션즈화의 조선선쟁 부록 3-1 중국의 아시아 공산주의 운동의 중심적 역할에 관한 기술
북한의 발언속에서 본 중국의 위치
아시아공산주의 운동에서 중국의 중심적 역할에 대한 논의에 대해서는 김일성도 참가했던 것으로 보인다. 션즈화는 김일성이 동방정보국 설립문제를 마오쩌뚱에게 제안했다고 밝히고 있다.
마오쩌뚱은 중국과 인도차이나 지역에 모두 전쟁중에 있으며 조선의 상황 역시 긴장상태에 있어서, 만일 정보국이 설립되면 군사동맹을 맺는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 진행하기는 너무 이르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션즈화의 조선전쟁해밀문건, pp. 187-88, АПРФ, ф.39, оп.1, дл.331,лл.59-61; АВПРФ, ф.095а, оп.5а, п.11, д.3, лл. 46-53)
김일성이 어떤 연유로 마오쩌뚱에게 동방정보국의 설립을 요구했는지는 자세하게 밝히지 않고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김일성이 스탈린의 허락없이 독자적으로 동방정보국 설립을 언급할 상황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이는 스탈린이 김일성에게 마오쩌뚱에게 동방정보국 설립을 제안하도록 지시를 받은 것으로 밖에 설명하기 어렵다.
코민포름이 창설된지 2년이 채지나지 않아서 동방정보국 창설을 중국에게 주도하라고 요구한 스탈린의 의도를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이것를 한국전쟁에서 중국과 미국이 서로 싸우게 만들려고 했던 스탈린의 계책이라고 설명하는데 어떤 문제가 있는지 모르겠다.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을 제명하기까지 했던 스탈린이 아시아에서 중국의 독자적인 지위를 인정해주었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션즈화는 김일성이 ‘동방정보국’의 설립을 제안했다고 하면서 당시 아시아 공산주의 운동 조직의 이름까지 제시했다. 그 분명한 내용은 원문을 살펴보아야 할 수 있을 것 같다.
코민포름
1947년 9월, 바르샤바에서 소련 공산당 주창 아래 유럽에 있는 9개국 공산당이 참가하여 창설한 공산주의 국가의 정보국이다. 참가국은 소련을 중심으로 체코·불가리아·루마니아·헝가리·폴란드·유고슬라비아·프랑스·이탈리아의 9개국으로서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유럽의 반공 체제와 투쟁할 것을 선언하고 행동의 통일, 경험·정보 교환, 활동의 조정을 위하여 코민포름을 설치할 것을 정하였다. 이들은 마셜 계획을 미국의 확장 정책의 일부라 비판하고, 1948년 6월에는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을 제명하여 반소적(反蘇的)이고 민족주의적이라고 비판하였다. 1956년 4월에 해산될 때까지 세계 각국의 공산당에 대해서 지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49년 여름 소련과 중국의 국제공산주의 운동에서의 역할 분담과 관련된 논의
1947년 코민포름을 결성한 소련은 아시아에서의 공산주의 운동과 관련하여 중국과 역할분담에 관한 논의를 시작하기에 이른다. 소련이 중국과 역할 분담에 관해 논의를 하는데 영향을 미친 사건을 아마도 미국의 마샬 플랜과 이에 따른 소련의 대응이 유럽사회에서 첨예한 갈등으로 나타난 것과 상당한 관계가 있을 것이다.
특히 티토가 미국과 소련사이에서 기회주의적 태도를 보인 것은 소련이 중국을 다룸에 있어서 매우 조심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마오쩌뚱을 티토와 같은 성향의 인물로 판단하고 있었기에 중국이 미국과 가까운 관계가 되지 않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당연히 중국을 강압적으로 몰아가기보다는 일정정도 중국의 역할을 인정해주면서 임박한 한국전쟁에서 중국과 미국의 충돌을 만들어가는 상황이 최상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비밀리에 소련을 방문한 리우샤오치에게 이후 소련은 서구유럽의 혁명을 책임질 테니, 중국은 동방의 식민지 반식민지 국가의 민족민주혁명에 책임을 지라고 말했다’(366, 주35, Ковалев И В, Диалог Сталина с Мао Цзэдуном , Проблемы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No, 1-3, 1992, cc 78-79)
한편 션즈화는 북한을 아시아공산당정보국에 포함시키는 문제에 대해서는 스탈린과 마오쩌뚱간 서로 입장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해석한다. 처음에는 북한을 아시아공산당정보국에 포함시키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했다. 그러나 중소상호원조조약 체결이후 스탈린은 한반도를 중공의 통제범위에서 제외시키려고 했는데 그 이유를 뤼순 해군기지를 상실할 경우 소련의 태평양 진출과 부동항에 대한 유일한 희망이 한반도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한하고 있다. 션즈화에 해석과 평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스탈린이 한반도를 직접 통제하고 싶어한 것은 첫번째는 일본으로부터 완충지역을 확보하고 싶어했을 것이고 두번째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한반도를 완충지역으로 확보하고 싶어했다는 점은 웨더스비 교수의 글로 설명할 수 있다.)
@wisdomandjustice님, steemzzang은 여러분을 환영 합니다.
☀️ 대한민국 최고의 브랜드 쌀 "합격쌀"!
🌕 "합격쌀 누룽지"의 계절이 다가왔습니다.
⭐️ 팔자 뭐든 팔자, 그래야 나도 살고 스팀도 산다.
To listen to the audio version of this article click on the play image.
Brought to you by @tts. If you find it useful please consider upvoting this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