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인사] 팟캐스터의 스팀잇 실험기steemCreated with Sketch.

in #kr-join7 years ago


Hey everyone! My nickname is 'tonttu'. I'm co-host of the extraordinary podcast 'Finland in my ears(내귀에핀란드)'. I'm from South Korea(not north...plz), but I have been living in Finland for 2 years. I have recently started Podcast with my friend about the finland. Please welcome us! <3


안녕하세요. 스팀잇에 이제 발을 갓 들여놓은 뉴비, ‘내귀에핀란드’입니다. 저는 현재 핀란드에 살고 있고요. ‘내귀에 핀란드’라는 닉네임은 앞으로 제가 3월부터 새롭게 시작(개인적으로는 2번째 방송)할 팟캐스트 이름입니다.

오늘은 첫 포스팅으로 제가 스팀잇으로 온 이유에 대해 장황하게 풀어보려고 합니다. 이 글은 스팀잇 유저 뿐만 아니라 1인 미디어에 관심 있으신 분들에게도 좋은 정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팟캐스트 제작자들의 고민...?

해외에서 사시는 많은 분들이 블로그를 합니다. 본래 저는 한국에서 글을 쓰는 업을 가졌기 때문에, 핀란드로 이주하자 마자 저 역시 글 공간을 찾았습니다. 다음 브런치에서 한동안 핀란드 정착기를 연재하다가 나중에 찾은 새로운 콘텐츠 툴이 있었으니 바로 ‘팟캐스트’였습니다.

이전에 방송국 라디오국에서 조연출 생활을 했었고, 그 이후 광고대행사, 서울시청 홍보부서 등에서 일하며 콘텐츠 만드는 일에 제 일생의 대부분을 바쳤기에 방송 콘텐츠를 만드는 일이 처음에는 어려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한 1년 간은 잠을 줄여가며 즐겁게 방송을 만들었고, 인터뷰이를 섭외했고, 방송 홍보를 했죠. 그 기반은 예상하신 대로 한국에서 가장 큰 팟캐스트 플랫폼인 팟빵이 중심이 됐고요. 제가 처음 운영했던 채널은 ‘VOICE OF 유학생와이프’라는 방송이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저는 더 이상 팟캐스트를 끌고 갈 여력이 없었습니다. 콘텐츠를 생산해내는 일은 기본적으로 시간과 때로는 돈, 에너지를 굉장히 많이 투자하는 일입니다. 하지만 힘이 드는 것에 반해 경제적으로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활동이 되기 쉽습니다. 그 지점에서 많은 분들이 콘텐츠 제작을 중단합니다. 열심히 블로그를 하다가 멈추는 것도 같은 이유일테죠. 경제적인 요인도 동기부여에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니까요. 실제 저는 지난 말부터 해외 팟캐스트 제작자들과 모여 팟캐스트의 수익모델에 대한 열띤 토론을 해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크게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더군요.

1인 미디어, 모두 돈을 벌 수 있을까?

1인 미디어의 시대라고 합니다. 하지만 그 달콤함을 맛보는 이들은 몇 되지않습니다. 첫째, 수많은 유명 유튜버들이 엔터테인먼트에 소속되어 방송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그들에게는 피디, 작가, 촬영팀, 메이크업 팀이 따로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말이 1인 미디어지, 사실은 하나의 프로 방송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저처럼 정말 쌩으로 1인이 만드는 구멍가게에서는 혼자 방송 대본을 쓰고, 녹음하고, 편집하고, 업로드하고, 홍보하는 가장 기본적인 업무에 경험상 최소 한 나절은 듭니다. 이것은 최소입니다. 평균 투입시간을 말씀드린 것이 아닙니다.

둘째로 이제 콘텐츠 플랫폼에서도 크리에이터에게 더 이상 수익을 펑펑 나누어 주지 않습니다. 팟빵에서 팟캐스트를 운영하면 광고 수익을 낼 수 있긴 하지만, 저처럼 잘해야 건당 조회수 300~400정도 나오는 군소 방송은 1년간 모은 광고 수익금이 총 1,506원 입니다. 참고로 팟빵에서는 5만원 이상이 돼야 출금이 가능합니다. 결국 저 금액은 저에겐 의미 없는 숫자였죠.

