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론 팟캐스트가 글쓰기보다 쉬워요”- 팟캐스트 준비하기(1) 기획편

in #kr6 years ago (edited)

스팀잇 가입자가 처음 계정을 받고 나서 가장 고민하는 것이 어떤 글을 쓸까 입니다. 몇 주간 스팀잇의 콘텐츠를 둘러 보니 가장 인기 있는 글은 아무래도 가상화폐에 관련된 포스팅이었습니다. 현재 스팀잇에 가입한 가입자가 86만 1천명이 조금 넘었는데(2018년 3월 15일 기준) 그에 비해 다루는 주제는 그리 폭 넓지 않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한국어 포스팅만 살펴보면 상황은 더 심각하고요.

‘글을 쓴다’는 것은 사실 ‘무엇을 말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입니다. 누군가 글이 잘 안 써진다고 저에게 상담을 요청하면 저는 꼭 물어보는 것이 있습니다. ‘네가 진짜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냐’고요. 저는 알맹이 없는 글보다는, (백만 안티를 양성할지언정) 진짜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는 사람들의 글을 무척 사랑합니다.

그럼 ‘말할 것’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요. 나에게는 일상이지만 누군가에게는 흥미로운 콘텐츠가 될 수 있는 것을 먼저 찾아보세요. 즉, ‘나 스스로를 콘텐츠’로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이 필요하다는 이야기 입니다. 나를 나로 보지 않고, 콘텐츠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뜻이죠. 아이를 키우는 엄마들은 그 지루하고 힘든 육아가 일상일 수 있지만, 누군가에게는 흥미로운 이야기가 될 수 있죠. 만일 당신이 고등학생이라면 몇 시까지 학교를 갔고, 오늘의 급식 메뉴는 무엇이었으며, 요즘 대입을 위해서 선생님들이 목놓아 부르짖는 주제가 무엇인지 포스팅만 할 수 있다면 그것 또한 엄청난 콘텐츠가 됩니다.

저는 외국에 살면서 제가 겪는 일상들이 누군가에겐 흥미로운 콘텐츠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그것을 팟캐스트로 만들었습니다. 저희는 한국시간으로 지난 3월 14일 ‘내귀에 핀란드’ 팟캐스트를 온에어 했고요. 온에어를 향해서 두 달 동안 차근차근 준비했죠.

당신이 이미 스팀잇에 발을 들여 놓은 사람이라면, 팟캐스터도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글로 표현하는 것보다 말로 표현하는 것이 쉬운 분들에게는 때로 팟캐스트가 더 쉬운 콘텐츠 장이 될 수 있거든요. 오늘은 팟캐스트 기획과 준비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팟빵 화면.jpg

A. 제목 정하기와 썸네일 만들기

일반 방송국에서도 방송을 만들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이 ‘기획의도’입니다. 이 방송의 목적은 무엇이며, 타깃은 누구고, 어떤 콘텐츠를 만들 수 있을지 기본적인 청사진이 필요합니다. 기획의도가 탄탄한 방송은 오래갈 수 있죠. 앞으로 진행할 에피소드를 10개 이상 떠올릴 수 있다면 이미 그 방송의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다음은 제목 정하기 입니다. 제목은 방송의 콘셉트를 가장 잘 보여주기 위해 핵심 키워드가 들어간 직관적인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희 방송은 ‘핀란드’이야기를 들려줄 예정이라 ‘핀란드’를 꼭 넣었고요. 듣는 콘텐츠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내귀에’라는 수식어를 붙여줬습니다. 많은 아이디어가 제가 나왔지만 ‘내귀에 핀란드’가 최종 선택된 이유죠.

그 다음으로 썸네일(대표 이미지)을 만드는 작업이 필요한데요. 팟빵에서는 1400X1400 사이즈를 권장합니다. 그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할 아이튠즈에서 요청하는 이미지 크기가 1400X1400의 jpg 파일이나 png 파일이기 때문입니다.

로고지도만 300사이즈.jpg
썸네일을 제작하기 위해서 우선 저는 아이패드로 핀란드 지도를 찾았고요. 종이를 위에 대고 그림을 그렸죠. 한 3번 정도는 망했던 기억이 나네요. 자꾸 제 손을 인식해서 화면이 움직이더라고요. 저는 핀란드 지도 안에 숲과 호수, 빌베리 그리고 순록을 그려 넣어봤지만 이것만으로는 아쉽더라고요. 그래서 이어폰을 그려 디자인 아이디어를 덧붙였습니다.

로고 300짜리.jpg

B. 방송 온에어 계정 가입하기

방송을 온에어 할 수 있는 경로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한국에서 가장 보편적인 팟캐스트 플랫폼은 팟빵(www.podbbang.com)입니다. 본래 팟캐스트는 i pod과 broadcast의 합성어로, 아이튠즈 팟캐스트가 원조였죠. 국내 팟빵은 앱을 깔아야 하고 가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나, 팟캐스트라는 음성 콘텐츠에 대한 첫번째 장벽을 넘은 충성 이용자들이 모여 있기 때문에 1차 진입 루트로 사용하기 좋은 곳입니다.

