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헌트 프로젝트 알아보기 2편 "스팀헌트 어떻게 포스팅 하면 되지?"

in #kr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고래를 꿈꾸는 플랑크톤 @ayogom 입니다.
어제 스팀헌트 프로젝트 알아보기 1편 "스팀헌트가 뭐야?"에 이어서 오늘은 직접 작성하는 방법을 하나씩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물론 영어로 해야합니다.
영어는 아래의 사이트의 도움을 받으면 편리합니다 -_-b

구글 번역기
네이버 파파고

image.png

  1. 스팀헌티 사이트에 접속 합니다.
  • 왼쪽 가운데에 "Learn More"가 보이네요, 굳이 저것을 누르지 않아도 될 정도로 설명 해드리겠습니다 ㅎ 여기에서는 스팀헌트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고 있습니다.

  • 오른쪽 상단 부터 보겠습니다.
    1). Search products : 다들 생각하시는 그 기능이 맞습니다. 현재 Steemhunt 내에서 제품을 찾아주는 서비스 입니다.
    예를들어 제가 포스팅 했던 샤오미 셀카봉을 찾아보겠습니다. 검색창에 "Xiaomi" 를 쓰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image.png
    이 기능은 언제 사용해야하냐면, 자신이 포스팅을 하기전에 최근에 등록된 제품이면 등록을 해도 빠꾸를 먹을 수 있습니다. 물론 빠꾸를 먹으면, Steemhunt 게시물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반드시 제품을 올리기 전에 검색을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2). Login : 익숙한 로그인입니다. steemconnect를 사용하여 로그인 됩니다.

    3). Login이 되면 본인의 계정을 눌러보세요
    image.png
    Hall of Fame (명예의전당) 및 my profile 이 있는데, Hall of Fame 은 말 그대로 지난 순위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my profile에는 지금까지 자신이 포스팅 했던 글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가 간단한 인터페이스 설명이었고요, 이제부터 진짜 글쓰기 설명 들어갑니다.

  1. 스팀헌트 글을 작성 해보자
    글쓰기는 "+"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으로 넘어 갑니다
    image.png

오른쪽에서 작성하면, 왼쪽에 보이게 됩니다. 하나씩 연결해볼까요
image.png

  1. 가장 먼저 생각 해야 할 것은, 무엇을 소개 할 것인가 입니다. 가이드를 따르면 가능한 부분은

Web services
Mobile apps
Games
API, IT solutions, bots, open sources or other types of software
Tech gadgets
Unique items

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즉, 왠만한 서비스는 다 넣을 수 있습니다. 다만, 호텔이라든지 그런 부분은 조금 곤란합니다. 번역 웹사이트를 올려도 좋고, 문법 체크 웹사이트를 올려도 좋고, 게임 어플을 소개해도 좋고, 앱을 소개해도 다 좋습니다. 단 주의해야할 점은 제품을! 소개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를들면, 갤럭시 s9의 경우 포스팅해도 문제없습니다. 하지만 삼성은 안됩니다. 삼성은 제품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럼 구글은? 구글은 가능합니다. 그 자체가 웹서비스이기 때문에 다만, 구글 웹서비스가 현재 획기적인가? 혁신적인가? 이건 고민을 해봐야할 문제 입니다. 그리고 특정 나라에서만 파는 제품은 조금 어렵습니다. 스팀헌트는 전세계적인 프로젝트입니다. 따라서 전세계의 누구라도 살 수 있는 제품을 소개해주셔야 합니다. (예를들자면 아마존 제품?)

그리고 이미 보편화된 상품이면 곤란합니다. 예를 들자면, 볼펜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볼펜이라면, 그 누구도 관심을 가질 수 없습니다. 다만 볼펜에 색상이 온도에 따라 바뀐다던지 하면 획시적인 제품이지요? 그럼 작성이 가능합니다.

  1. Product Link : 소개를 하고자 하는 제품의 링크 주소입니다. 가장 좋은 것은 해당 제품의 정식 홈페이지 주소 입니다. 하지만, 정식 홈페이지가 어렵다면, 판매처의 링크도 괜찮습니다. 다만 안되는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Newspaper articles
Listicles (like "00 cool inventions …")
Blog posts (unless it’s a launching post)
Affiliate marketing site (e.g. Canopy, Awesome Invention, etc.)
Social media posts such as Facebook, Twitter, Youtube, Pinterest or Instagram

쉡게 생각하면, 남들이 쓴거는 안됩니다.

  1. Name of Product : 제품의 이름을 쓰시면 됩니다. 이름은 직관적으로 클릭을 해서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딱 봐도 이 제품이구나 싶은 제목을 선정해 주시면 됩니다.

  2. Short Description : 제품을 간단하게 설명해주시면 됩니다.

image.png

①Name of Product ② Short Description
image.png
이글이 스팀잇 사이트로 가면, 위와 같이 제목으로 함께 들어갑니다. 그러니 가급적이면 중복되는 단어는 피하는게 좋겠죠?