팟빵광고수익.jpg

그렇다면 유튜브는 어떨까요? 최근 유튜브의 위상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것을 눈치채셨을 겁니다. 이제 10~20대들은 네이x에 검색어를 넣지 않습니다. 대부분 유튜브에서 정보를 검색하죠. 그러다 보니 많은 광고주들은 유튜브에 많은 광고비를 투입하고 있는데요. 한편 아이러니하게도 유튜브는 광고를 보기 싫은 사람들을 위해 월 7,900원을 내라는 유튜브 레드 서비스를 출시하기도 했죠. 광고 수익비는 결국 자기들이 챙기면서 말입니다. (LA에서 길거리 부랑자들이 남의 자동차 앞유리에 양동이를 가져와 물을 붓고, 세차비를 내놓으라고 했다는 친구의 경험담이 왜 떠오르는 걸까요…)

아, 잠깐 다른 곳으로 이야기가 샜는데요. 다시 돌아가자면 더 핫한 소식도 있습니다. 올해 1월 16일부터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에게 엄격한 콘텐츠 수익창출 기준이 마련됐는데요. 12개월 간 시청시간이 4,000시간에 도달하고 구독자 수가 1,000명을 넘는 유튜브 채널만 수익창출 참여 대상으로 검토 된다는 내용의 공지가 떴다는 겁니다. 이전에는 ‘수익창출’ 버튼을 눌러 에드센스만 연결하면 광고가 붙을 수 있었거든요. 유튜브에 방송을 올려 보려고 준비하고 있었는데, 이 소식으로 또 한번 허탈해졌죠.

유튜브수익창출기준.jpg

그 밖에 콘텐츠 제작자로서 더 많은 어려운 요소들이 있지만 가장 굵직한 문제점만 정리해봤고요. 그래서 여러 고민 끝에 찾은 채널이 있었으니 바로, 스팀잇이었다는 이야기를 하려고 이렇게 뱅뱅 길을 돌아왔습니다.

콘텐츠 가치를 인정하는 세상을 꿈꾸며

다른 것 다 떠나서요. 저는 그저 콘텐츠의 가치를 인정받는 시대에 살고 싶습니다. 여기에 들어온 것이 돈을 벌기 위해서냐? 라고 물으신다면 그 말은 맞기도 하지만 틀리기도 합니다. 콘텐츠에 대한 보상이 플랫폼을 가진 권력에게만 유리하게 돌아간다면 크리에이터들은 점차 기존 플랫폼(유튜브, 팟빵 등) 등을 돌릴 것입니다. 그리고 새로운 출구를 찾을 겁니다.

저는 스팀잇을 통해 새로운 실험을 해보려고 합니다. 앞으로 팟캐스트 제작기를 시작으로, 실제 제가 운영하게 될 팟캐스트 파일과 방송 내용, 방송후기 등을 공유해 볼 계획입니다. 콘텐츠 창작자들이 늘 고민하는 ‘수익모델’을 이곳에서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 가난한 제작자들에게 희망이 되는 곳이길 바랍니다. 아니면 또 다른 길을 찾아보죠, 뭐! 제 아직 제 인생도 베타버전이니까요. 진짜는 아직 시작하지도 않았다죠^.~

아무튼 저는 오늘 1스팀이 얼마였는지는 크게 관심이 없습니다. 저는 궁극적으로 실력있는 콘텐츠 제작자들이 스팀잇에 더 많이 몰려와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궁극적으로는 스팀잇이 진짜 괜찮은 콘텐츠가 크게 모이는 허브가 되어야 결국 스팀 가치도 성장할거라는 생각입니다. 그래서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친구들을 이곳에 열심히 영업하려고요. 그들은 경쟁자가 아니라 이 생태계를 키워갈 사람들이니까요. 앞으로 콘텐츠 제작자로서 정면 승부하겠습니다. 저를 위해서, 그리고 이곳을 위해서요! 그럼 앞으로도 많이 응원해주세요.

PS1. 앞으로 재미있는 핀란드 소식 많이 들려드리겠습니다.
PS2. 관심 있으신 분들은 팔로우 눌러 주시고요. ^.~ 긴 글 읽어 주셔서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내귀에 핀란드 MC 똔뚜 드림

Sort:  

Congrats. on getting started with Steemit! I am new to Steemit, too. :)

안녕하세요 팟빵에서 오지쌤채널 방송하고 있는 시드니 오지쌤입니다. Steemit시작하신것 축하드립니다. 저도 막 계정만들고 시작했는데 생소하군요. 위에 글에서 언급하신것처럼 여기가 컨텐츠나 정보제공자들이 자신들이 올린 컨텐츠에대한 가치보상이 가능하면서 소통의 장이 되는 Steemit이되기를 기대하면서 화이팅 입니다!

