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해설] 금값 상승과 하락 이유를 경제 위기 혹은 경기침체와 관련해 알아봅시다.

in #kr7 years ago (edited)

title경제용어해석.jpg

지난이야기 : [경제용어 해설] 유가 상승 하락 변동 영향 에 대하여...

제가 포스팅 중인 " 세계는 지금 "이 다소 어렵다는 스티머 님들이 계신 것 같습니다. 포스팅 자체에 사용되는 용어가 일상생활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용어이다 보니 어렵게 (제2외국어) 느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저 또한 가끔 용어가 헷갈리는 경우도 있고 또 가끔 다르게 알고 있는 경우도 있답니다 : )
그래서 저도 정리 차원에서 " 영화 추천 " 칼럼은 폐지하고 " 경제용어 해설 " 칼럼? 설명을 해보려고 합니다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오늘은 "금값 상승과 하락 이유를 경제 위기 혹은 경기침체" 에 대하여 설명해보려 합니다. 제가 표현하는 글이 너무 딱딱하여 용어 해설의 이해가 낮아 지는 것 같아 좀 더 언어 순화를 하여 표현하려 합니다. (해요~) 거두절미하고 바로 들어갈게요. ㅋ



  • 금값 상승과 하락 이유를 경제 위기 혹은 경기침체와 관련해 알아봅시다.

금이라는 것은 하나의 금속으로써 우리들이 반지나 목걸이 그리고 컴퓨터 부품이나 자동차 부품, 비행기 부품, 우주선 부품에까지 어디에나 안 들어가는 곳이 없는 활용가치가 매우 높은 물질이에요. 그런 금값이 자꾸만 오르고 있는데요.

과연 금값이 떨어지기도 할까요? 떨어지기도 한답니다. 하지만 경제위기 혹은 경기침체라는 이야기가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기 시작하면 금값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는데요.

그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해보아요.

일단 경제위기가 닥쳤다고 해보면, 돈의 가치가 떨어지게 돼요. 그 이유는 돈이란 것이 사실은 그저 종이에 불과하기 때문이죠. 실질적인 활용가치를 놓고 봤을 때, 다른 물건이 종이보다 가치가 더욱 높아요.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경제위기 때마다 물건을 확보해놓으려 하곤 해요.

사람들이 경제위기 혹은 경기침체 때마다 주로 사들이는 물건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금’이랍니다.

금은 그 가치가 크게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어 안전자산으로 분류돼요. 안전자산이라는 것은 가치가 크게 변하지 않는 투자자산이라는 뜻이죠. 이러한 점 때문에 안전자산으로의 대피현상이 일어나 금값이 급등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해요.

또한 금값이 급등하는 이유 중 하나는 높은 환금성 때문이기도 해요. 환금성이라는 것은 돈으로 바꿀 수 있는 성질은 이야기하는데요. 금은 자동차나 아파트 같은 부동산에 비해 높은 환금성을 가지고 있어요. 세계 어느 나라에서나 금은 그 자리에서 그 나라의 돈으로 바꿀 수가 있죠.

이러한 높은 환금성은 경제위기 혹은 경기침체 시 금 가격이 더욱 높아지게 하는 요인이 돼요.

특히 전 세계 주식시장이나 경제가 크게 변동성이 생길 때에는 환금성이 높은 금값을 기준으로 특정 자산의 가격을 산출하는 경우도 있어요. 금과 구리를 비교한다거나 금과 은을 비교한다거나 금과 달러 등의 통화를 비교한다거나 하는 식으로 말이지요.

또한 경제위기 혹은 경기침체 시 금값이 상승하는 수준을 넘어서 폭등하는 이유 중 하나는 위에서 설명한 금의 경제적 특징으로 인해 금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에서 찾아볼 수 있어요.

공포라는 것은 시장을 침체시키기도 하지만 반대로 시장을 굉장히 활성화시키기도 하는데요.
공포심이 시장에 깔리게 되면 투자자들은 안전자산 회피 심리가 폭발적으로 증가해서 금값이 상승하는 수준을 넘어서 폭등하게 돼요.

금값이 내려가는 경우를 살펴보도록 해요. 대표적인 경우가 바로 경기호황에 따른 주식시장 호황이에요.

금 가격은 주식이나 채권에 비해 변동성이 적은 투자 상품 중 하나예요. 특히 주식은 채권이나 금에 비해 높은 변동성을 가지고 있어서 경기호전 혹은 경기호황에 대한 기대심리가 높아지게 되면서 주식시장으로 돈이 몰리게 되지요. 이렇게 주식시장에 몰리는 돈은 바로 금과 같은 안전자산에 있던 자금들이 몰려오는 거예요.

