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mitRN | 스팀잇 간호사 | 스팀잇에서 스파업하기

in CybeRN5 years ago (edited)

놀고 있는데 혹은 아빠와 술 마시고 있는데 혹은 자고 있는데 갑자기 이모-고모가 '묻지마 스팀잇 혀'라고 해서 얼떨결에 스팀잇 활동을 시작한 간호사 조카님에게 Steem Power Up을 하라고 답글을 쓰다가 포스팅으로 전환합니다. 곧 새로운 간호사 가족이 '같이가치클럽'에 Steem 보따리 짊어지고 올 것도 같고 해서 포스팅으로 남겨두면 좋겠다는 생각에서요.

2021-04-24 9.15.10.png

Steem Power Up 하는 방법

스파업을 하려면 우선 내 지갑 (스팀잇 메인 페이지에서 보이는 Wallet) 페이지로 들어가야 합니다. 내 지갑 페이지에서 ➁에 Steem 잔고가 있을 때 스파업합니다.

  • 스팀잇에서 Steem Power Up을 해야하는 이유

2021-04-24 9.06.47.png

위 그림에서 ➀을 설명합니다.
Cryptocurrecny Steem을 Power Up (스팀잇에서 사용하는 용어에요. 검색해보시고)하면 연이율 (APR, annual percentage rate)3.87%를 준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니 Steem Power Up (이하 스파업)을 하지 않으면 연이율 3.87%를 놓치는 거겠죠. 2021년 4월 24일 현재 은행에 저축했을 때, 연이율이 몇 %일까 검색해보세요. 우와~ 이건 그냥 바로 스파업해야겠는걸 이런 생각이 들거에요. 또 하나, 은행에 한 달 저축했을때 연이율 3.87%인 상품이 있는가 찾아 보면, 아마 없을 거에요. 왜냐면 2021년 4월 24일 현재 은행에는 한 달 저축 상품이 없거든요. 제가 왜 2021년 4월 24일 현재라고 표현하느냐, 이유는 두 가지에요. 하나는 스팀잇의 연이율이 변하구요. 다른 하나는 앞으로 시중 은행에서 스팀잇의 Steem 운용 방식을 보고 따라할 수도 있으니까요. 어쨌든, 용돈이나 글 보상으로 Steem이 내 지갑에 들어왔는데 스파업을 하지 않았다! 그러면 간단하게 클릭질 몇 번이면 Steem으로 얻는 연이율 3.87%는 버리는 거다라고 생각하면 될 듯합니다. 그러니 스파업을 해야겠어요? 안 해야겠어요?


  • 스파업 하는 순서와 스파업에 대한 오지랖
    위 그림에서 ➁와 ➂을 순서대로 클릭하면 됩니다. 간단하쥬^^ 알고 나면 이렇게 쉬울 수가입니다.

➁와 ➂을 순서대로 클릭했다면 스팀잇 페이지 화면은 아래와 같이 이동합니다.

2021-04-24  9.08.06.png

위 그림에서 ➀과 ➁를 순서대로 클릭하며 진행합니다.
저는 다시 그림에서 ➀ 영역에 있는 '잔고'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은게 있어요. '잔고'의 의미는 '나머지 금액'이에요. 또 '나머지'라는 용어의 의미는 몇 가지가 있는데요. 우리가 지금 진행하는 스팀잇 스파업 부분에 적합한 의미로는 '어떤 한도에 차고 남은 부분'입니다. 이러한 사전적 용어 정의를 근간으로 저는 잔고를 '내가 지금 당장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돈'이라고 다시 정의할게요. 괜찮죠?!