안녕하세요! 여기서도 뵙네요~~ #podcast 태그를 눌러보니 포루투갈어 팟캐스트 콘텐츠랑 자료 올려놓은 친구가 있길래 안그래도 오지쌤 방송도 생각났습니다+_+ 저도 아직 낯설고 모르는 것 투성이지만... 조금씩 적응해봐요! ㅎㅎㅎ

넹 :D. 저도 Tea Break에 이렇게 글을쓰고 있어요. 말씀대로 아직 낯설고 하지만 하나씩 배우면서 같이 성장해 갔으면 합니다. :)

스팀잇의 보상은 글을 쓰고 일주일이후에 들어옵니다. 스팀달러를 한번써보시라고 0.2스팀달라를 보내드립니다.
0.1달러는 스팀달러를 전송해보자
위 링크를 참고해서 girina79 님께 0.1달라를 보내보세요. 현재 보육원 아이들을 후원하고 계십니다 .
세 명의 아이를 후원합니다. 보팅으로 지원해 주세요 !!!!!


다른 0.1달라는 스팀달러를 스팀파워로 바꿔보자
이걸 따라해 보세요. 어느정도 사용법을 익히기 위해 소액으로 미리 해보시는것이 좋습니다.
신규가입자분들의 빠른 적응을 응원합니다. ^0^

저도 막 가입하고 글을 남깁니다. 저 역시 1인 미디어로 캐나다 밴쿠버에서 수익 창출에 고민이 많답니다. 좋은 성과 거두시기를 기원합니다.

아, 해외에 사시는 분들에게도 좋은 콘텐츠 장이 될거라고 믿어요^^ 가입하시느라고 고생 많으셨습니다.ㅠㅠ....

스팀잇에 오신것 을 환영합니다.^^
저는 krwhale이라는 아기고래와 코인시세 챗봇을 운영하고 있어요 :)
- 아기고래에게 Voting 받는 법
- 코인시세 챗봇
1주일 뒤 부터 유용하게 쓰실 수 있을 거에요~^^

그리고 암호화폐 관련 데일리 리포트도 작성하고 있으니 관심 있으시면 많은 구독 부탁드릴게요~
- Pliton의 암호화폐 데일리 리포트


Welcome to Steemit @finlandinmyears!

I wish you much success and hope you find Steemit to be as rewarding and informative as I have.

Here are some links you might find useful.
Your stats on SteemNow
Your stats on SteemWorld
Your stats on SteemD
How to use Minnow Booster
How does Steemit actually work?

Introbot is hosted and managed with donations from @byColeman to help make your journey on Steemit be truly rewarding. Your feedback is always welcome so that we may improve this welcome message.
Oh yea, I have upvoted you and followed you. Many blessings from @introbot & @bycoleman

환영합니다. ㅎ 아곳도 그리 녹녹치는 않겠지만 우리 모두 화이팅!! 보팅 팔로우 하고 가용.

고맙습니다! 열심히 헤쳐 나가 보아요!

Loading...

Welcome to Steemit. It's a great place for writers to get rewarded for their work.

Good luck

오~ 반갑습니다!ㅎㅎ 똔뚜님, 스팀잇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앞으로 자주 뵈었으면 좋겠네요ㅎㅎ 이지스팀잇을 통해 보팅해드릴게요! @환영해

앗, 이게 어떤 상황인지 잘 모르겠지만...정말 고맙습니다! 덕분에 홍보가 많이 됐습니다!

@finlandinmyears님 스팀잇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스팀잇 정착을 도와드리기 위하여 @familydoctor님의 부탁을 받고 찾아온 @easysteemit 입니다. 힘찬 출발을 응원하는 의미로 서포터 보팅을 해드립니다. 그리고 더 많은 분들에게 소개해 드리기 위해서 @krguidedog을 통해 @홍보해 드립니다.

[이지스팀잇]

@easysteemit은 처음에는 낮설고 복잡해 보일수 있는 스팀잇을 더욱 쉽게 접할수 있도록 만들어진 스팀잇 안내서입니다. @easysteemit 을 팔로우하시고 필요한 것들을 하나하나 익혀보세요! 스팀잇 활동이 더욱 더 즐거워질거에요 :)

Coin Marketplace

STEEM 0.13
TRX 0.24
JST 0.031
BTC 82687.04
ETH 1825.91
USDT 1.00
SBD 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