  1. Images : 이미지는 이미지를 그냥 올리면 됩니다, steemhunt 사이트에서는 아래와 같이 움직이는 사진 처럼 보여집니다. 마치 옥션같은 판매 사이트 처럼요
    image.png
    하지만 일반 스팀잇에서는 사진이 그냥 쭉,,, 내려옵니다.

  2. Hunter's comment : 제품을 소개하는 것입니다. 소개는 타 웹사이트에 내용을 복사해서 붙이면 표절로 포스팅이 거절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의 언어로 정리해서 올려주시면 좋습니다. 또한 가급적이면 이미지 파일은 넣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 위의 Image에서 충분한 이미지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추가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기존 h4("####") 레벨의 글로 작성이 됩니다. 따라서 "#######" 을이용하게 된다면, 작은 글씨를 보실 수 있습니다. 강조를 하고 싶으면 ("####") 이상의 크기로 작성을 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제조사든 판매처의 소개를 추가 하고 싶다면 인용표시 ">" 을 통해 소개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헌터의 아무런 설명 없이 인용넣었다고 타 사이트의 글을 가져오면 안되겠죠.

  3. Tags : 태그는 steemhunt 는 자동으로 첫머리로 들어가고, 그외에 태그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굳이 설명을 안해도 다 아시겠죠..

  4. Contributors : 기여자는 본인 이외에 보상을 나누어 가져갑니다. 작성자의 최소 비율은 15%입니다. 그외에는 타인에게 양보할 수 있습니다. 스팀헌트 개발자의 말을 빌리면

컨트리뷰터는 메이커를 지정하는 기능인데요, 해당 제품을 만든 사람이 스팀잇에 아이디가 있을 경우 본인이 받을 헌터보상을 나눠서 받을 수 있는 기능이예요.
예를들면 스팀헌트 제품을 올린다고 가정하면, 헌터가 저랑 타브리스를 메이커로 지정하고 각각 20%퍼씩 떼어줄 수 있어요.
스팀헌트가 가져가는게 10퍼, 스폰서가 가져가는게 5퍼가 있어서, 나머지 합이 85%가 되도록 배분하셔야 하고요
image.png



마지막으로 다시 정리하면,

  1. 스팀헌트는 제품을 소개하는것이다.(리뷰no)
  2. 스팀헌트는 링크를 포함해서 영어로 되어야한다.
  3. 스팀헌트는 자정에 글을 올리는게 유리하다.
  4. 스팀헌터는 아래의 moderators (중재자)의 의해 승인이 나야한다. (가이드라인 준수여부)
    @teamhumble, @Folken (Same as Steemit), @UrbanGladiator, @chronocrypto , @Dayleeo, @FknMayhem
  5. 미승인이 나는 경우 아래의 디스코드로 접속을 하여 미승인 사유에 대해서 묻고 수정을 하는것이 좋다.
  6. 스팀헌트에 작성된 글은 스팀헌트/스팀잇에 각각 업로드 되기때문에 혹시나 수정이 필요하다면 스팀헌트에서 수정하는 것이 좋다. 스팀잇에서 수정하면 적용되지 않음.

깃헙 가이드





여기까지 간단하지만, 간단해보이지 않는 스팀헌트 포스팅 방법에 대해서 글을 써봤습니다. 제가 어제 초안을 좀 작성해두고 다듬으려고 했는데, 새벽에 와이프 양수가 터지는 바람에 정신없이 마무리를 하네요 그래서 혹시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물어보시면 설명 해드리겠습니다 (오늘 내일은 조금 느릴수도 있어요)
이제 분만실로 가네요.... ^^


Unique Items -> 분야가 삭제될 예정입니다. 즉, IT관련 프로덕으로만 제품군이 좁혀질 예정입니다.
프로덕 링크 -> 공식 웹사이트, 앱스토어 (iOS, 안드로이드, 아마존 앱스토어 등), 킥스타터, 인디고고 -> 이 4개만 인정될 예정입니다. 그 외에 일체의 이커머스 사이트는 곧 링크 거는게 불가능해질 예정입니다. (아마존 등). 이 정책은 포스팅되는 제품들의 전반적인 퀄리티 향상을 위해 시행됩니다.
제품 사진 -> 가젯의 경우 웹사이트의 공식 이미지만 사용 가능하고 직접 찍은 스샷등은 불가능합니다. 이 역시 프로덕 스크린샷의 퀄리티 향상에 대한 니즈가 있어서 적용될 예정입니다.


스팀헌트 프로젝트 알아보기 1편 "스팀헌트가 뭐야?"
스팀헌트 프로젝트 알아보기 2편 "스팀헌트 어떻게 포스팅 하면 되지?"
스팀헌트 프로젝트 알아보기 3편 "스팀헌트 에어드랍을 받고 싶다면?"