팟빵 가입을 완료한 후, 마이페이지 – 방송등록 메뉴에 들어가 방송 심사를 신청하고 나면 1~2일 후에 가입 승인이 완료됩니다. 이곳에서는 방송에 관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고 에피소드를 업로드 하면, 청취수와 국가별 시간별, 요일별 등 기본적인 분석을 제공합니다.

방송등록메뉴.jpg
이곳은 호스팅 서버를 갖고 있고 rss 주소를 함께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앞서 말씀드린 I TUNES에 자동 연계 업로드가 가능한데요. 방송 등록 메뉴에서 I tunes rss를 제공하고 있으니 복사해두시고요. 컴퓨터에서 아이튠즈를 열고 오른쪽 중간쯤에 위치한 Podcast에 등록하기를 제출하시면 하루에서 일주일 정도 후에 가입 승인이 납니다. 앞으로 팟빵에 에피소드를 올리면 자동으로 그 rss을 긁어다가 아이튠즈 팟캐스트에 업로드 되는 방식으로 편리하게 연동하실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팟티, 유튜브, 사운드 클라우드 등을 이용해서도 방송채널을 운영하실 수 있는데요. 개인적으로는 화력을 분산시키고 않아서 팟빵(+아이튠즈) 유튜브에서만 방송을 올리고, 페이스북 페이지는 홍보 수단으로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만 말씀드리고요. 다음편에서는 팟캐스트 준비하기(2) 기술편으로 다시 인사드릴게요~

아참, 저희 방송 첫 파일럿 방송이 온에어 됐으니 링크 드리고 갈게요^^ 관심 있으신 분들은 들어주세요!

🎧 팟빵: http://www.podbbang.com/ch/16189
🎧 아이튠즈: 내귀에 핀란드 검색

Sort:  

잘봤어요!! 보팅누르고가요 ~ 놀러오세요.

고맙습니다! ^___^

다시한번 좋은글 Good입니당 :)

헤헤 다 아시는 이야기이실텐데 감사합니다 ㅎㅎ

관심 많은 주제라 반가운 글입니다.

저도 올리시는 글 재미있게 읽고 있어요. 스팀잇 입사동기(?)님!

오홋 운전하면서 노래나 라디오보단 늘 팟캐스트를 듣는데 '나의 Podcast'에 바로 추가하고 파일럿방송 듣고 있어요 ㅋㅋ 스티밋 계정은 MC 똔뚜님이신가요? 날림님이신가용? ㅋㅋ
두 분 다 목소리가 넘 좋아요 ^^

앗, 핵심 질문을 하셨네요. 저는 똔뚜입니다! ㅋㅋ 이렇게 청취자 한분이 생겼네요! 고맙습니다. 스팀잇에 핀란드 이야기도 같이 올릴 예정입니다.

이 글에 보팅을 할 수 없어서 아쉽네요ㅠ똔뚜님 뭐하나만 여쭤봐도될까요. 팟빵에 우선 1화 에피소드 녹음을 올려야 아이튠즈에도 등록신청을 할 수 있는거죠?? 등록정보를 입력하고 rss주소로 아이튠즈에 입력했는데, 에피소드가 없어서 안된다고 나와서요...(느무 어려워요ㅠㅠ)

아 맞아요! 최소 에피소드 하나는 팟빵에 등록하고 검수기간을 거쳐야 rss주소가 나오고, 그걸 가지고 또 따로 i tunes에 심사신청을 최초 1번 더 해야해요!

그렇군요. 감사해요!! 이거 알아보면서 세상 누가 이렇게 복잡하게 만들었나..생각하는 중이에요 ㅋㅋ

사실 별로 안어려워요 그냥 사운드클라우드에서 올려서 rss받은 다음에 개인적으로 방송하셔도 되어요. 팟빵은 그냥 한국형 플랫폼일뿐이죠. 절대적이지 않아요.

그렇군요. 개념을 몰라서 선택지도 몰랐던 것 같아요. 어렵지만 하나둘씩 파악해나가는 중이에요. 감사해요 :)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 똔뚜님!!! 많이 도와주십시오. 꾸벅~~~^^

멋진 번역에 감사드립니다!

저도 마케팅빅리그 라는 팟캐스트 하는데 스팀잇에서 보니 반갑네요 ㅋㅋ

마케팅 쪽에 계신가요? 저는 전직 카피라이터입니다^^ 반갑습니다. 마케팅빅리그 찾아 들어보겠습니다! ㅎㅎ

어힉후 저도 구독 및 좋아요 들어가겠습니다 ㅋㅋ

아 카피라이터 셨구나 ^^

좋은 정보 잘 읽었습니다. 다음 편 기대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미 두달전에 올린 글이라 다음 편은 제 계정에 올라와 있습니다.

@리스팀 목록

이 글을 리스팀 해주신 소중한 분들입니당~

리스팀 목록
monghae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8
BTC 64252.58
ETH 3495.24
USDT 1.00
SBD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