서로 금을 팔려고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시장원리에 의해 금값 역시 하락하게 된답니다. 금값 상승과 하락은 시장 상황을 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예요. 투자 시 금값 유동에 주목한다면 단기적 혹은 중기적 경제 상황에 대해 미리 짐작할 수 있는 중요한 능력을 갖게 될 수 있어요.

  • 어떠셨는지요? 쉼표와 마침표 그리고 ~요 하는 표현을 사용하니 좀 더 글이 가볍게 느껴지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앞으로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D

* 제 글을 읽으시고 오타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오타 발견하신 분에게는 댓글에 5%의 보팅율로 추천을 해드리겠습니다.

@ioc @thisvsthis @abdullar @muyoung @yoon @neojew @coinkorea @isaaclab @superremnant @speda @jackkang @hyndai @sonzweil @twinbraid @vimva @cljg918 @coinmaker @ludorum @trafalgar @sanghkaang @painterjuwon @dimimp @dubi @maa @ramengirl @corn113 @booja @ramires @signalandnoise @ssm1810 @leesol

  • 멘숀을 원하지 않으신분들께서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바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ort:  

잘 배웠습니다. 저도 맨션해주시면 안되나요?~

너무 감사합니다 멘션추가까지 요청하시고요 :)

감사합니다^^ 그리고 한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경기호황과 같이 쓰인 경기호정이라는 단어가 경기가 좋다는 의미로 쓰인 것 같은데, 혹시 호정의 명확한 뜻을 여쭤봐도 될까요?!
제가 찾아보다가 잘 안나와서 질문을 드렸습니다.

호정이 아니라 호전입니다 :) 오타를 발견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ㅎ

찾다보니 인터넷 기사 중 하나가 경기호정이라는 단어를 쓰고 있어서 곧이곧대로 믿었는데 오타였나보네요 ㅎㅎ
(다시 확인해보니 2000년도 기사였습니다.. ㅎㅎ)

혼선을 드려서 죄송합니다 :)

@gotoperson님~ 오늘도 강의 잘 듣고 갑니다.^^
다만.... 제가 하루 소화량이 많지 않아 올려주신 글을 다 읽지는 못하네요. 그래도 경제지식 천천히 차곡차곡 쌓아가렵니다.^^

오늘의 오타는 2개만 말씀드리렵니다~^^

  1. 금이라는 것은 하나의 금속으로써,
  2. 한 자동차나, 아파트 같은 부동산...

1번의 '으로써'는 부사격 조사이고,
2번의 '~나'는 접속조사이지요.

조사에는 '콤마'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오타지적 너무 감사합니다 :) 알고도 그대로 넣어두는것이 아닌 오타들은 저에게 매우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이제는 제가 너무 오타 지적(?)을 하는 것 같아 '이제 그만하는 게 좋지 않을까?' 싶어요....^^;;;

아뇨 아뇨~~ 지적 많이 하실수록 좋습니다 :) 그만큼의 애착이라 생각합니다

상황을 고려하면서 할게요~^^
즐거운 저녁되세요~🙌

ㅎㅎ잘 보았습니다. 최근에 금값이 많이 올랐나요? 역시 알면 알수록 다르게 보이나 봅니다ㅎㅎ

최근 1년을 비교하면 오히려 내렸죠? :)

이제 이런것들도 좀 관심있게 봐야 겠습니다

금값도 하락하고 있나보군요.. ㅎㅎ 비트와 비슷..

비트와 금의 연관성을 찾으려니 어렵네요 :) 있다고 하기도 힘들고 없다고 하기도 힘듭니다 재미있습니다

요새 제 지인들에게 스팀잇을 홍보하는데 생각보다 반응이 좋더군요.

겸사겸사 DGB 나 Burst 와 같은 새로운 채굴 방법들도 보여주니

반응이 더 좋은거 같습니다.

현재 사용되는 화폐나 금과 같은 것에 해당하는 것을 여러 코인들로 비유하는 방식으로 설명하니 좀더 와닿게 느끼는 것 같습니다.

@gotoperson 님의 경제글을 자주 보고 있는데, 가끔 어려운 부분이 있긴하나 비슷한 다른 것에 비유해서 표현해보시면 좀더 이해하기 좋을 것 같습니다.

좋은글 항상 감사합니다^^.

Interesting post
Followed , upvoted

금만 보면 짜증이 ㅋ
적은 돈이지만 3년 가까이 투자했는데 3% 이익이네요 그때 비트코인을 알았으면 ㅋ
좋은글 감사합니다!!!

어쩝니까 :( 그래도 용기 잃지 마세요 우리에게 스팀잇이 있습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3
TRX 0.12
JST 0.029
BTC 67486.09
ETH 3496.35
USDT 1.00
SBD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