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위터(Dwitter) Dapp Version 0.1
들어가며
전에 1차로 idea를 냈던 Dtwitter의 version 1.0입니다.
의견 주신 분들의 idea를 수렴하여 내용을 추가하였습니다.
["드위터(Dwitter) Dapp idea 제안입니다."]
EOS의 worker proposal로 갈지, 혹은 해커톤의 아이디어가 될지, 혹은 다른 방법이 될지는 고민중입니다. 아이디어를 계속해서 발전시키고 prototype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Codename은 머큐리입니다. 태양계의 제일 첫번째 별이죠. 앞으로 계속해서 태양계의 행성의 이름을 따라서 프로젝트를 하나씩 새로 선보이려고 합니다.
자 이제 머큐리 프로젝트에 대해서 시작하겠습니다.
Context
기존에 우리가 twitter는 참 많이 썼었는데요..사실 요즘은 시들해졌고..
트럼프 아저씨 때문에 다시 유명세를 타는 분위기 입니다.
그런데..트위터에 쓰는 글로 누가 이득을 얻을까요? 물론 우리도 소통의 이득을 얻기는 합니다.
하지만 그보다 정말 경제적인 이득은 트위터가 가져가고 있습니다.
잠시 볼까요?
33.52 USD +0.095 (0.28%)
헐 입니다. 무려 3만 4천원정도 되는 가격입니다. 다 우리가 만들어 준거죠.
그 밖에도 트위터의 치명적인 단점은 FUD의 온상이 될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그 글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이죠.
그래서 제가 제안하는 것은 decentralized twitter입니다. 이름하여 "드위터" 입니다.
Problem statement
- 기존의 twitter에 글을 씀으로써 발생하는 수익의 대부분은 플랫폼을 제공하는 twitter가 가지고 감.
- 글, 이모티콘, 인디음악등의 창작자들이 수입이, 창작을 하기에 충분한 환경이 주어지지 않음.
Solution
이 2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플랫폼의 대부분의 수익을 플랫폼 제공자가 아니가, 플랫폼 사용자에게 되돌려 주는 시스템을 제안함. 또한 플랫폼에 창작자들이 충분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함.
플랫폼
EOS 메인넷 : 선정의 사유는 EOS에서는 송금 수수료가 들지 않기 때문이고, 현재 알려진 바로 충분한 transaction의 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Telegram : 추가적인 interface로 telegram chatbot platform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Basic operation
-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30분이 지나면 데이터의 영구보존. 30분 안에 취소 못하면 이불킥 해야 합니다.
- 글을 쓸때마다 토큰을 글쓴이에게 제공.
- 글이 좋아요를 받을때마다 글쓴이에게 토큰 제공.
- 좋아요 누르는 사람에게도 토큰 제공
- 광고로 들어오는 수익은 모두 토큰 구매 및 소각으로 토큰 가치 상승 유도
어떻게 광고를 보여줄 것인지
플랫폼의 주요한 수익원 중의 하나는 일차적으로 광고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외에도 창작자들의 창작품으로 얻어지는 수익도 일부있겠으나, 이 부분또한 대부분의 창작자에게 돌려줄려고 합니다.
수익이 얻어져야 하는 이유는 그래야 토큰의 가치와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이익을 돌려줄수 있기 때문입니다.
생각하는 광고는 여러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 일반적인 배너 형식
- 사용자가 작성하는 드위터 글과 같은 형식으로 관심이 있는 것을 능동적으로 제안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이 로션 써볼래?"
"제주로도 여행 가는 건 어때?"
" 요즘 같은 날씨에는 황사 마스크가 필요해."
이런 단문의 문구들인데, 사용자의 환경이나 글을 분석해서 제안하는 형태의 광고이고,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위의 문구의 추가적인 링크를 눌러서 제품을 보거나 구매할수 있습니다. - 또한 광고는 선택 가능해야 합니다. 광고를 보지 않은 권리도 존중합니다. 다만 광고를 보는 경우와 보지 않는 경우에 플랫폼의 참여도가 달라지므로 이에 대해서 보상을 달리할필요는 있어 보입니다.
인공지능의 접목
드위터 dapp이 가져야 하는 궁극적인 수익 시스템입니다. 즉 인공지능의 처리를 위해서는 대용량의 잘 만들어진 입력 데이터가 필요하고, 드위터는 드위터의 글을 통해서 이 인공지능의 입력을 처리하려고 합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런 데이터는 아주 비싼 값에 팔리고 있고, 애석하게도 아직까지는 이 데이터를 사용자들이 무료로 제공해 왔거나 혹은 특정 회사들을 통해서 인위적으로 조성하고 비용을 지불하는 형태였지만, 드위터에서는 이를 만드는 사람들이 수익을 가져가도록 하려고 합니다.
게시판의 구성
- 네이버와 같이 간추려서 보여주는 기능
- 오늘의 베스트글과 같이 하루에 일정 숫자의 베스트 글을 보여줌
- 일반적으로 모든 주제의 글을 보여줌. 글에는 반드시 태그가 필요함
잊혀질 권리와 잊지 않을 권리의 보장
1인 1계정으로 제한해야 하는지?
이모티콘의 도입
새로운 세대에게 있어서 이모티콘은 하나의 트렌드 입니다. 트위터에는 이런 것이 없죠. 그래서 드위터에는 이모티콘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합니다. 또만 이모티콘 작가들에게 더 많은 수익을 배분하려고 합니다.
