2인 6백만명으로 줄어들었던 아픈 기억에 대한 반작용이 또 하나의 배경입니다. 특히 이스라엘이 건국된 이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가 70년 이상 지속 되어 오는 가운데, 불분명한 국경으로부터 발생한 긴장과 갈등의 부산물, 즉 아이를 많이 낳는 것이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을 확보하는 수단이 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로 이어져 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스라엘의 유대인 인구의 약 20%에 해당하는 하레디(초정통 유대교)가 평균 6명 이상의 자녀를 낳고 있다는 점도 이스라엘이 높은 출산율을 떠받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재밌는 점은 이스라엘 내의 세속적인(비종교적인) 여성들도 평균 3명의 자녀들을 두고 있다는 점입니다. 고학력에 직장을 가진 엄마들임에도 불구하고, 왜 이스라엘 사람들은 더 많은 아이를 가지려고 하는 걸까요? 완벽한 이유가 될 순 없지만 제가 찾은 답 중 하나는 출산에 대한 이스라엘 사람들의 인식과 문화가 우리와 다르다는 점이 었습니다.

저를 포함하여 다수의 20-30대 한국 여성들은 '아이를 갖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감정보다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여성의 사회 참여가 증가하면서 아이를 갖는 것이 자신의 커리어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부담감, 아이를 낳게되면 많은 시간과 금전적 부담이 생긴다는 점, 우리나라 교육 시스템에 대한 걱정이 출산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갖게 만듭니다.

반면, 이스라엘 여성들은 아이를 갖는 것은 기쁨이며, 축복이라는 인식이 강합니다. 한국에서 5년 이상 거주했던 유대인 친구는 한국 여성들이 '출산=피하고 싶은 일, 금전적 부담이 되는 일'이라고 이야기 했을때 일종의 '문화적 충격'을 받았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그러면서, 이스라엘은 아주 어렸을 적 부터 아이를 갖는 것을 기쁜 일이자, 행복한 일로 인식하는 사회 분위기, 교육 제도를 갖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스라엘 여성들은 출산이라는 것 자체가 남성과 구분되는 오로지 여성만이 할 수 있는 일로 여깁니다. 물론 모든 이스라엘 여성을 일반화하는 것은 문제가 있을 것입니다. 다만 출산이라는 것에 대해 그것을 시작하기도 전에 그 일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걱정하기 보다 자연스럽게 받아 들이고,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우리와 다른 시각이 좀 놀라웠습니다.

또 한가지는 여성의 유연근무제도에 대한 남성 상사들과 조직의 문화가 다르다는 점입니다. 직업과 직종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아침 7시에 출근하여 오후 2-3시에 퇴근하고 필요하면 아이를 직장에 데려오더라도 문제 삼지 않는 문화라고 합니다. 한마디로 재택 근무하는 한 여성이 집에서 아이 때문에 직장에 이메일 답변이 늦었다고 당당히 이야기 할 수 있는 문화라는 점 입니다.

1995년에서 2011년 사이에 자녀가 있는 30-40세의 여성 고용이 17% 상승
(출처 : Taub Center)

 

우리도 제도적으로 출산과 육아를 하는 여성들을 배려하고 있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에 육아 휴직 후 복귀 시에는 일이 매우 고된 부서로 배치받는 일을 당연하게 여기는 문화, 출산을 커리어의 무덤으로 생각하는 문화는 한국 여성들로 하여금 (조금 과장하면) 이른바 출산, 육아를 시작하기 전부터 '출산 트라우마' , '육아 트라우마'를 갖게 하는건 아닌가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Sort:  

역시 출산 문제는 결국 사회문제군요.
단기간이나 근시안적인 접근으로는 결코 해결할 수 없는...

문화적 이유와 유연근무제도가 제일 크네요.흐...

정답!ㅎ 애낳고도 일하는데 문제없는 사회가 되어야..

이스라엘에선 육아를 위한 좋은 정책도 함께 있을거라 보지만 저는 오히려 사회 분위기 때문에 출산을 꼭 해야하는걸로 인식하는거도 문제라고 봅니다. 개개인마다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이 다를 수 있잖아요. 다자녀를 좋게보는 사회적 시선으로 자칫하다 다양성을 놓치는 수가 있거든요.

