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시장 동향과 美금리전망

in #kr2 years ago

포스팅이미지.png
국제유가가 원유공급 부족에도 수요둔화 가능성에 하락세 지속이 예상된다. 중국은 러시아산 에너지의 특수를 누리고 있다. 한편 달러화 강세의 방지를 위한 국제공조는 각국의 입장차이 등으로 기대난이며 美중앙은행의 금리인상 여파가 전 세계에 차입비용 증가를 유발한다. 관련 내용을 간략히 살펴본다.

  • 중국의 에너지 특수

블룸버그통신에 의하면 중국이 유럽연합(EU) 등의 對러시아 제재로 가격이 하락한 러시아산 에너지 특수를 누리고 있다. 中해관총서(세관)에 따르면 올해 8월 중국의 석유와 석유제품, 가스, 석탄 등 러시아산 에너지의 수입액은 83억 달러(11.8조원)로 작년 동기대비 68% 증가한다. 지난 2월 24일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해 미국과 유럽연합이 제재에 나서 러시아가 판로개척을 위해 할인된 가격으로 자국산 에너지를 판매하자 중국은 수입을 늘린다.

이 기간에 중국의 러시아산 석유, 석유제품, 가스, 석탄의 수입액은 총 440억 달러(62.5조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4% 증가한다. 중국의 8월 러시아산 원유의 수입량은 834만t으로 지난해 8월의 653만t과 비교할 때 28%가량 증가한다. 동월 석탄수입량은 850만t으로 57%, LNG(Liquefied Natural Gas, 액화천연가스)는 67만1천t으로 37% 증가한다. 중국의 8월 에너지구매의 83%가 러시아산이다. 이런 와중에 중국이 러시아산 LNG를 유럽 등에 지속적으로 판매

하는 점이 눈에 띈다. 중국은 제로코로나 정책에 따른 도시의 봉쇄 등으로 경기침체가 이어져 에너지소비가 크게 줄어든 상황에서도 러시아산 LNG 수입을 늘린다. 홍콩의 한 언론에 따르면 올해 1∼8월 중국의 러시아산 LNG 수입액은 23.9억 달러이며 이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3배 증가한 수준이다. 동기간에 중국은 스페인, 프랑스 등 유럽에 LNG 1.6억 달러 상당을 그리고 한국, 일본, 태국에도 LNG 2.8억 달러 어치를 판다. 한편 유럽의 주요 국가들은 러시아가 자국 제재에 대한 보복조치로 LNG공급을 중단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향후 국제유가 전망

주요 석유업체들은 공급부족 장기화 가능성 등을 이유로 고(高)유가상황이 계속될 것으로 기대한다. 실제로 최근 산유국 연합체 OPEC+(플러스)는 브렌트유가 배럴당 90달러를 넘어선 상황임에도 공급축소를 결정하는 등 고유가 선호 의지를 피력한다. 그러나 원유선물시장 참여자들은 소비에 초점을 맞추면서 유가하락을 관측한다. 이는 美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상에 따른 경기둔화 및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 등으로 인한 수요의 감소가 공급축소보다 더욱 현저할 것으로 예측하기 때문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공급부족 상황에서도 유가하락 전망으로 석유업체들의 시추(試錐)작업 주저(躊躇)를 지적한다.

  • 경기침체와 비용부담

美연준의 경기침체−기술적인 경기침체인 2개 분기 연속 역(逆)성장의 발생−회피의 의지가 비용부담 증가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美연준은 경기침체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인플레를 억제하겠다는 입장이다. 허나 이는 행운이 필요하며 고(高)물가를 제어(制御)하기 위한 대책은 결국 실업률 상승과 생산량감소를 수반(隨伴)한다. 이를 부인(否認)하고 완만한 형태의 인플레 억제에 나선다면 향후에 고용과 생산 관련하여 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할 소지가 있다. 美실업률은 완전고용 수준보다 낮은 반면 노동수요는 높아 임금상승이 지속된다. 비록 소득증가율이 물가상승률보다 낮지만 인플레를 낮추기 위해서는 임금상승률의 희생이 요구된다는 사실을 美연준은 수용(受容)할 필요가 있다.

  • 强(강)달러와 국제공조

금년 초 이후 달러화의 강세가 지속되면서 세계경제 충격이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이에 일부에서는 주요국들이 모여서 달러화 대비 자국의 통화가치를 높이는 노력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하지만 다음의 3가지 이유로 해당 공조조치는 가능성이 낮다. 첫째 그 동안 EU와 英중앙은행은 물가불안 보다 경제성장을 강조한다. 또한 중국과 일본은 자국 경제여건으로 완화기조를 유지한다. 둘째 미국은 인플레 억제를 위해 금리인상이 반드시 필요하다. 美연준의 금리인상이 멈추지 않는다면 여타국의 달러약세 유도는 매우 어려운 과제다. 셋째 美달러강세 용인의 이유 중 하나는 중국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는 점이다. 이를 통해 中기업들은 부채부담이 증가하고 경쟁력이 약화될 소지가 있다.
image.png
위 그림은 참고용이며 최근 년도의 한미 상호간의 기준금리 추이를 나타낸다.

  • 美금리인상과 차입비용

美연방준비제도(FED, 중앙은행)의 금리인상은 자국의 인플레 대응에 효과적이지만 근린궁핍화(beggar thy neighbor) 영향 등으로 美무역상대국엔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특히 美연준의 금리인상은 달러강세를 초래하면서 여타국의 물가상승으로 연결된다. 이에 대해 세계은행(WB)은 美금리인상이 과도히 공격적이어서 극빈국의 경제적 위험을 초래할 것임을 경고한다. 美학계 일부에선 美연준 정책으로 인해 Global Risk가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한다.

美금리의 최고치 전망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美연준 연방기금금리의 최고치 전망을 상향 조정한다. 美연준이 향후 3회(금년 11월 및 12월, 내년 2월)에 걸쳐 각각 0.75%p, 0.50%p, 0.25%p 인상하여 연방기금금리가 4.50~4.75%까지 높아질 것으로 추정함다. 이는 기존 시장의 예상치(4.00~4.25%) 대비 0.50%p 높은 수준이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Sort:  

@추천해


안녕하세요.
이 글은 SteemitKorea팀(@bitai)님께서 저자이신 @pys님을 추천하는 글입니다.
소정의 보팅을 해드렸습니다 ^^ 항상 좋은글 부탁드립니다
SteemitKorea팀에서는 보다 즐거운 steemit 생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다음날 다시 한번 포스팅을 통해 소개 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즐거운 금요일이 되시길...^^

방문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3
JST 0.028
BTC 66052.74
ETH 3320.33
USDT 1.00
SBD 2.69