구상을 해보아야 겠으나 작가에게는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무조건 작가가 더 많이 가져가고, 작가가 더 많이 수익을 낼 수있는 체계를 구축하려고 합니다. (현재 이모티콘의 수익 생태계를 잘 모릅니다. 이에 대해서 도움 주시면 좋겠습니다.)
또한 이벤트를 만들어서 드위터가 일정량을 선구매하고 이를 사용자들에게 배포하는 등의 일정 이상의 고정적인 수입을 보장하는 방법도 고려. 즉 작가들이 팔리는 것에 대해서 수익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드위터가 고정된 월급처럼 일정량을 항상 선구매하고, 그 수량을 초과하는 것은 수익을 배분하는 인센티브 구조를 가져감.
즉 A작가가 만드는 이모티콘이 B라면, 드위터는 B 이모티콘을 매달 400백만원씩 선구매 하고, 이를 드위터에 일정량은 무료로 배포하고, 일정량은 판매를 합니다. 이 비율은 플랫폼에 수익에 따라서 달라지고, 플랫폼이 충분한 재원을 가지고 있다면 전체 이모티콘을 모두 무료로 배포 합니다.
어떤 이모티콘을 선구매 할지는 투표로 결정하려고 합니다.
기존 시스템의 좋은 점을 차용
스팀처럼 대세글, 최신글, 인기글을 구분해서 보여주고 아예 광고 section을 만들되...광고는 자신과 관계된 것이 보이도록 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확장 계획
처음에는 트위터와 같은 짧은 text기반, 이후에는
UI의 확장
Restful API를 통한 Dapp의 플랫폼화
이모티콘의 접목
인디음악의 접목 등, 다양한 창작자를 위한 플랫폼으로 확장하고자 합니다.
Dwitter 입력 화면
다음은 글 입력 화면의 예시입니다. 세부 구현에 있어서 CSS를 이용한 webview를 쓸 것인지, 혹은 App interface를 제공할것인지는 아직 미정입니다.
리스트 뷰
입력한 자신의 글과, 다른 사람의 글을 보여주는 리스트 입니다. 여기에는 광고를 어떻게 붙일지도 약간의 예시로 고민을 하였습니다. 다만 광고의 형태가 다양하므로 지금은 구상중이고 일단은 일반적인 글의 형태와 배너 형태 모두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로그인
EOS에도 분명 OAuth와 같은 기술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즉 별도의 계정체계보다는 steemconnect와 같이 OAuth를 이용한 연결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음란물의 방지
대규모 Macro abuse의 방지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지는 것 방지 - 토큰의 소유 규모와 voting power에 대한 논의
(여기에는 우선 생각만을 남기겠습니다.)
그리고 아무리 많은 토큰을 가지고 있어도..편의상 전 시나몬토큰이라고 하겠습니다.
시나몬 토큰 100만개가 있어도 그 사람의 vote는 그냥 좋아요 하나로 그치도록 할까 합니다.
다만 100만개를 가진 good holder에 대한 보상과, 더욱이 bandwidth측면에서는 더 많은 기회를 부여하려고 합니다.
EOS의 staking기능과 엮는다면 good holder를 구분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닌것으로 보이니까요.
보상의 방법
- 신규로 발행하는 드위터 코인으로 보상
- 기존의 코인들로 보상. 초기에 사용자가 원하는 코인으로 받아갈수 있도록 하고, 해당 코인은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수익으로 구매하여 제공. 이렇게 된다면 드위터는 EOS 메인넷 뿐만 아니라 다른 블록체인과도 연계하는 부분을 가져야 합니다. 혹은 EOS기반의 기축통화 거래소가 있으니, 그 곳을 이용해서 제공할수도 있겠습니다.
다만 단일 코인을 제공하고 이를 사용자가 알아서 거래소와 연계하여 구매하게 할것인지, 자동으로 구매하여 플랫폼이 제공할지는 어느 것이 에코 시스템에 더 도움이 되는지를 고려후에 결정할 내용으로 보입니다.
개발해야 할 것들
- Dapp main platform
- User Interface - 로그인, 글쓰기, 글보기, 글검색
- 광고 시스템과 연동
- 인공지능 시스템과 연동
- 보상 알고리즘
- EOS 메인넷 기반 smart contract과 token 발행
- EOS transaction 기능 연동
- (필요시) EOS transaction restful API
- 이모티콘 DRM 및 구매 시스템
- 이모티콘 및 창작 콘텐츠 연동 시스템
- 텔레그램 챗봇 API
마치며..
아직 위에 내용들에는 빈칸이 많고, 새로 추가해야 할 주제들도 많이 있습니다. 조금씩 개발해 나가면서 버전업 하도록 하겠습니다.
같이 아이디어를 확장하고, 구현하고, 기획하기를 원하는 분이 있다면 언제라도 팀으로 참여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팀이 아니어도 기존의 아이디에 대한 피드백이나 혹은 제안도 환영합니다. 댓글은 언제나 열려 있으니까요..
짱짱맨 호출에 출동했습니다!!
pages를 구현.
탈 중앙화 트위터와 연동?
광고를 모두 없애고, AI를 위한 데이터의 씨앗과,
트윗한 글들을 주제별로 AI를 이용해 분류하고, 이를 책으로 모아서 출판하는 것으로 수익을 얻어냄. 다양한 분야에 대해서 좋은 글들이 모일수 있을지 않을까?
드위터 아이디어 말인데요.
드위터가 독자런칭도 물론 해야겠지만,
드위터 시스템을 다른 dapp게시판에 작은 드위터 개념으로 탑재할수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자체게시판으로 사용하되, 드위터랑 연동되어서 게시글/보팅에따는 이윤분배가 가능하게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