스팀헌트 프로젝트에 대한 피드백이나 오픈소스 참여는 아래 채널에서 가능합니다.

Sort:  

애기를 출산하시는 순간에도 스팀헌트 소개 포스팅을 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우선 다음 업데이트 때 몇가지 정책 변경이 있을 예정인데요, 아직 공개단계는 아니지만 여기에 댓글로 간략히 공유하겠습니다.

  1. Unique Items -> 분야가 삭제될 예정입니다. 즉, IT관련 프로덕으로만 제품군이 좁혀질 예정입니다.
  2. 프로덕 링크 -> 공식 웹사이트, 앱스토어 (iOS, 안드로이드, 아마존 앱스토어 등), 킥스타터, 인디고고 -> 이 4개만 인정될 예정입니다. 그 외에 일체의 이커머스 사이트는 곧 링크 거는게 불가능해질 예정입니다. (아마존 등). 이 정책은 포스팅되는 제품들의 전반적인 퀄리티 향상을 위해 시행됩니다.
  3. 제품 사진 -> 가젯의 경우 웹사이트의 공식 이미지만 사용 가능하고 직접 찍은 스샷등은 불가능합니다. 이 역시 프로덕 스크린샷의 퀄리티 향상에 대한 니즈가 있어서 적용될 예정입니다.

이렇게 스팀헌트를 꾸준히 소개해 주고 계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전...항상 가이드 빵꾸먹더라구염.......스팀헌트 뭔가 너무 어려워영...ㅠㅠㅠㅠㅠ

앜... 그렇다면..

  1. 링크도 공식사이트
  2. 사진도 공식사이트 이미지만 이용해서 글을 올려야 하나요?

이런거 업드아~~ ㅋㅋㅋ 아빠 되신거 진심으로 축하드려요
ㅋㅋㅋ아빠댓글로 가즈아~~

ㅋㅋㅋㅋㅋㅋㅋㅋ 고마워요 아빠댓글!! ㅋㅋ쉴때 3편쓰고 가야겠네요 ㅎ

ㅋㅋㅋㅋ 오롯이 애기를!! 너무귀여워요~

이런게 있는지도 이제 알았네요ㅠ;;
잘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번 도전해보세요 ㅎ 아주 괜찮아요 ㅎ

와아, 정신 없으신 와중에도 세심한 포스팅 감사합니다. :-) 스팀헌트에 깊은 관심이 생기네요! 꼭 도전해보겠습니다. ㅎㅎㅎㅎ

어제 이미 좀 써놓은 상태여서....오늘 좀 정리해가면서 마무리 하고싶었는데... 그걸 못했내요 ㅎ
그래도 혹시나 오늘 기다리시는 분이 있을까바

스팀헌트라는 자체도 오늘 처음 알았네요.ㅎ
다른 글들도 읽어보면서 천천히 한번 알아가보겠습니다!.ㅎ

개인적으로 smt 유망주로 보고있어요 ㅋㅋ
더 투자하고싶은데.... 돈이 없네요 ㅠ

짱짱맨 호출에 출동했습니다!!
고팍스에서 MOC상장 에어드롭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혜자스러운 고팍스!
https://steemit.com/kr/@gopaxkr/moc

감사합니다 ^^

아닛! 아버님!! 포스팅을 쓰고 계신겝니까?! ㅎㅎㅎ

어제 다 해뒀엇어요 ㅋㅋㅋㅋ 다행이네요... 근데 3편도 써야하는데 ㅋㅋㅋㅋㅋ 와이프 여기저기 가면 써야지...

아이고 ㅋㅋㅋ 아부지 ㅋㅋㅋㅋ 애기는 어때? 애기 이쁘겠당+_+

@ayogom 님 출산 축하드립니다. 아내분께 잘 해드리세요. 이제 한 2틀이면 산후조리원으로 옮기시겠네요. ^^ 그때 3편 쓰시면 되겠다. 제가 ayogom님 글과 비슷하게 쓰려고 했었는데, 이미 쓰고 계셔서 영문권으로 넘어가서 쓰고 있습니다. ^^ 3편 쓰실때 참고하시려면 ^^ (파파고가 필요하십니다. ㅎㅎ)
https://steemit.com/steemit/@jayplayco/biggest-airdrop-ever-hunt-token-and-how-to-participate

영문으로 먼저 작성했다가 이번 글은 한글도 같이 번역을 해서 공유합니다. 읽기가 조금더 편하실겁니다. ^^ 좋은 의견 부탁드리며 아이랑 산모는 둘다 건강하죠? 스팀헌드 - ABV (어카운트 베이스 보팅) 을 적용할 예정입니다

ABV라니 참 신기한 접근 방법이네요, 정보 감사합니다.

풀보팅과 리스팀각이네요

감사합니다 ^^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1440.52
ETH 3447.43
USDT 1.00
SBD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