맞습니다. 하나의 현상을 다각도로 봐야하겠지요. 저들의 인식이 무조건적으로 좋은 것은 분명 아닙니다만, 출산률을 올리고 싶은 입장에서는 시사하는바가 분명 있을 것 같습니다.

이슬람율법에 따르면 자식은 크나큰 복으로 생각하더라구요
저도 UAE에 근무하면서 아랍권친구들을 많이 많나 봤는데 자식들 많은 것을 자랑으로 삼고 있습니다.
더욱이 일부다처제를 인정하고 있어서 일부일처제의 나라보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영향도 있구요.
여하튼 정부에서 출산을 적극 장려할뿐만 아니라 복지도 좋아서 아이 키울맛이 나겠더라구요

인식이 어떠하든 제도적인 지원은 반드시 선행되어야겠지요 ㅎ

아... 저는 조금 다르게 생각하는 것이 인식이 선행되어야 된다고 생각해요
아이를 최고의 가치(선물)로 생각하는 인식이 선행되고 일반화되어야지 개개인이, 조직이, 국가가 제도를 만들어간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제도적인 지원이 선행된다면 더할나위가 없겠지만...^^;

한국에서는 아직 출산은 곧 경력단절이라는 인식이 강한것같습니다.
그리고 그 인식은 회사문화로부터 만들어진 인식이겠죠..
우선 면접을 볼떄도 결혼은했는지 아이 계획이 어떻게되는지에 대한 질문이 나올정도니깐요.. 좋은 문화가 빨리 정착하길 바래봅니다!

그렇군요!!
음...
음...
여러생각을 한번 해봅니다
감사합니다 : )

2017년 국책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저출산대책 보고서에는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여성의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상승함에 따라 하향선택결혼이 이루어지지 않는 사회관습 또는 규범을 바꿀 수 있는 문화적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함. 이는 단순한 홍보가 아닌 대중에게 무해한 음모수준으로 은밀히 진행될 필요가 있음.'

바꿔말하면, 교육수준이 올라가는 여성은 결혼을 안하니까 눈을 낮춰서 결혼하게 하자는 말입니다. 제도적 측면과 별개로 우리 사회의 여성에 대한 인식은 아직 많이 부족합니다. 여성에게 희생을 은근하게 혹은 대놓고 요구하는 인식이 바뀌지 않는 한 출산율은 올라가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제도적인 문제 + 사회의 인식 + 육아에 대한 인식 + 자녀의 성공을 자신의 성공으로 생각하는 문화(그로인한 과도한 경쟁, 교육비 상승) 등등...문제가 태산이지요.

출산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는 1인으로써 공감가는 기사입니다. 물론 마인드도 중요하겠지만, 한국사회에서 일하는 여성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 여성들에게 주어진 출산/육아에 대한 비중은 예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죠 ^^ 사회적, 문화적 제도 개선에 앞서 인식개선이 있어야할 듯 합니다. 저만해도 일하면서 독박육아를 하고 싶지도 않고, 경력단절되고 싶지도 않거든요..

아이를 가지는건 축복된일인데...
축하해와 비슷하게 듣는 말이 힘들겠다. 괜찮겠어의 어조의 말이네요.
이것도 둘째까지나 일이지..
셋 넘어가니깐 어쩌려고 그러냔말을 가족들한테 듣게되네요.
말로는 축복이라하지만... 그게 그말이 아닌거 같은 느낌적인 느낌?
아이가 넷 이상이라도 군복무를 해야하고.. 힘들면 수급자신청이나 하라는 말이나하는 나라에서 별 희망을 못찾겠는게 제 현실이네요.

안녕하세요, 작가님

르바 미술관 포스팅에서 보완할 점을 추가하여 작가명/작품명/출처와 함께 감상평에 그림을 게시하는 것에 관한 작가님들의 재동의를 구하려 합니다. 시간되시면 확인 부탁드립니다. :D

르바 미술관 10회차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7
BTC 64582.42
ETH 3502.70
USDT 1.00
SBD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