'잔고'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스파업'에 대해 부연 설명을 조금 더 해볼게요. 위 그림에서 ➁ 영역에 대한 설명이라 보셔도 무방합니다. '스파업'은 은행 저축과 비교하여 설명할게요. 은행에는 정기적금, 정기예금, 보통예금이 있잖아요. 정기적금은 매달 일정한 금액을 저축하는 것이고, 정기예금은 일정한 기간 이상 목돈을 저축하는 것이고, 보통 예금은 수시로 내 돈을 찾을 수있는 은행상품이잖아요. 여기서 정기적금과 정기예금은 보통 예금보다 이율이 높습니다. 그래서 급하게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돈은 목돈 마련을 위해서, 위에서 말한 '나머지' 돈은 정기 예금을 많이 선택합니다. 하지만 이율이 개뿔인거죠. 개가 뿔이 있나요?! 없죠^^ 그리고 은행에 정기예금은 내가 기간을 설정하기 보다 보통 은행에서 정한 상품이 많습니다. 보통 6개월, 1년, 3년 이런 식으로요. 그리고 기간에 따라 APR도 달라집니다. 이제 APR이 뭔지는 아시겠죠. 연이율이죠. 아니 내가 저축하겠다는데 왜 저축 기간을 내 맘대로 정할 수 없고, 왜 저축 이율은 달라야하는 거에요? 이상하지 않나요.

'스파업'은 은행에 정기예금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다른 점은 일정한 기간 4주를 요구할뿐입니다. 아래 인용글은 위 그림 ➁ 영역에 있는 내용입니다.

STEEM POWER UP은 전송이 불가능하며, 다시 Steem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1달이 소요됩니다. (4회로 나누어 전환됩니다.)

위 말을 다시 설명하면,
'너가 스파업을 하면 인출할 수 없어, 니가 다시 인출할 수 있는 'Steem' 상태로 되려면 1달이 걸려, 이 한달이라는 의미는 니가 Steem을 인출하겠다고 신청한 Steem의 양을 4주에 나눠서 니 지갑입금할 거야.

다시 위 말을 번역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니가 4주 안에 Steem (돈)을 쓸 일이 있으면 스파업하지 마라, 그러나 니가 스파업 한 후 Steem (돈)은 언제든지 인출할 수 있어. 오늘 스파업해서 내일도 너의 Steem (돈)을 인출할 수 있지만, 우리는 니가 신청한 인출 금액 전량이 한꺼번에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4주에 걸쳐 나누어 지급하는 방침을 세웠어. 그러니 내일 당장 쓸 Steem이라면 스파업하지 말아라. 그러나 니가 만약 하루라도 스파업한다면 우리는 너에게 2021년 4월 24일 현재 APR 3.87%를 지급할 거야

다시 말하면 4주 이상은 돈을 찾을 수 없다. 그러나 APR은 4주 이상 스파업한 Steem에 대해서는 동등하게 지급합니다. 이점은 은행 정기예금과 너무 다르죠. 저축 기간도 내가 결정할 수 있고, 연이율은 똑같이 배분하고 아니 이런 저축 상품이 있는데 왜 Steem 스파업을 하지 않을 이유가 있나요? 그래서, 스파업을 해야겠어요? 안 해야겠어요?

'잔고'와 관련된 부연 설명에서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Steem'의 '가치'에요. Steem은 내가 스팀잇에서 활동하는 만큼의 가치를 발하는 생명력있는 Cryptocurrency에요. 내가 스팀잇 활동을 하지 않으면 Steem의 가치가 떨어진다고 생각하면 좋을 듯해요. 여기서 '내가'라는 글자가 중요해요. '내가' 여러 명이면 '사회'가 되겠죠. '사회'에는 '가족', '학교', '회사', '국가' 등이 있죠. 그러니 내가 속한 곳의 사람들이 모두 스팀잇 활동을 하면 'Steem'의 가치가 높아지겠죠. 그러나 지금 당장은 '사회'까지 가지 않아도 되어요. 스팀잇에서 활동하는 분들이 서로 다른 '사회'에서 생활하시는 분들이니 '내가' 스팀잇 활동을 열심히 꾸준히 하면 'Steem'의 가치는 높아지는 거에요.

지금 스파업 하는 순서 중에서 '잔고'에 대한 설명을 하다 'Steem'의 '가치', '나', '사회'까지 이야기를 했는데요. 이게 어떤 의미냐면, 지금 스팀잇 생활을 시작하는 '내가' 소유한 'Steem'의 가치는 얼마일까? 생각해보면 될 거에요. 위에서 'Steem'의 가치는 내가 스팀잇에서 활동한 만큼의 가치를 발한다고 제가 이야기했잖아요. 그런데 나는 이제 스팀잇을 시작했어요. 그렇다면 '내가' 소유한 'Steem'의 가치는 '내가' 앞으로 스팀잇 활동을 열심히 한다면 더 가치가 높아지겠죠.

그래서

'잔고'를 누르고 현재 소유한 'Steem' 모두를 기입하면 됩니다. '잔고'를 클릭하면 페이지 안에서 자동으로 스파업할 수 있는 최대치의 'Steem' 양이 표시됩니다. 제 말은 소유한 Steem을 모두 스파업하라는 이야기입니다. 2021년 4월 24일 현재 APR 3.87%인데 스파업 하지 않을 이유가 있을까요? 그래서 소유한 스팀 전량을 스파업 해야겠어요? 안 해야겠어요?


  • 스파업 하는 순서 정리
    아래 그림에서 ➁와 ➂을 순서대로 클릭하고



아래 그림 ➀ 영역에 잔고를 누르고,



아래 그림에 보이는 것처럼 초록색 파워업을 누른다.
2021-04-24  9.08.23.png



그러면 페이지가 창이 바뀌면서 ➀ 영역 동그라미 안에 옅게 보이는 것처럼 뱅글뱅글 돌아가는 움직임이 보입니다. 그 움직임은 여러분의 Steem이 스파업하는 중이라는 표시라 보면 됩니다.

아래 그림의 ➁ 번 영역은 다음에 설명할게요. 헉헉!
2021-04-24 9.10.03.png

스파업 진행과정 중 요구하는 키(key)는 스팀잇 계정 생성할 때 받은 PDF에 적혀있는 키 (key)를 입력하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강조하고 싶은 것 두 가지!

  1. 내 지갑에 Steem이 있는지 늘 확인하시고, 언제 이모-고모-삼촌이 용돈 쏠지 모르잖아요. 틈만나면 지갑을 보시고, 지갑에 메모 확인하고, 보는 즉시 스파업하기를 그리고 송금한 이모-고모-삼촌에게 감사 포스팅하기
  2. 스파업 APR은 복리! 복.리! 복.리.!. 내가 스파업한 금액에서 복.리! 세팅이 되어 2021년 4월 24일 현재 APR 3.87% 입니다.
    그러니 지갑을 자주 들여다보고 - 스파업 하고 - 감사 인사하고 - 열심히 포스팅하고!!! 이 순서로 그래야겠어요. 안 해야겠어요??


우선 여기까지. 내용 보시고 수정할 내용 있는지 확인 부탁드릴게요. 확인 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Sort:  

설명한다고 애섰다. 덕분에 나는 수월하게...

우웅~ 조카들 단체로 불러 앉혀서 영통으로 설명하는 게 낫겠다는 생각을 몇 번 했는지 몰라요. 이거 글로 쓰려니~ 어려워요. 중간에 몇 번 하지 말까 하는 생각했어요.

비유도 잘 해주시고 명쾌하네요!!! 쨩쨩이세요👍🏻 저도 틈나는대로 스파업 하는걸로용!!ㅎㅎ

말로 하면 금방인데, 글로 쓰려니 어려워요. 이런 안내글 쓰시는 분은 정말 대단하신 분들이에요. 그나저나 제 글 내용이 맞는지 더블 체크 하셔야 해요.

Coin Marketplace

STEEM 0.08
TRX 0.29
JST 0.035
BTC 103650.23
ETH 3392.49
USDT 1.00
SBD 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